기사검색

구독하기 2024.04.24. (수)

내국세

국세청, 5년간 예산성과금 가장 많이 받아...심사기준 때문이었나

국세청.국방부.국토부.관세청, 전체 예산성과금의 53% 차지
조정식 의원 "'재정개선효과' 항목 4개 부처에 유리" 지적

 

최근 5년간 정부 예산성과금을 가장 많이 받아간 부처는 국세청으로 나타났다. 5억7천500만원을 받았다.

 

조정식(더불어민주당, 사진)은 2일 국가재정 확충과 예산의 효율적 집행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된 예산성과금제도가 부처간 양극화로 인해 오히려 부처 공무원들간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5년간(2015년~2019년 상반기) 지급된 예산성과금은 총 27억3천100만원으로, 이중 상위 4개 기관(국세청, 국방부, 국토부, 관세청) 소속 공무원들이 14억4천100만원의 성과금을 받아갔다. 전체 예산성과금의 53%에 해당한다.

 

부처별로 보면, 이 기간 국세청이 53건 5억7천500만원으로 전체의 21%를 차지했으며, 국방부는 47건 3억3천600만원(12%)을 받아갔다. 국토부는 34건 2억6천800만원, 관세청은 24건 2억6천200만원을 차지했다.

 

조 의원은 “최근 5년간 각 부처 공무원들에게 지급된 예산성과금은 총 27억3천100만원으로, 3조8천억원이 넘는 재정 개선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그러나 2015년에 비해 2018년 예산성과금 지급액은 4배 가까이 증가했지만 재정개선 효과는 35% 증가하는데 그쳤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조직법상 중앙행정기관은 총 40곳으로, 이 중 4개 기관이 절반이 넘는 예산성과금을 독식하는 것은 예산성과금 제도 취지에 반하며 이를 시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부처간 예산성과금 지급 규모가 극명하게 갈리는 이유는 성과금 지급을 위한 특정항목의 심사 기준이 수입.지출 예산 단위가 큰 부처에 유리하게 규정돼 있는 등 형평성에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예산성과금 심사기준은 4가지 영역 총 18점 만점인데, 이중 실제로 부처가 어느 정도 지출 절약과 수입 증대를 이뤘는지 평가하는 ‘재정개선효과’항목은 100억원 이상 지출을 절약했을 경우와, 30억원 이상 수입을 증대시켰을 경우(국세청 300억원 이상, 관세청 150억원 이상)에 5점 만점을 부여한다.

 

그러나 ‘지출절약’은 지출 예산단위가 큰 국방부나 국토교통부에, ‘수입증대’도 국세청과 관세청에 별도의 기준을 부여했음에도 한해 300조에 가까운 국세와 관세를 걷는 국세청과 관세청에 당연히 유리할 수밖에 없는 심사 기준이라는 것이다.

 

조 의원은 “예산성과금 제도의 취지를 살리고 부처간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지출.수입의 재정개선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 절대액수가 아닌 비율로 평가하는 등 합리적으로 심사 기준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예산성과금 제도는 예산절감 및 수입증대에 기여한 공무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과 일하는 방식 개선 등을 위해 1998년도에 처음 도입됐으며, 국가재정법 제49조를 근거 법령으로 두고 있다.

 

○부처별 예산절감액/예산성과금 지급액(2015~2019년 상반기)

 

구분

 

기관

 

성과금

 

지급건수

 

재정개선규모

 

(단위:백만원)

 

성과금지급

 

(단위:백만원)

 

전체성과금지급

 

대비비중(단위:%)

 

1

 

국세청

 

53

 

1,473,659

 

575

 

21%

 

2

 

국방부

 

47

 

180,089

 

336

 

12%

 

3

 

국토부

 

34

 

108,124

 

268

 

10%

 

4

 

관세청

 

24

 

311,949

 

262

 

10%

 

5

 

과기부(미래부)

 

15

 

47,172

 

145

 

5%

 

6

 

감사원

 

10

 

420,677

 

141

 

5%

 

7

 

방사청

 

21

 

56,795

 

137

 

5%

 

8

 

행안부(행자부)

 

6

 

12,846

 

124

 

5%

 

9

 

법무부

 

11

 

117,471

 

101

 

4%

 

10

 

해수부

 

7

 

47,705

 

101

 

4%

 

11

 

농림부

 

14

 

286,421

 

93

 

3%

 

12

 

산림청

 

6

 

3,925

 

72

 

3%

 

13

 

경찰청

 

9

 

17,892

 

57

 

2%

 

14

 

산자부

 

3

 

57,120

 

56

 

2%

 

15

 

인혁처

 

3

 

4,386

 

55

 

2%

 

16

 

조달청

 

7

 

256,751

 

48

 

2%

 

17

 

복지부

 

3

 

34,452

 

32

 

1%

 

18

 

특허청

 

2

 

3,194

 

26

 

1%

 

19

 

외교부

 

5

 

1,708

 

22

 

1%

 

20

 

문체부

 

1

 

164

 

16

 

1%

 

21

 

병무청

 

3

 

989

 

14

 

1%

 

22

 

중선위

 

2

 

4,351

 

13

 

0%

 

23

 

교육부

 

2

 

5,246

 

12

 

0%

 

24

 

보훈처

 

1

 

105

 

10

 

0%

 

25

 

기재부

 

2

 

358,901

 

8

 

0%

 

26

 

새만금청

 

1

 

22,561

 

5

 

0%

 

27

 

여가부

 

1

 

72

 

2

 

0%

 

합 계

 

 

 

293

 

3,834,725

 

2,731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