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들어 처음 실시된 국세청 '4.10 1급 승진인사'는 'TK편중-호남홀대'로 일단락 됐다.
차장을 포함한 국세청내 전체 1급 4명 가운데 호남출신은 한 명도 포함되지 않았다. 서울청장(서울) 한 명을 뺀 차장과 중부청장, 부산청장 모두를 TK출신이 차지 한 것이다.
이같은 인사 내용으로 인해 광주지역 세정가는 실망감이 납덩이처럼 무겁게 깔리고 있다.
특히 이번 인사를 앞두고 세정가에서는 임창규 광주청장의 중부청장 승진설이 유력하게 제기되었기에 허탈해하는 분위기가 더욱 크다.
일반공채(7급) 출신으로 전남 목포가 고향인 임 청장이 중부청장으로 영전했을 경우 비고시에 대한 배려는 물론 지역 안배도 가능했기 때문에 그 아쉬움은 배가되는 분위기다.
이번 인사를 지켜본 호남지역 세정가 인사들은 박근혜 정부에서도 국세청내에서의 호남소외인사가 더 심화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되지 않겠느냐고 우려하고 있다.
광주지역 한 세정가 인사는 "왜 굳이 지역편중과 비고시 출신 배제라는 지적을 받으면서 TK편중 인사를 되풀이 하는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며 "박근혜 대통령이 호남사람들의 눈물을 닦아 주겠다고 한 약속이 허공의 메아리로 들린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대선 당시 대탕평을 얘기했지만 전혀 이뤄지지 않았고, 오히려 퇴행적인 인사가 된 것 같아 씁쓸함을 지울 수 없다"며 "새 정부의 국정기조로 제시한 인사대탕평과 국민대통합은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 것이냐"고 꼬집었다.
문제는 앞으로 호남 민심이 이 번 인사로 인해 더욱 나빠질 가능성이 많다는 점이다.
세정가 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국세청의 이번 인사내용에 대해 '호남소외'를 언급하고 있으며, 이같은 불만기류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확산 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한편, 국세청 내 38명의 고위공무원 중 호남출신은 임창규 광주국세청장(전남 목포), 나동균 국세청 기획조정관(전북 고창), 송성권 소득지원국장(전북 순창), 신호영 납세자보호관(전북), 김희철 중부청 조사1국장(전남 영암) 등 5명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