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과 우리 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에 관한 연구(23)

2005.08.22 00:00:00

김상현 (국세청 종합부동산세과장)


 

2. 한글의 기계화와 전산화의 지속적 추진
1)한글의 세계화-'국제음성기호로서의 한글'

오늘날의 시대는 '문화발전의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화 발전의 시대란 풍요하고도 편리한 생활을 갖는 새로운 문화의 창출과 수용의 시대이다. 이러한 새로운 세계는 각 나라, 각 민족이 갖고 있는 모든 자원을 공개하고 모든 세계의 국가와 민족은 그 자원을 이용해 더 풍요한 생활과 더 높은 문화를 누려야 하며 이러한 세계적인 발전을 위해 개개 나라와 민족은 그들이 갖고 있는 훌륭한 자원을 세계의 모든 사람을 위해 공개하고 제공할 의무가 있다.

글자도 마찬가지다. 만약 우리들이 갖고 있는 한글이 세계에서 가장 훌륭하고 세계인을 위해 다른 글자보다도 우수하고 쓸모있는 것이라면 우리 민족은 이 세계화시대에 우리 한글을 세계화할 의무가 있다. 그리고 이 세계화시대에 한글 그 자체는 세계화를 통해서 경제적 이득을 가져오지 않지만 한글의 세계화는 그 세계화를 통해서 세계에 우리의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받으며 세계에 우리 것이 널리 홍보돼 우리의 문화와 우리의 산업에 대한 세계적인 신뢰를 갖게 해 막대한 경제적 이득을 가져오게 된다.

오늘날 세계에서 우수한 문자는 한글과 유럽인이 사용하는 알파벳이 있다. 알파벳는 현대문화를 주도하는 선진문화국의 문자로 '국제 음성 알파벳'라 해 세계문자로 공인돼 통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 한글이 이 알파벳와 같은 수준이라면 알파벳와의 경쟁에서 뒤질 것이며 한글의 세계화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한글이 알파벳보다 더욱 앞서는 글자이고 알파벳보다 더 쓸모가 있어서 한글을 사용하면 세계인으로 하여금 더욱 편리하고 더욱 유익한 생활을 할 수 있다면 한글은 알파벳와의 경쟁에서 승리할 것이고 한글을 세계화할 수 있을 것이며 마땅히 세계화해야 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옛날부터 한글이 아주 훌륭한 글자라고 자부해 왔다. 그러나 한글에 대한 우수성의 인식은 시대와 사람에 따라 다르고 또 바로 이해하지 못한 점도 많았다.

일찍이 훈민정음해례의 서문을 쓴 정인지는 한글의 우수성을 다음처럼 말했다.

①지혜로운 사람은 아침이 다 가기 전에 알고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열흘이 걸리면 배울 수 있다.

②비록 바람소리, 학 울음소리, 닭우는 소리, 개짖는 소리도 다 적을 수 있다.

한글 세계화의 전략은 민족문화 확충전략에서가 아니고 세계문화 발달에의 공헌의 차원이 돼야 하며, 세계 여러 문자와의 선의의 자유경쟁을 통해 더욱 편리한 문자의 수요에 응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한글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적 전략이 필요하다.

①우리나라 사람들이 한글을 바르게 이해하도록 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한글이 단순한 소리글자인 음소문자가 아니고 발음작용문자라는 것을 모든 사람이 알도록 해야 한다.

②'세계 한글'을 사용하기 위해 '국제 음성 알파벳'를 배척해서는 안되며 서로 용도에 맞게 겸용해야 한다.

③먼저 국내에 사용해 그 성과를 외국인들이 인식토록 한다.

한글의 세계화를 위해 우선 '국제 음성 알파베트'와 같은 통일된 '국제음성기호로서의 한글 을 사용하고 전파해야 한다.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 친선 방문자 또는 외국인에게 판매하는 상품 등에 '국제음성기호로서의 한글'을 사용해 우리말을 읽는데 매우 편리하도록 하고 외국어교육에 '국제음성기호로서의 한글'을 사용해 외국어 음성 교육에 유익하도록 해 외국사람들도 그 성과를 확인케 해 그것을 토대로 외국에 널리 홍보해 외국인들이 관심을 갖고 스스로 수용하도록 해야 한다.

2)한글의 기계화 전산화 지속적 추진
앞서 논한 '국제음성기호로서의 한글'문제뿐만 아니라 한글이 세계적인 언어로 발돋움하고 그 사용인구를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컴퓨터 시대에 걸맞는 한글의 기계화 및 전산화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한글은 컴퓨터 시대를 위해 만들어 둔 인류문화의 재산'이란 유네스코의 견해처럼 한글은 기계화 정보화시대의 컴퓨터 입력체계에서 탁월한 우수성을 갖고 있는 문자임은 세계 석학들도 인정한 바 있다. 따라서 한글의 세계화 및 사용인구의 확대는 한글의 국제적 기계정보화와 함께 이뤄져 나가야 할 것이다.


기자
- Copyrights ⓒ 디지털세정신문 & taxtime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발행처: (주)한국세정신문사 ㅣ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17안길 11 (서교동, 디.에스 빌딩 3층) 제호:한국세정신문 │ 등록번호: 서울,아00096 등록(발행)일:2005년 10월 28일 │ 발행인: 박화수 │ 편집인: 오상민 한국세정신문 전화: 02-338-3344 │ 팩스: 02-338-3343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화수 Copyright ⓒ 한국세정신문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