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9.10. (수)

경제/기업

[건설교통부] 2003년 개별공시지가 6월30일 결정·공시


□ 건설교통부는 2003년1월1일 기준으로 약 7개월간에 걸쳐 조사·산정한 2,711만 필지의 개별지가를 6월 30일 시·군·구별로 공시하였다고 밝혔다.(50만 표준지는 2003. 2. 28. 이미 공시하였음)

※ 개별공시지가 2,711만 필지는 표준지공시지가 50만 필지와 함께 양도소득세, 종합토지세, 취득세 등 토지관련 각종 조세와 개발제한구역훼손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의 부과기준으로 활용됨.

 

□ 이번에 공시한 개별지가는 조사대상필지의 52.7%가 지난해에 비하여 상승(2002년도 34.0%)하였으며, 중소도시 또는 농촌지역에 비하여 대도시가 상승한 필지의 비율이 높았다.

 

 

□ 한편, 공시된 개별공시지가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경우에는 7월1일부터 7월30일까지(30일간) 토지소재지 시·군·구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으며, 관할 시장·군수·구청장은 이의신청기간 종료후 30일 이내(8월29일까지)에 적정여부를 재조사하여 이의신청인에게 통보하게 된다고 밝혔다.

 

 

◈ 건설교통부가 발표한 내용을 보면,

 

- 2003년도 개별공시지가의 경우는 전국적으로 상승필지가 하락필지보다 월등히 많았고, 특히 서울시의 경우 거의 모든 필지인 97.9%의 필지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전년대비 개별공시지가 변동필지 비율>

 

구  분

2002년도

2003년도

전  국

상승 34.0%, 동일 49.7%, 하락 15.1%

상승 52.7%, 동일 34.6%, 하락 11.4%

서  울

상승 79.4%, 동일 16.2%, 하락 3.8%,

상승 97.9%, 동일 0.7%,  하락  0.7%

7대도시

상승 45.2%, 동일 41.5%, 하락 12.3%

상승 68.9%, 동일 23.9%, 하락  6.1%

기타지역

상승 32.4%, 동일 50.8%, 하락 15.5%

상승 50.4%, 동일 36.1%, 하락 12.2%

- 전국적으로 조사대상필지의 지가가 지난해에 비해 9.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서울시는 평균 21.5%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음.

  · 서울 강남구가 평균 37.4%, 송파구가 평균 36.8%, 그리고 서초구가 평균 34.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음.

  · 서울의 주요지가 상승요인은 재건축등에 기인한 주택가격 상승, 용도지역 변경, 재개발사업, 뉴타운사업, 택지개발사업 등을 들 수 있음.

 

◈ 금년도 공시지가중 가장 비싼 곳은

- 14년째 최고지가를 고수하고 있는 서울 중구 명동 2가 33-2번지 우리은행(구 한빛은행) 명동지점 부지가 ㎡당 3,600만원(평당  1억 1천 9백만원)으로 전년도 3,330만원과 비교하여 ㎡당 270만원(평당 892만원)이 상승(8.1%)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 이에 비하여 가장 싼 곳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내령리 산131번지 임야 및 경남 밀양시 무안면 옹동리 742번지의 임야로 ㎡당 40원(평당 132원)으로 전년도 경북 봉화군 상운면 신라리 산77-5번지 임야 36원(평당 119원)과 비교하여 ㎡당 4원(평당 13원)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 한편, 용도지역별로 가장 비싼 곳과 가장 싼 곳을 살펴보면,

 

- 상업지역중 가장 비싼 곳은  전국 최고지가인 서울 중구 명동2가 33-2 우리은행 명동지점 부지가 ㎡당 3,600만원(평당 1억 1천 9백만원)이며, 가장 싼 곳은 전남 진도군 군내면 녹진리 산7-20번지로서 ㎡당 7,360원(평당 2만 4,331원)임.

- 주거지역중 가장 비싼 곳은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1가 668-18 부지가 ㎡당 401만원(평당 1,326만원)이며, 가장 싼 곳은 전남 고창군 성송면 판정리 산12-5 부지로서 ㎡당 1,550원(평당 5,124원)임.

- 공업지역중 가장 비싼 곳은 지난해와 같이 서울 구로구 구로동 602-5 서울보링공장 부지가 ㎡당 246만원(평당 813만원)이며, 가장 싼 곳은 경북 경주시 안강읍 근계리 산87-3 부지로서 ㎡당 850원(평당 2,810원)임.

- 녹지지역 중 가장 비싼 곳은 지난해와 같이 대구 동구 동인2가 78 국채보상공원 부지가 ㎡당 95만원(평당 314만원)이며, 가장 싼 곳은  경북 경주시 안강읍 두류리 산1-8로서 ㎡당 77원(평당 255원)임.

