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일부 계열사 지배구조 재편을 단행했다.
일부 자회사의 ▲철강 유통·가공 ▲B2B(기업간 거래) 등 중복 사업을 각각 포스코P&S와 포스메이트에 집중시키는 방식이다. 포스코는 업무 중복 해소를 통해 신속한 의사결정과 책임경영이 가능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8일 포스코는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정기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사업구조재편 안건을 결의했다.
포스코는 포스코AST, 포스코TMC, 엔투비 등 3개 자회사를 포스코P&S와 포스메이트에 손자회사로 편입, 구조 재편에 나서기로 했다. 포스코P&S와 포스메이트가 중간지주회사 역할을 맡게되는 셈이다.
이를 위해 포스코는 포스코P&S에 포스코AST 지분 100%와 포스코TMC 지분 34.2%를, 포스메이트에 소모성자재(MRO) 구매 대행사인 엔투비 지분 32.2%를 각각 현물출자할 예정이다.
탄소강 생산업체인 포스코P&S는 앞으로 포스코AST(스테인리스), 포스코TMC(전기강판) 등 자회사의 마케팅 조직을 흡수, 통합관리하게 된다. 간접비용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게 회사측의 분석이다.
또 포스메이트도 엔투비의 모회사로서 건물임대, 유지보수부터 소모성 자재 공급까지 사업 범위가 넓어지면서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호황기에는 제품별로 전문화하는 것이 마케팅과 수익성 확보에 유리했으나 불황기에는 통합관리하는 편이 낫다고 판단했다"며 "전문성 있는 중간지주회사가 사업성격이 유사한 손회사를 통합관리해 업무 중복을 막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려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앞으로도 사업구조 효율화를 위해 자회사의 유사·중복사업을 지속적으로 조정하고 포스코의 재무적 건전성을 높여 기업 가치를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포스코는 지난 5월 1분기 기업설명회(IR)를 통해 철강 본원 경쟁력 강화를 위해 비핵심사업 정리,재무구조 개선, 지배구조 및 경영효율화 등 3대 추진방향을 설정했다.
최근 재무구조 개선의 첫 단추로 LNG터미널의 지분 일부를 매각하기로 했으며 비핵심사업으로 분류된 포스화인, 포스코-우루과이 등의 매각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