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구 국세청 기획재정담당관 ▷1977년 ▷경북 안동 ▷포항고 ▷고려대 경영학과 ▷행시 46회 ▷진주세무서 징세과장 ▷의정부세무서 조사과장 ▷국세청 법무과 ▷서울청 조사2국 조사1과 ▷국세청 기획재정담당관실 1계장 ▷서울청 조사3국 조사2과 ▷상주세무서장 ▷조세심판원 ▷중부청 조사4국 조사2과장 ▷서울청 국제조사관리과장 ▷기재부 조세-고용보험 소득정보 연계 추진TF ▷국세청 소비세과장 ▷국세청 기획재정담당관(현) 장우정 국세청 국제조세담당관 ▷1974년 ▷충북 청주 ▷금천고 ▷서강대 ▷행시 46회 ▷역삼세무서 총무과장 ▷국세청 원천세과 ▷서울청 창의혁신담당관실 ▷네덜란드 유학 ▷국세청 국제협력담당관실 ▷안동세무서장 ▷중부청 조사2국 조사관리과장 ▷서울청 국제조사관리과장 ▷국세청 상호합의담당관 ▷국세청 국제협력담당관 ▷국세청 국제조세담당관(현) 이광섭 국세청 조사1과장 ▷1970년 ▷경기 양평 ▷화곡고 ▷세무대 8기 ▷서울지방국세청 조사2국 조사1과 ▷국세청 기획재정담당관실 ▷국세청 차장실 ▷국세청 법인세과 ▷삼척세무서장 ▷국무조정실 부패예방추진단 경제민생2과장 ▷마포세무서장 ▷국세청 대변인 ▷국세청 조사1과장(現) 박인호 광주지방국세청 조사1국장 ▷1969년
▷1968년생(55세) ▷행시38회 ▷연세대 경영학 ▷서울대 행정학(석) ▷미국, 네바다주립대 경영학(MBA, 석) ▷벨기에, 세계관세기구(WCO) 파견 ▷외교부 개발협력과장 ▷기획재정부 국토교통예산과장, 법사예산과장 ▷미국, 미주개발은행(IDB) 고용휴직 ▷국무조정실 국제개발협력본부 개발협력지원국장 ▷기획재정부 경제안보공급망기획단 부단장 ▷세제실 관세정책관(현)
김진우 서울청 조사4국장 △1968년 △경북 영주 △영광고 △세무대 6기 △고려대 세정학 석사 △8급특채 △경주세무서 △김포세무서 △부천세무서 △서울청 조사1국 △국세청 국제조사과 △강서세무서 납세자보호담당관 △서울청 조사4국3과6계 계장 △서울청 조사1국3과2팀장 △남양주세무서장 △서울청 조사4국 1과장 △국세청 조사1과장 △국세청 심사1담당관 △세종연구소 △기흥세무서장 △서울청 국제조사1과장 △송파세무서장 △서울청 송무2과장 △국세청 역외정보담당관 △서울청 조사4국장(現) 최종환 중부청 조사2국장 ▷1975년 ▷부산 ▷부산 중앙고 ▷고려대 경제학과 ▷행시 45회 ▷국세청 국제조사과 ▷국세청 조사기획과 ▷국무총리실 ▷동작세무서 징세과장 ▷서인천세무서 징세과장 ▷국세청 조사기획과 2계장 ▷경주세무서장 ▷외교부 ▷서울청 조사4국 조사2과장 ▷국세청 정책보좌관 ▷국세청 세원정보과장 ▷국세청 조사1과장 ▷카이스트 파견 ▷중부청 감사관 ▷성동세무서장 ▷중부청 조사2국장(現) 강종훈 중부청 조사3국장 ▷1976년생 ▷부산 ▷부산 남산고 ▷서울대 전산과학과 ▷기술고시 34회 ▷국세청 전산운영과 ▷국세청 정보개발2과 ▷국세청 전산기획1계장 ▷서울청 전산관리과장 ▷국세청
지난달 기준 서울지방국세청 산하 세무서장 28명 중 12명이 새 얼굴로 바뀌었다. 서울청 세무서장 지형도를 보면, 올해 명예퇴직 대상인 1966년생들이 지난달 명예퇴임으로 빠지면서 1967년생으로 주축이 이동했다. 올초 7명이던 1966년생은 4명(14.3%)으로 줄어든 반면, 1967년생은 2명 늘어난 10명(35.7%)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1968년생은 5명이었다. 