 

 

 

  참 고 자 료

 

 

 

1. 지역별 지가 동향

□ 서울等 7大 都市

○ 서울특별시는 전체적으로는 전년도에 비해 21.52%의 큰폭의 상승세를 나타났으며, 이는 2001년에 이어 2002년에도 금융기관의 저금리와 실물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투자심리 호전 등으로 상승세가 지속되었음

※ 2002년도 지가변동률 15.81%

  - 자치구별로 보면 지가가 가장 상승한 지역은 강남구(37.40%)로 건설경기 회복으로 다세대, 원룸 등의 재건축 활성화와 기대심리로 큰폭의 상승세를 나타내었으며 최저 상승 지역은 금천구(6.50%)로 나타났음

  - 서울의 주요 지가상승 요인으로는 용도지역 변경(일반주거→준주거 : 종로구 창신동 530번지 100필지 및 숭인동 9-2번지 외 71필지 70% 상승, 서초구 서초동 1501-1 일대 55% 상승, 자연녹지→일반주거 : 성북구 장위동 303번지 일대 25% 상승, 생산녹지→유통상업 : 강서구 외발산동 41-4번지 일대 506.1% 상승), 재개발사업(종로구 신문로 1가 181번지 일대  도심재개발사업 70% 상승, 동대문구 이문2동 319-64번지 일대 대림아파트 신축부지 56% 상승, 강북구 미아동 산88-5번지 일대 미아10구역 재개발지역 42% 상승, 도봉구 도봉동 89-12번지 일대 도봉역 부근 주택재개발사업 76% 상승), 뉴타운지구(성동구 상왕십리 8번지 일대 50% 상승, 은평구 진관내동 230-1 번지 일대 108.7% 상승), 택지개발지구(서초구 장지동 333-3번지 일대 45% 상승)등이 상승하였음.

 

 

  ○ 6대 광역시의 경우는 전년도에 비해 지가가 상승세를 나타냈는 바,

※ 2002년 지가변동률 부산 3.28%, 대구 2.09%, 인천 11.51%, 광주1.03%, 대전 3.24%, 울산 1.75%

  - 주요 지가상승 요인으로는 부산(기장군 기장읍 동부산권관광개발사업 및 정관신시가지 개발사업 추진 13%상승), 대구(대규모택지개발지역인 동구 일부지역 30% 상승, 성서3차2단계 상업지역 10% 상승), 인천(동구 영종·용유동 인천국제공항의 개항과 영종대교의 개통으로 20%이상 상승), 광주(동구 월남동, 선교동 위생매립장 일원의 개발제한구역해제 기대심리로 10% 상승), 대전(동구 천동, 용운동의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25% 상승), 울산(남구 무거동, 삼산동, 달동, 옥동지역이 새로운 상권형성 및 신규주택단지로 12% 상승) 등이 있음

  - 한편 지가하락의 주된 사유로는 상권퇴조를 들 수 있는데, 부산의 경우 중구 동광동과 신창동 일원 부산시청 이전에 따라 2.5% 하락하였고, 대구는 섬유경기 및 재래시장의 침체로 북구가 2.0% 하락, 광주는 구 시가지의 쇠퇴로 북구, 광산구, 동구 충장로 지역 일원이 5~8%의 하락율을 보이고 있음.

 

□ 其他 地方 中小都市 및 農村地域

 

○ 서울 등 7대도시를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은 전반적으로 지가가 상승하였음.

※ 2002년 지가변동률 : 경기 13.06%,  강원 1.88%, 충북 3.02%, 충남 2.48%, 전북 0.64%, 전남 0.95%, 경북 2.06%, 경남 2.22%, 제주 6.01%

 

○ 각 지역별로 지가상승요인을 살펴보면

 

경기도의 경우는 오산시의 세교택지개발사업 가시화 및 전철 역세권 개발, 안산시의 고잔신도시 개발사업, 고양시의 종합전시장 건립 및 일산·풍동택지개발사업 등으로 개발기대 및 대토수요 증가로 개발지역 및 주변지역의 지가가 높은 상승률을 보였음

강원도의 경우는 카지노리조트조성, 국도확·포장, 경춘선 복서전철건설, 동서고속도로, 동계올림픽유치 기대심리, 남북교류사업 기대심리가 주 요인으로 작용하였음

충남·북지역은 신 행정수도 이전과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등으로 인하여 상승하였으며, 전남지역은 전남도청 이전 및 용해, 옥암 등 대규모 택지개발사업과 서해안 고속도로개통 그리고 목포와 신안 압해간 연육·연도교사업 등에 따른 기대심리로 지가가 상승하였으며 전북지역은 특별한 사항이 없이 전년도의 지가를 유지하였음

