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인 : 2023년 2월4일 □ 빈소 : 김제중앙병원중앙장례식장 귀빈실(전북 김제시 동서로 77) □ 연락처 : 031-462-2411
□ 상호: 무림세무법인 □ 일시: 2023년 2월3일 □ 장소: 대구시 북구 원대로 103 유창빌딩 4층 □ 연락처: 053-341-2225
□ 과장급 전보(1명) 국세청 학자금상환과장 신예진(부산청 감사관) □ 초임 과장급 발령(1명) 부산지방국세청 감사관 고만수(서울청 조사4-관리) ( 2023.2.6.字 )
□ 일시 : 2023년 2월5일 오후 1시 □ 장소 : W웨딩 3층 에메랄드홀(부산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0 웨딩홀) □ 연락처 : 055-2588-5922(동북관세법인)
◇…지난해 하반기에 이어 올 연초에도 국세청 직원들의 안타까운 사망 소식이 전해져 직원들은 물론 세정가에서도 안타깝다는 반응. 지난해 광주청 소속 모 사무관과 세무서 직원이 갑작스럽게 사망해 비통한 분위기가 한동안 이어졌는데, 연이어 서울시내 세무서 신규 직원과 교육원에서 신규임용후보자 과정을 밟고 있던 예비 직원의 비보가 전해져 세정가에 큰 충격파. 게다가 새해 들어 지방청과 일선세무서가 아닌 본청에서 한 서기관이 유명을 달리 했다는 소식까지 또다시 전해지자 국세청 직원들은 물론 세정가 인사들도 당혹스러운 표정. 잇따른 비보에 안팎에서는 국세청 직원들의 심리적⋅육체적 건강관리에 좀 더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비등한 상황. 알려진 바에 따르면, 유명을 달리 한 이들은 지병, 업무상 스트레스 및 과로 등 다양한 복합 요인을 안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돼 직장생활에서 꼼꼼한 건강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 세정가 한 관계자는 “직원 수만 2만명에 달하는 거대 조직이어서 눈에 띄지 않을 수 있으나 지난해부터 연속된 비보를 가볍게 볼 수는 없을 것 같다”며 “무엇보다 과도한 경쟁과 업무 스트레스에 내몰리는 직원들을 치유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 발 인: 2023년 1월28일 □ 빈 소: 순천 의료원장례식장 6분향실 □ 연락처 : 061-759-9090(장례식장)
상 호 : 세무회계 한울 일 시 : 2023년 2월 3일(금) 장 소 : 대구시 남구 대명로 74 (세왕빌딩 6층) 연락처 : 053-656-7600
□상호 : 세무법인 아림 □사무실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410, 금강타워 1504호 □개업일 : 2023년 2월3일(금) 11시~21시
◇…국세청이 지난 26일 고위공무원과 부이사관 승진인사를 끝으로 지난달부터 이어져온 간부인사를 마무리한 가운데, 국세청 직원들과 세정가에서는 벌써부터 1966년생 고공단의 향후 인사행보에 큰 관심. 1966년생 고공단이 세정가의 주목을 받는 것은 이들이 연령명퇴를 1~2년 앞두고 있는데다 그 인원도 많아 고위직 인사의 변수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 1966년생 가운데 지금까지 지방청장에 오른 이는 장일현 부산청장을 비롯해 이경열 대전청장, 정철우 대구청장 3명으로, 이 가운데 이경열⋅정철우 청장은 오는 7월이 되면 ‘지방청장 재임 1년’을 맞는 상황. 통상 국세청에서는 ‘지방청장 재임 1년’이 되면 명예퇴직을 하거나 상향 전보되는 등 어떤 형태로든 보직이동을 하게 돼 올해 상반기 고위직 인사에 벌써부터 관심. 또한 이들 외에 양동구 국세공무원교육원장과 신희철 국세청 정보화관리관, 김동일 국세청 징세법무국장, 윤종건 국세청 복지세정관리단장, 박수복 중부청 조사3국장도 갈 길이 바쁘긴 마찬가지. 한 관리자는 “올해 연령명퇴 대상인 1965년생 고공단이 두 명에 불과해 1966년생들의 진퇴가 관심일 수밖에 없다”면서 “누가 어떤 지방청장 보직을 먼저 차지하게 될지,
□ 발 인 : 2023년 1월26일 □ 빈 소 : 홍천 아산병원장례식장 특A실(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산림공원1길 17) □ 연락처 : 032-744-4951(관세법인청우)