이에 따라 1966~1968년생인 19명(67.9%)이 명예퇴직 가시권에 들어왔다. 1969년생은 3명으로 올초와 동일했으며, 1970년대생은 5명으로 늘었다. 세무서장들의 출신지는 전북이 7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 5명, 경북 4명, 서울·경기·충남·경남·제주 각각 2명, 충북 1명이었다. 권역별로 범위를 넓히면 호남 출신이 12명으로 절반(46%) 가량을 차지했으며, 뒤이어 영남 6명, 수도권 4명, 충청 3명, 제주 2명이었다. 올초와 비교하면 호남 출신이 10명에서 12명으로 늘었고, 제주 2명, 수도권 1명이 각각 늘었다. 반면 영남은 3명, 충청은 2명 감소했다. 임용경로별로 보면, 세무대 출신은 지난해 상반기 18명(64.3%), 하반기 17명(60.7%), 올초 15
중부지방국세청 산하 세무서장 25명을 분석한 결과, 국립세무대학 출신의 파워가 더욱 세진 것으로 나타났다. 세무서장 25명의 임용경로는 세무대 출신 18명(72%), 7급 공채 3명(12%), 9급 공채 3명(12%), 행시 출신 1명(4%)으로 나타났다. 세무대 출신은 올초보다 2명 더 늘어나며 장악력을 더욱 넓혔다. 세대 출신 세무서장은 지난해 50%대에 머물다 올해 상반기 64%, 하반기 72%로 늘어났다. 기수별로는 4기 1명, 5기 2명, 6기 4명, 7기 5명, 8기 1명, 9기 3명, 10기 1명, 14기 1명으로 6기와 7기가 주축을 이뤘다. 특히 133개 전국 세무서장 중 바늘구멍을 뚫은 9급 공채 출신 5명 중 3명이 중부청에 포진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 3명 중 안동숙 구리세무서장과 박옥임 동안산세무서장은 '9급 공채·여성' 이중벽을 깼다. 연령별로는 1966년 3명, 1967년 5명, 1968년 10명, 1969년 2명, 1970년 3명, 1975년 1명, 1985년 1명으로 나타났다. 출신지는 강원이 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북·전남 각각 5명, 충북·충남 각각 3명, 경기·경북 각각 1명이었다. □중부지방국세청 세무서장 프로필(20
부산지방국세청 산하 세무서장 19명의 특징은 △임용구분 균형 △경남 출신 우위로 요약된다. 지난달 기준 부산청 산하 세무서장을 분석한 결과, 세무대 출신이 반년전보다 1명 늘어난 9명(47.3%)으로 7급 공채 출신을 제치고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최고참인 6기 2명을 필두로 7기 3명, 8기 2명, 9기 1명, 11기 1명으로 촘촘한 스펙트럼을 보였다. 행시 출신도 2명에서 3명으로 1명 늘었다. 대신 올 상반기 9명이었던 7급 공채 출신은 7명(36.8%)으로 2명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1967년 6명, 1968년 3명, 1969년 5명, 1970년 2명, 1972년 1명, 1984년 1명, 1985년 1명으로 폭 넓게 분포했다. 출신지역은 경남 10명, 경북 3명, 서울 2명, 경기·충북·전북·전남 각 1명으로 나타났다. 여성세무서장은 1명으로, 국세청과 서울지방국세청 조사국에서 잔뼈가 굵은 행시 52회 출신의 차세대 리더인 이슬 중부산세무서장이다. □부산지방국세청 세무서장 프로필(2024.7.29.기준) 직위 성명 출생연도 출생지 고교 대학
