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2022년 중앙부처 국가공무원 5천818명을 충원하는 내용의 정부안이 확정됐다고 2일 밝혔다.
내년 충원 규모는 지난해 대비 2천527명 줄어든 것으로, 최종 규모는 국회 심의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분야별로 경찰 및 해양경찰 2천508명, 국·공립 교원 2천120명, 생활·안전분야 공무원 1천190명이 충원될 예정이다.
경찰의 경우 의무경찰 폐지에 따른 대체인력 1천577명, 여성청소년 강력팀 담당인력 60명, 사이버수사관 163명, 수사심사 인력 104명 등 2천30명을 충원한다.
해양경찰의 경우 의경대체 311명, 신형 연안구조정․통합VTS 운영 등 시설·장비 운영인력 88명, 소형정 교대인력 52명 등 현장안전 분야에 총 478명을 뽑는다다.
교원은 법정기준보다 부족한 특수교사 1천107명과 보건·영양·사서·상담교사 등 비교과 교사 1천979명(보건 514명, 영양 536명, 사서 200명, 상담 729명)을 충원한다.
이와 함께 국민안전 강화 등을 위해 보호관찰 전자감독·관제 인력 88명, 감염병 역학조사관 76명, 트라우마 심리지원 인력 15명, 수입통관·감시 인력 24명, 건설현장 안전점검 인력 13명을 각각 충원한다.
고용 및 사회안전망 확충을 위해 실업급여 지급 57명, 산업재해보험 재심사 인력 6명 등을 충원하며, 경제정책 활성화를 위해 그린바이오산업 등 산업지원 53명, 디지털뉴딜 등 신산업·신기술 지원 37명을 선발한다.
국민편익 등 서비스 제고를 위해 입영판정검사 11명, 병역판정 심리상담 4명, 소극행정 예방 4명 등도 예정돼 있다.
지방공무원은 지자체와 협의 후 연말까지 충원규모를 확정하고, 주로 근무환경이 열악한 소방관, 복지수요 급증에 대처하기 위한 사회복지공무원 등을 중점 충원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이와 별도로 대법원·헌법재판소·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헌법기관 공무원 168명을 충원하고, 현역자원 감소 등에 대응하기 위해 군무원 및 부사관 5천503명도 선발할 예정이다.
□ 2022년 중앙부처 공무원 : 5,818명
구 분 |
인 원(명) |
비 고 |
▪경찰 |
2,508 |
⋅(경찰) 2,030명 -의경대체 경찰 1,577, 여성청소년 강력팀 담당인력 60, 사이버수사관 163, 수사심사 104명 등 ⋅(해경) 478명 -의경대체 해경 311, 신형 연안구조정 운영 등 시설장비 운영인력 88, 소형정 교대인력 52명 등 |
▪교원(국립+공립) |
2,120* |
⋅특수교사 1,107명 ⋅비교과 1,979명 (보건 514, 영양 536, 사서 200, 상담 729) ⋅국립대학 교수 등 132명 |
▪생활안전 등 |
1,190 |
⋅보호관찰 전자감독․관제 등 88 ⋅감염병 역학조사관 76, 실업급여 지급 57 ⋅수입통관․감시 24, 건설현장 안전점검 13 ⋅산업재해보험 재심사 6, 소극행정 예방 4 등 |
* 교원 2,120명 중 1,986명은 지방교육재정교부금으로 충원
□ 2022년 헌법기관 및 군무원 등 : 5,671명
구 분 |
인 원(명) |
비 고 |
▪헌법기관 공무원 |
168 |
⋅대법원 136명, 헌법재판소 8명, 선관위 24명 |
▪ 군무원 등 |
5,503 |
⋅현역자원 감소에 따라 부사관·군무원 충원 (부사관 : 937명, 군무원 : 4,566명) |
※ 소방·사회복지 분야 등 지방공무원은 지자체와 협의 후 연말까지 충원규모를 확정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