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선발 예정인원 7백50명선이 적당했다.”
“수습기관 확대보다 시급한 것은 국내 회계 시장 개혁이다.”
표류하고 있는 실무수습기관 미지정수습회계사 문제를 바라보는 某 개업 회계사의 아쉬움 섞인 말이다.
정부는 최근 내년 합격인원을 올해 1천명에서 7백50명 수준으로 축소하는 방안을 전격 발표했다. 국내 회계법인의 수요를 감안해 결정했다는 후문이다. 또 현재 미지정 수습회계사 문제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실무수습기관을 늘리기로 하고 올해안에 시행한다고 밝혔다.
정책의 일관성을 잃고 이리저리 헤매는 정부의 모습은 결국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격'이 됐다.
정부의 이같은 발표에 대해 대부분의 회계사들은 결국 정부 스스로 실책을 인정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개업 회계사들의 시각이 그리 곱지 않다는 반증이다. 일부에서는 졸속 행정이 낳은 `시대의 촌극'이라고까지 평가절하했다.
공인회계사들은 정부가 목표로 했던 회계시장 투명성 확보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이 국내 회계제도의 개혁이라고 앞다퉈 주장한다.
이는 무비판적으로 미국 방식을 따를 것이 아니라 우리 나라 회계 환경에 맞는 정책 입안이 중요하다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분식회계와 부실감사를 막기 위한 투명한 감사제도의 뒷받침이 시급히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강남의 某 회계사는 “현재 덤핑감사와 의견구매가 판을 치고 있다”며 “대주주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한국적' 기업구조속에서 감사인의 독립성이 가장 아쉽다”고 지적했다.
팽팽히 맞선 정부측과 공인회계사들 사이에는 아직도 넘어야 할 산이 많이 남아 있는 듯 하다.
회계법인이나 상장기업 회계관련 부서에 취업하지 못한 미지정 수습회계사는 현재까지 2백50명이나 남아 있다.
문영재 기자
info@taxtimes.co.kr
- Copyrights ⓒ 디지털세정신문 & taxtime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