인천지방국세청 산하 세무서장 15명을 분석한 결과, 임용구분으로는 균형을 이뤘지만 출신지역은 호남 쏠림이 뚜렷했다. 지난달 인사 기준 세무서장 경력을 살펴보면, 국립세무대학 출신 8명, 7급 공채 6명, 행시 출신 1명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세무대 출신은 8명으로 절반 이상(53.3%)을 차지하며 여전히 가장 많았지만 올초 10명에 비해 2명 줄었다. 기수별로는 6기 2명, 7기 1명, 8기 1명, 11기 1명, 12기 1명, 13기 2명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대신 빈자리는 7급 출신이 채우면서 40%(6명)로 늘었다. 행시 출신은 1명으로 나타났다. 1970년대생 젊은 세무서장이 증가한 것도 특징이다. 1960년대생은 1967년 4명, 1968년 2명, 1969년 2명으로 반년만에 절반 수준인 8명(53.3%)으로 줄었다. 1970년대생은 2명 늘어난 7명으로 1972년 1명, 1973년 2명, 1974년 3명, 1977년 1명이었다. 출신지별로는 전북 6명, 전남 4명으로 3명 중 2명은 전라도 출신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경북 2명, 서울·경기·충청·경남 각 1명이었다. □ 인천지방국세청 세무서장 프로필(2024.7.29.기준) 직
대전지방국세청 산하 세무서장 17명의 나이대가 확 젊어졌다. 1960년대생은 7명(47%) 뿐, 절반이 넘는 10명이 1970년대생, 1980년대생이었다. 특히 1980년대생이 5명(29.4%)이나 포진해 있다. 올초에는 1980년생이 2명에 불과했다. 연령별로는 1960년대생은 1966년 1명, 1967년 2명, 1968년 3명, 1969년 1명 분포했다. 1970년대생은 5명으로 1970년 2명, 1972년 1명, 1973년 1명, 1974년 1명으로 1970년대 초중반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생은 1980년 3명, 1983년 1명, 1985년 1명이다. 임용경로별로 보면 70.6%가 비행시 출신이며, 세무대 출신이 8명으로 가장 많았다. 기수별로는 6기 1명, 7기 3명, 8기 1명, 9기 1명, 10기 1명, 11기 1명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7급 공채는 3명으로 반년 전보다 1명 줄었으며, 대신 행시 출신은 5명(29.4%)으로 1명 늘었다. 9급 공채는 1명으로 동일했다. 출신지역은 충남이 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남 3명, 경기·경남·전북 각 2명, 충북·경북 각 1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7개 지방청 중 여성세무서장을 가장 많이 배출한 점
광주지방국세청 산하 세무서장 15명을 분석한 결과, 세무대학 출신이 3명 중 2명꼴로 나타났다. 국세청이 지난달 29일자로 단행한 서·과장급 인사 결과, 광주청은 관내 15명 중 3명만 교체돼 7개 지방국세청 중 인사 폭이 가장 작었다. 임용경로별로 살펴보면 세무대학 출신이 10명, 7급 공채 4명, 행시 1명으로 지난해말과 동일한 분포를 보였다. 세무대 출신은 기수별로는 5기 3명, 6기 1명, 7기 4명, 9기 1명, 13기 1명이었다. 또한 7개 지방국세청 중 유일하게 여성세무서장이 한명도 없어 눈길을 끌었다. 