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사정 개선된 중견기업, 10곳 중 1곳에 그쳐

2025.05.01 08:16:40

중견련, 2025년 중견기업 금융애로 조사 결과 

자금사정 악화 원인…매출부진, 이자비용 증가, 인건비 등 

 

최근 두 차례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중견기업의 자금 애로는 크게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돼, 지난해보다 자금 사정이 나아진 중견기업은 10곳 중 1곳에 그쳤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28일 발표한 ‘2025년 중견기업 금융 애로 조사’ 결과, 전년 대비 자금 사정이 나아진 중견기업이 10.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60.4%의 중견기업은 대동소이하다고 응답했지만, 28.7%는 오히려 올해 자금 사정이 악화했다고 밝혔다.

 

자금 사정 악화 요인으로는 ‘매출 부진(53.0%)’, ‘이자 비용 증가(14.0%)’, ‘인건비 증가(10.2%)’ 등이 꼽혔다.

 

특히 자금 사정이 악화됐다고 응답한 중견기업의 33.0%는 현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올해 하반기 유동성 절벽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중견련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등 글로벌 환경 변화와 지속되는 내수 침체에 따른 업황 부진에 따라 매출 감소를 자금 사정 악화의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한 기업이 전년도 32%에서 올해 53% 늘었다”고 설명했다.

 

자금 사정이 악화한 상황에서도 중견기업의 16.7%는 ‘인건비 상승(43.2%)’, ‘원·부자재 가격 상승(34.4%)’, ‘설비투자 확대(29.6%)’ 등 요인으로 자금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견기업의 자금 조달 경로는 시중은행(53.6%), 정책금융(11.6%), 직접금융(9.8%) 등 순으로 집계돼 중견기업에 대한 정책금융의 불균형 배분이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견기업들은 ‘엄격한 지원 요건(28.7%)’, ‘정책 자금 정보 부족(21.3%)’ 등으로 정책금융 접근에 제약이 크다고 응답했다.

 

제조 중견기업 16.8% 대비 비제조 중견기업 7.7%, 매출 5천억원 이상 24.0% 대비 매출 3천억원 미만 8.9% 등 업종·매출 규모별로도 정책금융 활용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을 활용하는 중견기업들은 ‘높은 금리(49.9%)’, ‘까다롭고 복잡한 심사(8.8%)’, ‘과도한 담보·보증 요구(8%)’ 등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직접금융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중견기업은 9.8%로 이 중 절반 이상이 ‘회사채 발행(63.0%)’에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2025년 2월 17일부터 2월 28일까지 중견기업 748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글로벌 경기 위축,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내수 악화 및 정치 불안 등 급격한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라 중견기업의 자금 사정이 더욱 악화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출을 포함한 경제 전반에서 중견기업이 차지하는 중심적 역할을 감안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중견기업의 활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정책금융의 문턱을 낮춰야 한다”며, “이와함께 시중은행의 경직적인 운영 기준을 완화하는 등 중견기업이 겪는 고질적인 자금 조달 애로를 시급히 해소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윤형하 기자 windy@taxtimes.co.kr
- Copyrights ⓒ 디지털세정신문 & taxtime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발행처: (주)한국세정신문사 ㅣ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17안길 11 (서교동, 디.에스 빌딩 3층) 제호:한국세정신문 │ 등록번호: 서울,아00096 등록(발행)일:2005년 10월 28일 │ 발행인: 박화수 │ 편집인: 오상민 한국세정신문 전화: 02-338-3344 │ 팩스: 02-338-3343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화수 Copyright ⓒ 한국세정신문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