경남지역은 부산대학이전, 대진고속국도의 개통과 진주·광양만 개발사업 및 생물화학소재 산업단지 개발, 남해와 삼천포를 있는 연륙교의 개통 등으로 지가가 상승하였으며, 경북지역은 구획정리 및 택지개발지구, 도시계획 재정비지역, 시가지 중심 상권을 중심으로 지가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음

제주도의 경우는 국제자유도시추진에 따른 개발기대 심리 등으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지가가 상승하였음

 

 

○ 지가가 대폭 하락한 지역은 없으나 금강산관광사업의 부진에 따라 기대감 위축으로 동해시가 지가변동이 거의 없었으며 중소도시의 기존 주거지역과 상업지역 및 개발요인이 없는 농촌지역은 지가가 소폭하향 내지 약보합세를 보임.

 

2. 시·도별 최고·최저지가 현황

 

단위 : 원/㎡(원/평)

구분

최고지가

최저지가

지가

소  재  지

지가

소  재  지

전국

36,000,000

(119,008,800)

서울 중구 명동2가 33-2

우리은행(표)

40

(132)

남원시 산내면 내령리

산131

서울

36,000,000

(119,008,800)

중구 명동2가 33-2

우리은행(표)

2,820

(9,322)

도봉동 산50-1

자연림

부산

21,000,000

(69,421,800)

부산진구 부전동 241-1

LG텔레콤

198

(655)

금정구 오륜동 산222-3

도시고속도로내

대구

18,000,000

(59,504,400)

중구 동성로2가 174

대구백화점

107

(354)

달성군 가창면 정대

산135-2

인천

9,300,000

(30,743,940)

부평구 부평동 199-45

대광당

151

(499)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

산246-1

광주

11,000,000

(36,363,800)

동구 충장로2가 16

광주우체국

188

(621)

동구 용연동 산 45-1

대전

10,800,000

(35,702,640)

중구 은행동 45-6

캠브리지(표)

168

(555)

대덕구 황호동 산1-1

자연림

울산

7,000,000

(23,140,600)

중구 성남동 249-5

태일약국(표)

126

(417)

울주군 상북면 이천리 산11

자연림

경기

11,000,000

(36,363,800)

수원시 팔달구 팔달로 3가

26-7 미니골드귀금속

232

(767)

연천군 중면 도연리 산 251

자연림

강원

865,000

(2,859,517)

춘천시 중앙로2가 482-251

수협냉동창고

78

(258)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 산163

생창마을북측

충북

11,500,000

(38,016,700)

청주시 상당구 북1가동 175-5

성안길 잠뱅이의류점

80

(264)

단양군 가곡면 보발리

산14-2

충남

4,940,000

(16,314,350)

천안시 신부동462-1

동명약국

108

(357)

금산군 남이면 상금리418-3

태평인삼상사

전북

8,000,000

(26,446,400)

전주시 완산구 고사동

35-2 현대약국

40

(132)

남원시 산내면 내령리

산 131

전남

5,400,000

(17,851,320)

여수시 교동 275

옴파로스(표)

52

(172)

완도군 소안면 횡간리

산30

경북

10,300,000

(34,049,740)

포항시 북구 죽도동

597-12 개풍약국(표)

45

(149)

청도군 매전면 용산리 1157

경남

9,870,000

(32,628,246)

마산시 월영동 430-18

40

(132)

밀양시 무안면 옹동리 742

제주

6,000,000

(19,834,800)

서귀포시 동홍동 1546-6

703

(2,324)

북제주군 추자면 신양리

산139

※ 주 : (표)는 표준지

 

 

3. 용도지역 및 지목별 최고·최저지가 현황

□ 용도지역별

용도지역

최고지가

최저지가

지가(원/㎡(평))

소재지

지가(원/㎡(평))

소재지

상업지역

36,000,000

(119,009,800)

서울 중구 명동2가 33-2

우리은행 명동지점(표)

7,360

(24,331)

진도군 군내면 녹진리 산7-20  상업나지

주거지역

4,010,000

(13,256,258)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1가 664-18

1,550

(5,124)

고창군 성송면 판정리산12-5

토림

공업지역

2,460,000

(8,132,268)

서울 구로구 구로동 602-5

서울보링공장

  850

(2,810)

경주시 안강읍 근계리 산87-3

자연림(표)

녹지지역

950,000

(3,140,510)

대구 중구 동인2가 78

국채보상공원

77

(255)

경북 경주시 안강읍 두류리

산1-8

※ 주 : (표)는 표준지

 

 

□ 지목별

용도지역

최고지가

최저지가

지가(원/㎡(평))

소재지

지가(원/㎡(평))

