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생산성·효율화과제의 신화와 논리

2010.01.25 09:49:48

정부는 2010년 국정기조를 경제위기 극복과 미래 준비에 맞추고 조기 경기회복과 사회안전망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녹색성장과 신성장동력 확충, 규제개혁 가속화, 분권과 상생을 통한 지역발전, 교육개혁과 과학발전기반 조성, 법과 원칙의 확립과 함께 공공부문의 선진화를 국정운영방향으로 설정했다.

 

정부는 전세계적 경제위기 중에서도 OECD 회원국 중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한미동맹관계의 복원, G-20 정상회의 유치, 신아시아 구상을 통한 글로벌 리더십 부각, 온실가스 감축목표 확정 등 녹색성장 선도국가 각인 등 나름의 성과를 이어가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정부는 지난 2년여 기간동안 6차례에 걸쳐 공공기관 선진화계획을 수립해 산업은행 등 19개 기관을 민영화하고 인천공항 등 5개 기관의 지분을 매각했다. 논의만으로 시간을 허비하던 주공과 토공의 통합 등 36개 기관을 16개 기관으로 통합하고 노동교육원등 5개 기관은 폐지하는 성과를 도출했다. 22개 기관의 기능조정을 통해 비핵심 기능을 축소하고 유사기능을 일원화하거나 경쟁을 도입하는 노력을 경주했다. 나아가서 129개 기관에 대한 경영효율화를 통해 정원 17.5만명 중 2.2만명을 감축하고 신이 내린 직장이라는 단골 비판의 대상이 되던 공공기관 임직원의 보수체계를 합리화해 기관장 및 감사의 보수체계를 하향조정했다.

 

이 뿐만이 아니다. 공공기관 대졸 초임을 인하하고 특히 금융 공기업을 중심으로 기존 직원의 임금도 낮추도록 했다. 기관장이 취임하면 노조위원장의 방에 먼저 찾아간다는 일화에서 볼 수 있듯이 비합리적인 단체협약을 개선하도록 하고 노동조합 항목을 공시하도록 의무화했으며 기관장평가시 단협 합리성 등 노사관계 선진화에 우선순위를 뒀다. 아울러 복리후생비 등 방만경영 소지가 있는 경영정보에 대한 공시범위를 확대하도록 했다.

 

열거하기에 숨이 가쁠 정도로 선진화는 많은 성과를 시현한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러한 선진화를 통해서 과연 무엇을 추구하려 하는지 돌아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는 흔히 행정개혁을 이야기할 때 신화와 논리를 자주 거론한다. 열심히 정부조직 개편을 통해 하드웨어를 뜯어 고치고 바꾸었는데 정작 국민들에게 서비스하는 국민의 대정부 만족도가 시원치 않다면 그리고 실제 공무원들의 일하는 방식이 달라지지 않았다면 이는 개혁을 위한 개혁에 불과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공기업과 산하기관 등 공공기관이 정말 위와 같은 선진화정책을 통해 설립목적을 보다 더 잘 달성하게 됐는지를 따져봐야 한다. 교각살우(矯角殺牛)의 우를 범하지는 않는지, 평가를 위한 평가가 이뤄지고 있지는 않은지 잘 따져볼 문제이다. 지나치게 획일화된 잣대로 구조조정을 추진하다 보니 개별 기관들의 사정을 반영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을 수 있다.

 

이제는 다음 단계의 선진화를 위해 각 공공기관의 특성과 설립취지를 감안해 효율화와 생산성 제고를 위한 업그레이드 작업이 추진돼야 한다. 민영화, 통폐합, 인력감축 등 하드웨어 개혁을 넘어 내부성과관리 강화 등 소프트웨어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국민들은 공공기관이 아직도 방만하다는 인식이 있어 인력감축, 보수삭감 등 하드웨어 개혁을 기관에 따라서는 지속해야 할 필요도 있지만 모든 기관에 획일적인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은 탈피해야 한다.

 

정부 주도의 하향식 선진화에서 공공기관 주도의 자율적 선진화로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 역시 모든 기관에 획일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자기 혁신 노력이 가시적으로 보여지는 기관을 중심으로 정부지침과 평가 등을 차별적으로 적용하는 맞춤형 관리모형이 진지하게 모색돼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원감축, 예산절감 등 비용절감 중심에서 신성장발전동력 발굴, 해외진출 등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국민경제에 기여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선진화로 거듭나야 한다. 

 



세정신문 기자
- Copyrights ⓒ 디지털세정신문 & taxtime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발행처: (주)한국세정신문사 ㅣ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17안길 11 (서교동, 디.에스 빌딩 3층) 제호:한국세정신문 │ 등록번호: 서울,아00096 등록(발행)일:2005년 10월 28일 │ 발행인: 박화수 │ 편집인: 오상민 한국세정신문 전화: 02-338-3344 │ 팩스: 02-338-3343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화수 Copyright ⓒ 한국세정신문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