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학원사업자의 절반에 가까운 43%가 서울·경기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학원은 서울의 경우 강남구, 송파구에 가장 많았고, 최근 5년간 서초구가 가장 많이 늘어났다.
또 학원사업자 4명 중 3명은 30·40대고, 5년 미만 신규사업자가 61.5%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세청은 18일 국민들의 실생활과 관련있는 전문·의료·교육 서비스업에 대한 사업자 현황을 공개했다. 2013년 말 현재 학원 사업자는 총 10만4천894개로 예체능학원과 일반교습학원이 48.3%, 48.1%를 차지하고 있었다. 2008년과 비교해 총 학원사업자는 13.5%증가했다.

43.4%에 해당하는 4만5천538개의 학원이 서울·경기에 위치해 있었고, 서울의 경우 강남구가 2천305개, 송파구 1천503개로 가장 많았다.
최근 5년간 학원사업자는 서초구에서 가장 많이 늘었다. 2008년 910개에서 2013년 1천260개로 5년간 38.5% 증가했다. 중랑구(△2.8%)와 중구(△1.8%)는 감소했다.
인구 1천 명당 학원사업자 수도 강남구가 4.16개, 서초구 2.89개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교습학원은 강남구(2.52개), 양천구(1.69개), 서초구(1.51개), 예체능학원은 강남구(1.46개), 서초구(1.26개), 마포구(1.23개) 순으로 조사됐다.
학원사업자는 여성이 52.9%로 남성보다 많았고, 특히 예체능학원의 여성학원사업자 비율이 55.9%를 차지했다.
또 학원사업자 연령비중은 30대 31.5%, 40대 42.6%로 30대와 40대 사업자가 74.1%로 나타났다. 2008년과 비교해 30대는 7.2%p 감소했지만, 40대와 50대는 8.8%p 증가해 연령대가 중장년층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사업기간별로 보면, 5년 미만 신규사업자 비율이 61.5%로 가장 높았지만 20년 이상 장기사업자는 1.3%에 불과했다. 단 기술·직업학원은 10년 이상 비율이 25.3%로 조사됐다.
2008년과 비교해 5년 미만 신규 사업자 비중은 7.4%p 감소했고, 5년 이상 20년 미만 사업자 비율은 6.8%p 증가해 사업 영위기간이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학원 사업자의 인구 천 명당 사업자 수(’13년)(단위 : 명, 개)
| 구분 
 | 인구수 
 | 계 
 | 일반학원 
 | 예체능학원 
 | 기술・직업학원 
 | ||||
| 사업자수 
 | 천 명당 
 사업자수 
 | 사업자수 
 | 천 명당 
 사업자수 
 | 사업자수 
 | 천 명당 
 사업자수 
 | 사업자수 
 | 천 명당 
 사업자수 
 | ||
| 서울시 전체 
 | 9,989,672 
 | 19,764 
 | 1.98 
 | 9,788 
 | 0.98 
 | 9,211 
 | 0.92 
 | 765 
 | 0.08 
 | 
| 강남구 
 | 553,772 
 | 2,305 
 | 4.16 
 | 1,394 
 | 2.52 
 | 811 
 | 1.46 
 | 100 
 | 0.18 
 | 
| 서초구 
 | 435,244 
 | 1,260 
 | 2.89 
 | 659 
 | 1.51 
 | 549 
 | 1.26 
 | 52 
 | 0.12 
 | 
| 양천구 
 | 487,532 
 | 1,281 
 | 2.63 
 | 824 
 | 1.69 
 | 442 
 | 0.91 
 | 15 
 | 0.03 
 | 
| 종로구 
 | 154,938 
 | 397 
 | 2.56 
 | 156 
 | 1.01 
 | 187 
 | 1.21 
 | 54 
 | 0.35 
 | 
| 마포구 
 | 375,554 
 | 785 
 | 2.09 
 | 282 
 | 0.75 
 | 461 
 | 1.23 
 | 42 
 | 0.11 
 | 
| 영등포구 
 | 379,388 
 | 759 
 | 2.00 
 | 300 
 | 0.79 
 | 372 
 | 0.98 
 | 87 
 | 0.23 
 | 
| 중구 
 | 126,468 
 | 214 
 | 1.69 
 | 74 
 | 0.59 
 | 113 
 | 0.89 
 | 27 
 | 0.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