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율 77.8%…법인세 21.4조↑
올해 9월까지 걷은 국세수입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34조3천억원 증가했다.
기획재정부가 31일 발표한 ‘2025년 9월 국세수입 동향’에 따르면, 2025년 9월 누계 국세수입은 289조6천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조3천억원 늘은 것으로 나타났다.
법인세가 가장 큰 역할을 했다. 지난해와 올해 상반기 기업실적 개선에 힘입어 21조4천억원 증가했다. 9월까지 걷힌 법인세는 76조원.
소득세는 1년 전보다 10조2천억원 늘어난 95조2천억원이 들어왔다. 성과급 지급 확대와 근로자수 증가 등에 따른 근로소득세 증가, 해외주식 호황 등에 따른 양도소득세 증가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교통에너지환경세도 유류세 탄력세율 부분환원에 따라 1조5천억원 늘었다.
반면 부가가치세는 환급 증가 등으로 4천억원 줄어든 60조2천억원이 걷혔다. 증권거래세도 증권거래세율 인하 효과에 1조5천억원 감소했다.
진도율은 77.8%로 지난해(75.9%)에 비해 개선돼 최근 5년(77.7%)과 비슷했다.

9월 한달만 보면 국세수입은 28조8천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5조7천억원 늘었다. 1년전보다 법인세가 3조6천억원, 부가가치세가 9천억원, 소득세가 5천억원 늘어난 영향이다.
법인세는 12조6천억원으로 1년전보다 3조6천억원 더 걷혔다. 상반기 기업실적 개선과 가결산 의무화 등에 따른 중간예납 분납분 증가에 따라서다.
부가가치세는 7월 소상공인·중소기업 등 세정지원 등에 따른 납기 연장분 납부와 수입액 증가 등으로 9천억원 증가했다.
소득세도 근로자 수와 총 급여지급액 증가 등에 따른 근로소득세 증가 등으로 5천억원 증가했다.
증권거래세는 세율 인하 효과 등으로 1천억원 감소했으나, 농어촌특별세는 코스피 거래대금 증가 영향 등으로 2천억원 증가했다.
그 외 상속증여세, 관세, 개별소비세, 교통에너지환경세 등은 각각 1천억원 소폭 증가했으며, 교육세 등은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