□ 발 인 : 2023년 1월26일 □ 빈 소 : 고신대 복음병원 장례식장 301(부산시 서구 암남동 34) □ 연락처 : 051-905-2101 (신해관세사무소)
◇…국세청이 지난 13일 6급 이하 전보인사를 단행한 가운데, 중부청은 ‘지방청 승진직원=강원권 순환배치’라는 특단의 인사방침을 시행하며 강원권 세무서에 덧씌워진 하향전보지라는 굴레를 벗기는 데 주력. 그간 공·사 생활에서 물의를 빚거나 부적절한 행위로 문제가 발생한 직원 상당수는 징계 또는 문책성 인사로 강원권 일선세무서에 배치돼 왔으며, 이에 따라 직원들 사이에서는 속칭 ‘유배지’라는 오명마저 낳고 있다고 이구동성으로 지적. 이같은 불만에 더해 ‘물 맑고 공기 좋고 업무량도 많지 않아서 오히려 좋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직원들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문책성 인사의 효과가 갈수록 형해화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 중부청은 이같은 문제 해소를 위해 지난해 수도권 6급 이하 경력직원의 강원권 세무서 순환배치 인사방침을 마련한데 이어, 김진현 중부청장이 1월 정기전보 인사에서 승진 직원들을 우선적으로 강원권에 배치하는 등 강원권 세무서의 업무분위기를 쇄신하고 소외감을 해소하는데 주력했다는 전언. 실제 강원권에 배치된 직원들의 말을 종합하면 “일선에 비해 비교적 빨리 승진하는 등 혜택을 누렸기에 원격지라도 강원권 근무에 불만이 없다”, “바쁜 지방청 생활에서 벗어나
◇…국세청이 26일자로 고공단 승진인사를 단행함으로써 공석으로 있던 중부청 조사3국장까지 고공단 자리가 모두 채워져 지난 연말부터 이어져 온 간부인사가 마무리. 박수복 국장이 고공단 승진과 함께 중부청 조사3국장에 임명됨에 따라 세무대 5기에서는 1급 지방청장(장일현 부산청장)을 포함해 3명의 고공단을 배출하게 된 상황. 이번 인사에서는 모두 4명이 고공단으로 승진했는데, 행시 3명⋅세대 1명으로 ‘행시 우위’ 현상이 여전했으며, 경북 3명⋅전북 1명 등 임용구분이나 출신지역 모두 한쪽으로 편중된 인사였다는 지적. 특히 공교롭게도 승진자 중 두 명은 경북 청도 출신인 점이 눈에 띄었으며, 행시 출신 3명이 승진과 함께 외부파견을 가게 된 점을 들며 승진배분에서 행시를 더 감안할 수밖에 없다는 뒷얘기도 회자. 박수복 국장이 승진과 함께 1급지 지방청 조사국장에 임명됐지만, 1급지 서울⋅중부⋅부산청 조사국장 10자리 중 9자리를 행시 출신이 차지함으로써 ‘조사국장 행시 천하’나 다름없다는 지적도 제기.
□ 고위공무원 전보(1명) ▲ 국세청(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정용대 (국세청) □ 고위공무원 승진(4명) ▲ 중부지방국세청 조사3국장 박수복(중부청 납세자보호) ▲ 국세청(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최영준(서울청 감사) ▲ 국세청(국방대학교) 지성(국세청) ▲ 국세청(국립외교원) 한창목(국세청) □ 부이사관 전보(7명) ▲ 서울지방국세청 감사관 김태호(국세청) ▲ 서울지방국세청 징세관 김길용(중부청 감사) ▲ 중부지방국세청 감사관 최종환(국세청) ▲ 중부지방국세청 납세자보호담당관 윤승출(대전청 조사1) ▲ 대전지방국세청 조사1국장 박정열(국세청 인사기획) ▲ 국세청(세종연구소) 윤성호(국세청) ▲ 국세청(카이스트) 이은규(국세청) □ 부이사관 승진(2명) ▲ 성동세무서장 이준희 ▲ 제주세무서장 이성글 □ 과장급 전보(3명) ▲ 국세청 인사기획과장 이태훈(국세청 감찰) ▲ 국세청 감찰담당관 김준우(국세청 조사분석) ▲ 국세청 조사분석과장 이법진(국세청) ( 2023. 1. 26. 字 )
(1) 세법상 특수관계인으로서 친족범위 합리화(국기령 §1의2①) 현 행 개 정 안 □ 세법상 특수관계인 중 친족의 범위 ㅇ 6촌 이내의 혈족 ㅇ 4촌 이내의 인척 □ 특수관계인 중 친족 범위 축소 ㅇ 4촌 이내의 혈족 ㅇ 3촌 이내의 인척 ㅇ 배우자(사실상의 혼인관계에 있는 자 포함) ㅇ 친생자로서 다른 사람에게 친양자 입양된 자 및 그 배우자·직계비속 ㅇ (좌 동) <추 가> ㅇ 혼외 출생자의 생부·생모 <개정이유> 친족 범위에 대한 국민인식 변화를 반영 <적용시기> ‘23.3.1. 이후 시행 (2) 직전 소유자와 설정한 저당권·임차보증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