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4.04.20. (토)

경제/기업

美금리인상, 남미 경기회복에 찬물…자본유출·원자재가격 하락 우려

미국의 금리 인상이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경기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금리 인상으로 인한 달러화 강세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자본유출과 원자재 가격 하락, 자본조달 비용의 상승 등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다.

지난 14일 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연 0.25~0.5%에서 0.50%~0.75%로 인상했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제로금리를 유지하다 지난해 12월 0.25%의 금리인상을 단행한 이후 1년 만이다. 연준은 또 내년에 3차례 정도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 것임을 시사하기도 했다.

같은 날 유엔 라틴아메리카·카리브경제위원회(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는 올해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국내총생산(GDP)이 -1.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GDP 성장률은 1.3%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준의 금리 인상은 라틴아메리카 등 신흥시장에 큰 여파를 미치고 있다. 신흥시장 국가들의 통화는 큰 폭의 평가절하를 겪고 있다. 멕시코 중앙은행은 미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유출효과(spillover effect)를 상쇄시키기 위해 콜금리를 0.50% 포인트 인상하는 긴급조치를 단행했다. 멕시코 금융시장에서 외국자본이 대량 유출되는 사태를 막기 위한 조치였다.

문제는 연준이 내년에도 몇 차례 금리인상을 더 단행할 것이라는 점이다. 라틴아메리카의 경제 회복의 불확실성은 한층 깊어질 전망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이어질 경우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첫 번째로 투기성 단기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남미 각국의 유동성 경직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다. 라틴아메리카 금융시장의 단기자본이 미국으로 빠져 나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남미는 이미 1980년대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잃어버린 10’년으로 불리는 금융위기를 겪은 바 있다. 당시 미국은 수년 동안 실시해온 양적 완화 정책을 갑자지 중단하면서 통화 긴축정책을 펴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라틴아메리카에서는 10여 년 동안 혹독한 금융위기를 겪어야 했다.

둘째, 미국의 금리인상은 자본조달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그만큼 경기부양 정책의 비용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브라질과 멕시코, 아르헨티나 등 주요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은 인프라(사회간접자본) 건설 확대나 에너지 프로젝트 등 일련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해 왔다. 대규모의 자본 조달을 필요로 하는 일들이다.

미국이 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라틴아메리카 국가의 중앙은행들은 금리 인상의 압력을 받게 된다. 이와 함께 자국 통화 가치를 평가 절하하는 정책도 예상된다.

셋째, 미국의 금리 인상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원자재 수출 전선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최근 국제시장의 원자재 가격은 가파른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브라질과 칠레, 페루 등 원자재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들의 경제에 숨통이 트이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일 경우 원자재 가격은 하락을 하게 된다. 개도국 원자재 시장의 자본이 미국의 금융시장으로 빠져 나가기 때문이다. 결국 원자재 수출 의존도가 높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수출 채산성의 악화를 불러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라틴아메리카의 경제 전망이 그리 어두운 것만은 아니다. 현재 대부분의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경제는 1984년 금융위기 당시에 비해서는 펀더멘탈이 크게 개선된 상황이다. 과거에 비해 외환보유고도 상당 규모로 비축해 놓고 있으며, 재정정책도 훨씬 신중해 졌다. 외부의 금융위기에 대처하는 능력이 그만큼 강화된 것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