소재지

1,652,900

(5,464,157)

부산시 해운대구 중동93

나지

90

(298)

전남 완도군 청산읍 여서리 793 전

1,280,000

(4,231,424)

전남 순천시 조례동 72-27

93

(307)

전남 완도군 청산면 여서리 889 답

대지

36,000,000

(119,008,800)

서울 중구 명동2가 33-2

우리은행 명동지점(표)

223

(737)

전북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379

임야

1,690,000

(5,586,802)

서울 강남구 도곡동

199-5

40

(132)

전북 남원시 산내면 내령리

산131

공장용지

2,340,000

(7,735,572)

서울 성동구 성수1가 8-44

덕성정밀

1,300

(4,298)

강원 태백시 적각동 146

유기농 비료공장

잡종지

14,700,000

(48,595,260)

서울 종로구 을지로2가

185-6 외환은행

82

(271)

전북 남원시 산동면 부절리 산21-4

※ 주 : (표)는 표준지

 

 

4. 전년대비 공시지가 변동명세

(단위 : 필지)

구  분

전  체

변동명세

신규조사

상  승

하  락

불  변

전국

27,611,855

14,565,939

52.75%

3,125,103

11.32%

9,562,657

34.63%

408,156

1.32%

7대도시

3,480,294

2,400,632

68.98%

210,644

6.05%

833,786

23.96%

41,334

서  울

947,332

927,891

97.95%

6,754

0.71%

6,937

0.73%

7,515

부  산

627,369

351,889

56.09%

36,730

5.85%

230,696

36.77%

9,046

대  구

462,861

218,303

47.16%

46,794

10.11%

195,401

42.22%

2,992

인  천

545,685

474,052

86.87%

23,022

4.22%

38,032

6.97%

11,724

광  주

314,436

102,885

34.95%

41,758

13.28%

160,135

50.93%

2,940

대  전

225,236

130,510

57.94%

17,266

7.67%

var MYNEWS_PHOTO_LIMIT_WIDTH = parseInt("680"); var imageLoaded = function(obj) { // Run onload code. var title = obj.attr('title'); obj.attr('alt', title); obj.removeAttr('title'); var image_align_class = ""; var clazz = obj.attr('class'); if (clazz != null && clazz.length > 0) { image_align_class = " "+clazz; } // 에디터에서 들어간 기사가 아닐 경우, 태그 씌우지 않음 if(obj.attr('xtype') === undefined) { return; } obj.attr('class', 'img'); obj.removeAttr('xtype'); var w = obj.width(); if (isNaN(w)) { w = 0; } var h = parseInt(obj.css('height')); if (isNaN(h)) { h = 0; } if (w <= 0) { var timg = new Image(); timg.src = this.src; w = parseInt(timg.width); if (isNaN(w)) { //... } } if (w > MYNEWS_PHOTO_LIMIT_WIDTH) { var pct = parseFloat(MYNEWS_PHOTO_LIMIT_WIDTH) / parseFloat(w); w = MYNEWS_PHOTO_LIMIT_WIDTH; if (pct > 0 && pct < 1 && h > 0) { h = Math.floor(parseFloat(h) * pct); } } obj.css('width', w+"px"); if (h > 0) { obj.css('height', h+"px"); } if(image_align_class.trim() == "sm-image-c") { obj.wrap("

"); } else { obj.wrap("
"); } if (title != null && title.length > 1) { // 기본 공백 무시 if (title.indexOf('▲') == -1) { title = '▲ ' + title; } // obj.after("
"+title+"
"); obj.after("
"+title+"
"); } if(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news_body_area').length > 0){ if(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news_body_area')[0].getElementsByTagName('img').length > 0){ imgTag =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news_body_area')[0].getElementsByTagName('img'); for(i = 0; i < imgTag.length; i++){ width = imgTag[i].width; tableTag = imgTag[i].parentNode.parentNode.parentNode.parentNode.parentNode; if(tableTag.tagName == 'TABLE'){ tableTag.setAttribute('style',"width:" + width + "px;margin:10px auto"); } } } } } var img_caption = setInterval(make_caption, 1000); function make_caption() { /* $("img[xtype='photo']").each(function() { if($(this).width() > 0) { imageLoaded($(this)); clearInterval(img_caption); } }); */ $("div.news_body_area img").each(function() { if($(this).width() > 0) { imageLoaded($(this)); clearInterval(img_caption); } }); } // 이미지 파일이 없는 경우 no image 출력 $(".news_body_area img").each(function(){ thisImgSrc = $(this).attr('src'); $(this).attr('src',thisImgSrc); $(this).error(function(){ $(this).attr('src','/data/design/logo/default_image_20200309155148.png'); }); });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