다른 6개 지방청에는 1~4명의 여성세무서장이 포진했는데, 대전청이 4명으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는 1966년 2명, 1967년 4명, 1968년 2명, 1969년 4명, 1971년 1명, 1975년 1명, 1978년 1명으로, 1960대생이 80%를 점유했다. 특히 서장급 이상 관리자를 대상으로 운영 중인 명예퇴직(올해 1966년생) 근접대상인 1966년~1968년생이 8명(53.3%)으로 나타났다. 출신지는 전남 11명, 전북 3명, 부산 1명이었다. □광주지방국세청 세무서장 프로필(2024.7.29.기준) 직위
대구지방국세청 산하 세무서장 14명의 지형도는 한마디로 '국립세무대학 파워·경북 우위'로 요약된다. 국세청이 지난달 29일 단행한 서·과장급 인사 결과, 세무대 출신은 북대구·상주·수성세무서장을 제외한 나머지 11개 세무서를 모두 꿰찼다. 기수별로는 5기 2명, 6기 3명, 7기 3명, 8기 1명, 10기 1명, 13기 1명으로 5~7기가 8명에 달했다. 반면 7급 공채, 9급 공채, 행시 출신은 각각 1명에 불과했다. 연령별로는 1966년 2명, 1967년 3명, 1968년 2명, 1969년 2명, 1970년 2명, 1974년 1명, 1983년 1명이며, 서장급 이상 관리자를 대상으로 운영 중인 명예퇴직 근접대상이 절반 정도다. 출신지는 경북이 11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경남과 경기는 각각 2명, 1명이었다. [프로필] 대구지방국세청 세무서장(2024.7.29.기준) 직위 성명 출생연도 출생지 고교 대학 임용구분 경산세무서장 조승현 1967년 대구 경북대
□고위공무원 가급 최재봉 국세청 차장 ▷1971년 ▷전북 완주 ▷행시39회 ▷남성고 ▷고려대 경제학과 ▷국세청 부가가치세과 ▷군산세무서장 ▷국무총리실 정책분석평가실 평가관리관실 ▷외교부 OECD 주재관 ▷서울청 조사3국1과장 ▷국세청 국제조사과장 ▷국세청 감사담당관 ▷광주청 성실납세지원국장 ▷서울청 징세관 ▷부산청 조사2국장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중부청 징세송무국장 ▷중부청 조사1국장 ▷서울청 조사2국장 ▷국세청 개인납세국장 ▷국세청 국제조세관리관 ▷국세청 법인납세국장 ▷국세청 차장(현) 정재수 서울지방국세청장 ▷1968년 ▷경북 김천 ▷대구 성광고 ▷서울대 경제학과 ▷행시39회 ▷재경부 세제실 ▷서울청 조사3국1과 ▷서울청 조사1국1과 ▷국세청 혁신기획관실 ▷창원세무서장 ▷서울청 조사4국3과장 ▷국세청 창조정책담당관 ▷국세청 세원정보과장 ▷중부청 조사3국장 ▷중부청 조사1국장 ▷국방대학교 ▷중부청 징세송무국장 ▷서울청 조사2국장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국세청 기획조정관 ▷국세청 법인납세국장 ▷국세청 조사국장 ▷서울지방국세청장(현) 박재형 중부지방국세청장 ▷1968년 ▷충남 금산 ▷서울 인창고 ▷고려대 ▷행시 39회 ▷서청주서 총무과장 ▷국세청 국제협력담
