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장관 취임식이 1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개최됐다.
유 부총리는 취임사를 통해 “개혁의 성공을 위해서라면 백병전도 불사해야 한다. 기재부가 개혁의 전략본부 역할을 넘어 현장에 몸소 뛰어들어야 한다”며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힌 경제정책을 조율하는 부처로서 해묵은 난제들을 국민의 시각으로 새롭게 바라보고 과감한 접근으로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제정책 운용방향과 관련해서는 “우리 경제를 정상 성장궤도로 되돌리고 강건한 체질로 거듭나게 하는 길은 구조개혁밖에는 없다”며 “신속한 경기대응으로 경기회복의 불씨를 살려 개혁을 감당할 수 있는 기초체력을 확보하면서 구조개혁에 모든 역량을 쏟아 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경직된 노동시장, 산업현장과 괴리된 교육, 방만한 공공부문, 실물경제를 뒷받침 못하는 금융, 개혁이 없으면 미래도 없다”며 “노사정 대타협의 옥구슬도 입법으로 꿰어내야 합니다. 노동 분야 등 개혁입법이 국회에서 하루빨리 처리되도록 최선을 다하고, 정부 차원에서 할 수 있는 과제들을 차근차근 먼저 실천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특히 유 부총리는 “국민의 소중한 세금이 조금이라도 낭비되지 않고 필요한 곳에 제대로 쓰이도록 해야 합니다. 유사·중복사업 통폐합 등을 통해 강력한 세출구조조정을 추진하고, 보조금과 출연금 부정사용도 원천 차단해야 한다”며 “통일·복지 등 재정여건 변화에 대비해 중장기 재정건전성도 지금부터 관리해야 합니다. Pay-go 원칙 도입, 지자체의 복지제도 관련 사전협의 강화 등 재정규율도 확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직원들을 대상으로는 “징비(懲毖)의 자세로 항상 깨어 있어야 한다. 선우후락(先憂後樂)이란 말이 있다”면서 “저는 선우후우(先憂後憂)라고 쓰고 싶습니다. 미국 금리인상, 신흥국 경제불안, 저유가 등 리스크가 변수가 아니라 상수가 된 지금, 후락(後樂)도 사치”라고 말했다.
또한 “리스크는 늘 새로운 모습으로 찾아온다. 우리 경제의 조기경보기로서 창조적 의심으로 위험을 미리 감지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특히, 가계부채와 경쟁력을 잃은 한계기업들이 우리 경제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취임사를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