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세관(세관장. 전인철)이 올해 7월말 기준 세관을 통한 수출.입이 전년대비 대폭 증가했다고 17일 밝혔다.
세관이 발표한 2010년 7월 수출.입 동향 분석에 따르면 수출은 '올 3월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 약 119억 달러를 달성해 전년동기대비 48% 상승했고, 수입은 지난해 7월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 약 186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대비 65% 크게 증가했다.
이로 인해 무역수지는 67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품목별 수출실적은 여수지역 수출을 주도하고 있는 석유화학제품 및 자동차용 냉연강판 수출이 증가해 전년동기대비 수출액이 크게 증가했다.
주요 수출품목은 석유화학제품 110억 달러(전년동기대비 49% ↑), 철강 및 비철금속제품 3억 6천만 달러(전년동기대비 37% ↑), 반도체.기계류 2천만 달러(52%↓), 수산물 등 식품류 7백만 달러를 (35%↑) 기록했다.
세관을 통한 품목별 수입실적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주요수입물품인 원유 및 석유화학제품의 수입액이 증가했으며, 열연강판의 수입도 증가했다.
주요 수입품목은 석유화학제품(원유 포함) 179억 달러(전년동기대비 67% ↑), 철강 및 비철금속제품 5억5천만 달러(전년동기대비 89% ↑), 반도체.기계류 8천만 달러(56% ↑)를 기록했다.
국가별 수출실적은 중국(45억 달러)이 가장 많고 ASEAN(19억 달러), 북미(10억 달러), 유럽.인도(각각 5억 달러), 일본(4억 달러)순이며, 수출증가율은 북미272%, 인도 60%, ASEAN46%, 중국 32% 순으로 증가했다.
중국 및 동남아국가, 북미, 인도 등으로의 석유화학제품 수출은 증가했으나 일본으로의 수출은 대폭 감소했다.
국가별 수입실적은 중동(114억 달러)이 61%로 가장 많이 차지했으며, 일본(12억 달러), ASEAN(12억 달러), 인도(9억 달러)순이며, 수입증가율은 인도 123%, 중동 74%, 북미66%, 일본 62%, ASEAN 56% 순으로 나타났다.
수입이 늘어난 이유는 원유 및 석유화학제품의 가격이 크게 상승했고, 일본으로부터의 자동차용 열연 강판 수입도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