서승희 국세공무원교육원 교육운영과장 △1970년 △세무대 △세대9기 △부산지방국세청 조사2국 조사관리과 △부산지방국세청 성실납세지원국 부가가치세과 △국세공무원교육원 교육운영과장 권영림 중부청 정보화관리팀장 △1983년 △고려대학교 △행시51회 △국세청 △국세청 △중부지방국세청 정보화관리팀장 김광대 원주세무서장 △1975년 △세무대 △세대14기 △서울지방국세청 조사3국 조사관리과 △서울지방국세청 조사3국 조사1과 △원주세무서장 배일규 속초세무서장 △1970년 △세무대 △세대9기 △서울지방국세청 국제거래조사국 국제조사관리과 △서울지방국세청 조사1국 조사1과 △속초세무서장 서기열 파주세무서장 △1967년 △세무대 △세대6기 △포천세무서 동두천지서 △인천지방국세청 징세송무국 징세과 △파주세무서장 최행용 충주세무서장 △1968년 △세무대 △세대7기 △국세청 복지세정관리단 소득자료관리과 △포천세무서 동두천지서 △충주세무서장 허남승 제천세무서장 △1973년 △전북대학교 △7급공채 △해남세무서 납세자보호담당관실 △국세청 복지세정관리단 소득자료관리과 △제천세무서장 민강 논산세무서장 △1985년 △연세대학교 △행시54회 △서울지방국세청 조사1국 조사1과 △국세청 △논산세무서장
김현정 관세청 운영지원과장 ▷1978년 ▷전남 광양 ▷중경고 ▷이화여대 행정학과 ▷美럿거스대 공공정책학 석사 ▷행시 46회 ▷관세청 세원심사과장 ▷서울세관 FTA집행국장 ▷서울세관 심사국장 ▷관세청 외환조사과장 ▷관세국경위험관리센터장 ▷관세청 관세국경감시과장 ▷관세청 통관물류정책과장 ▷관세청 운영지원과장(現) 김현석 관세청 기획재정담당관 ▷1970년 ▷경북 성주 ▷경신고 ▷서강대 경제학과 ▷행시 49회 ▷관세청장 비서관 ▷관세청 조사총괄과장 ▷금융정보분석원 파견 ▷관세청 기획심사팀장 ▷관세청 외환조사과장 ▷서울세관 심사2국장 ▷부산세관 감시국장 ▷관세청 국제조사과장 ▷관세청 기획재정담당관(現) 강병로 관세청 감사담당관 ▷1970년 ▷경북 의성 ▷계성고 ▷경북대 공법학과 ▷7급 공채 ▷기재부 관세제도과 ▷부산세관 신항부두통관과장 ▷관세청 세원심사과 ▷인천세관 수출입기업지원센터장 ▷대구세관 운영과장 ▷관세청 운영지원과장 ▷관세청 행정관리담당관 ▷수원세관장 ▷관세청 감찰팀장 ▷관세청 감사담당관(現) 장세창 관세청 감찰팀장 ▷1970년 ▷안법고 ▷세무대학 13기▷방통대 무역학과 ▷8급 경채 ▷인천세관 공항휴대품검사관 ▷관세청 기획심사팀 ▷인천세관 여행자정보분석과장
김현정 관세청 통관물류정책과장 ▷1978년 ▷전남 광양 ▷중경고 ▷이화여대 행정학과 ▷럿거스태 공공정책학 석사 ▷행시 46회 ▷관세청 세원심사과장 ▷서울세관 FTA집행국장 ▷서울세관 심사국장 ▷관세청 외환조사과장 ▷관세국경위험관리센터장 ▷관세청 관세국경감시과장 ▷관세청 통관물류정책과장(現) 김태영 관세청 심사정책과장 ▷1975년 ▷경남 거창 ▷성광고 ▷고려대 행정학과 ▷행시 45회 ▷금융정보분석원 파견 ▷관세청 외환조사과장 ▷주유럽연합대사관총영사관 ▷관세청 FTA집행기획담당관 ▷인천세관 특송통관국장 ▷서울세관 조사2국장 ▷인천세관 여행자통관2국장 ▷관세청 관세국경위험관리센터장 ▷관세청 심사정책과장(現) 박천정 관세청 원산지검증과장 ▷1970년 ▷전북 정읍 ▷전일고 ▷세무대학 9기 ▷8급 경채 ▷공항세관 휴대품검사관실 ▷대산세관장 ▷관세청 조사총괄과 ▷관세청 관세국경감시과 ▷부산 신항통관감시과장 ▷관세청 국제조사과장 ▷관세청 원산지검증과장(現) -이상 3명(2024.7.2.日字)
우동욱 6심판관실 13조사관 ▷1968년 ▷경북 청도 ▷경북고 ▷경북대 행정학과 ▷7급 공채 ▷노동부 대구지방노동청 ▷해양수산부 울산지방해양수산청 ▷국무총리실 실장실·사무차장실·정책분석평가실·혁신기획관실 ▷조세심판원 조사관실 ▷관세청 전주세관장 ▷기재부 세제실 자유무역협정관세이행과장 파견 ▷조세심판원 심판조사관(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