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4.03.29. (금)

경제/기업

4차산업혁명, 생산패러다임이 바뀐다…정부·기업 고민 깊어져

올 들어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이 거세게 밀려들고 있다. 산업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인공지능(AI)과 제조영역이 결합하면서 생산 패러다임을 바꾸고, 일상생활의 모습도 변화시키고 있다. 한마디로 더 이상 거부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로 떠오르는 형국이다. 

하지만 사물인터넷(IOT)에 필수적인 센싱기술 및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플랫폼 구축 역량, AI의 전제가 되는 빅데이터 등에서 우리의 수준은 미국 등과 격차가 적지 않다. 이러다가는 4차 산업혁명의 과실을 외국에 다 빼앗길수도 있는 상황이다. 

정부와 기업의 고민이 깊어질 수 밖에 없다. 정부는 우선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 전략위원회'를 꾸려 종합 대책 구상에 들어갔다. 구글과 애플 등 세계적인 IT 기업 뿐 아니라 제너럴 일렉트릭(GE), 지멘스 등 전통 제조업 기업까지 4차 산업혁명 대열에 뛰어들면서 이에 뒤질세라 국내 기업, 특히 공기업의 발걸음도 분주해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동 떨어진 것으로 보였던 전력과 농업 분야에도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기술을 접목해 기술역량을 축적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구축에 나서고 있다.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우선 한국수력원자력은 에너지신산업 추진 종합계획에 따라 조직 내 에너지 신사업실을 신설하고 오는 2020년까지 총 1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동서발전은 제조업 분야 스마트 팩토리의 개념을 발전 분야에 적용하는 스마트 발전소 구현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서부발전은 육안으로 점검이 힘들었던 사각지대에 드론을 활용 중이다. 또 전통 에너지산업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확충에 나서고 있다. 

농업계에서도 4차 산업혁명 바람이 불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공사(aT)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주요 농산물 국가 수급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시스템을 기반으로 시의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수급사업도 적기에 실행하도록 할 방침이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전국 9개 지역본부에 드론을 도입해 농업기반시설과 수자원 관리에 나선 가운데 ICT 융복합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 온실 신축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시설원예보다 노동력과 에너지를 덜 투입하고도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뉴시스는 공기업이 앞장서는 '4차 산업혁명' 추진 현황을 긴급 점검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