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8일 향후 2년간 세무사계를 이끌어갈 25대 세무사회장이 결정된다.
차기회장은 업무영역 확대를 비롯 세무사징계양정규정 완화, 지방회 독립 등 세무사계 숙원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또한 세무사계의 위상 제고와 전 회원들의 단합을 위한 결집력을 만들어 내도록 포용력을 발휘해야 하는 자리다.
이런 측면에서 25대 세무사회장 선거는 세무사계의 재도약과 대 내·외적인 현안문제의 해결능력을 보유한 집행부를 선택해야 하는 중요한 행사지만 선거과정에서 세무사계의 위상에 걸맞지 않는 실망스런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각 후보들은 선거공약을 제시했지만 후보들의 선거운동 형태는 공약홍보를 통한 선거운동으로 보여지지 않는다. 더불어 회원들의 표심 또한 각 후보가 내세운 정책공약에 대한 평가보다는 친소관계를 우선시해 보였다.
궁극적으로 세무사회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회장선거가 "오히려 학연·지연·출신 등 회원간의 친소관계에 따라 편 가르기가 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물론 선거에서 이러한 현상은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겠지만 문제는 매번 선거과정에서 편 가르기가 반복되고 있으며 그 결과 선거 뒤 회원간의 불신의 골이 깊어진다는 점이다.
결국 정책선거를 외면하고 학연·지연·출신을 최우선적으로 활용하는 선거풍토는 결코 세무사계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으며 세무사계의 위상 추락과 회원 간 불신의 결과를 초래할 뿐이다.
이로 인해 차기 집행부는 이 같은 세무사계의 현안문제 해결에 앞서 무엇보다 선거로 인해 분열된 회원들의 단합을 위한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번 선거를 계기로 세무사계의 각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고시·비고시 출신을 떠나 세무사계의 발전을 위해 동일한 목표의식으로 업무에 임해야 하며 더 이상의 편 가르기는 근절해야 한다고 본다.
무엇보다 이번 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차기회장에 대해서는 깨끗한 승복과 전 회원의 적극적인 지지를 통해 회원간의 단합을 제고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