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4.04.25. (목)

경제/기업

세무대리업계 불황,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국제조세·조세불복등 분야별 특화 '납세자 맞춤' 서비스로 승부


WTO 가입, 자유수임료 등 무한경쟁체제에 돌입한 지금 세무대리업계의 생존전략이 시급하다. 현재 세무대리업계가 IMF(국제통화기금)체제보다 더 심각한 경영난에 빠져 있다. 대다수의 세무사들은 '신규(사업자)는 없고 폐업(사업자)만 있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某 세무법인의 경우 800개 거래처 가운데 300개 거래처가 떨어져 나가는 상황이고, 개인 세무사사무실도 10∼20개의 거래처가 줄어드는 상황.

더구나 기장수수료도 종전의 경우 평균 70∼80% 수금이 됐던 것이 올해의 경우, 50∼60%이하로 떨어져 그야말로 '엎친 데 겹친 격'으로 고통을 감내하고 있다.

세무사 개업을 하면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는 폐업하는 사례가 없는데, 경기 불황으로 폐업하는 세무사사무실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이같은 세무대리업계의 '불황'은 우선 경기침체에 따른 이유를 꼽을 수 있으며, 매년 세무사 합격자(700명)와 회계사 합격자(1천명)가 과다 배출되고 있는데도 큰 몫을 하고 있다.

사업자에 대한 세무대리서비스의 업무량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세무사·공인회계사 등의 자격인원이 과다하게 배출되고 있어 세무대리인 사이의 수임경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것.

또 無자격사가 기장대리업계에서 공생하고 있으며, 기장수수료도 적정한 수수료를 받지 못하는 덤핑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세무대리업계의 '최대 불황'으로 꼽히고 있다. 즉 ▶조세전문가의 포화상태와 ▶시장거래의 혼탁 ▶경기침체 장기화 등으로 세무사·회계사들은 불황의 늪에서 빠져 나오기 위해 발버둥을 치지만 현실은 이들을 따뜻하게 받아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공황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특화된 경영전략과 틈새시장 공략, 조세전문가로서의 능력을 공고히 해야 생존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데 이견이 없다. 그러나 어떻게(?)라는 부분에서는 막막하고, 그저 답답할 따름이다.

이러한 업계의 현실을 슬기롭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해 근본적인 치유책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무대리인이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적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다.

 

세무법인 비앤지 박금한(朴錦漢, 사진) 대표세무사는 "정부차원에서의 대안 모색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지만, 이에 앞서 전문자격사가 홀로 설 수 있는 대안을 찾아보는 것이 급선무라 할 수 있다"면서 "단순기장능력만 가지고는 당당하게 세무회계분야의 전문가로 행세할 수 없다"고 제언했다.

박 대표는 "세무사간에도 특정분야의 전문가가 있다"면서 "세무조사 대처능력이 뛰어난 세무사, 국제조세 실력이 출중한 세무사, 조세불복능력이 탁월한 세무사, 양도소득세 사례별 계산경험이 앞서는 세무사, 지방세 분야에 조예가 깊은 세무사 등 자신에 대한 메이크컵을 확실히 해 둘 필요가 있다"고 서슴없이 말했다.

납세자들이 세무사·공인회계사에게 기대하는 부분은 기장의 정확성이 가장 높기는 하지만, 그보다는 오히려 절세를 위해 사전에 납세자와 상담하거나, 납세자 입장에서의 자문 등을 희망하고 있다.

또 稅부담을 줄이면서 세무조사 가능성을 줄이는 일체의 노력 등에 대해 납세자의 욕구가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더불어 세무조사시 적절한 대응과 적극적인 노력 등의 세무조사 대비성도 무엇보다 필요한 부분으로 꼽히고 있다.

인정받는 세무전문가가 되기 위해 갖춰야 할 기본능력에 대해 박 대표는 ▶기장 ▶업종별·세목별 실무요령 ▶세무조사대처 실무 ▶조세불복실무 등으로 꼽았다.

또 정부차원에서의 대책 마련은 제도적 장치로 볼 수 있는데, 우선 기준경비율제도의 배수상한선을 개선해야 할 것으로 세무대리업계는 꼽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