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4.25. (금)

지방세

정부, '토지분쟁 근본적으로 해결'…세계측지계 조사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국책사업으로 우리 땅의 역사를 새로 쓴다.

 

6일 행정안전부를 비롯해 지자체에 따르면 현재 종이로 되어 있는 지적을 세계표준의 디지털지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를위해 일제의 잔재청산과 지적주권 회복 및 토지경계 분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표·지하·지상을 세계측지계 기준으로 조사한다.

 

지적재조사사업은 세계측지계 기준으로 전 국토를 입체적으로 조사 측량해 디지털화 등록하는 사업으로 현재 경상북도는 산하 23개 시·군 각 1개 지구 이상을 대상으로 6,636천㎡, 6,235필을 지정, 최첨단 측량기술로 지적재조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상북도는 6일 지적재조사사업을 위해 지난해 도지사를 위원장으로 법조계, 학계 등 전문가 10명으로 구성하는 지적재조사위원회구성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5개 시·군(영천, 상주, 군위, 영덕, 청도) 각 1개 지구에 대한 시범사업을 하고 있다.

 

경북도는 또한 지난 1. 24일 지적재조사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전 시·군 지적재조사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경산시립박물관에서 2013년 지적재조사사업 추진방향과 시범사업 사례발표 등 교육을 실시했다.

 

사업 추진절차는 시·군별 지적불부합지구를 우선대상으로 실시계획을 수립해 사업지구별 토지소유자협의회를 구성했다.

 

이 협의회는 토지소유자의 2/3이상 동의를 얻어 경북도에 사업지구지정을 신청한 후, 경상북도 지적재조사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실시계획과 사업지구지정승인을 받아 시·군별 지적재조사사업 대행자를 선정, 일필지조사와 지적재조사측량을 실시하여 경계확정 후 새로운 지적공부를 작성하게 된다.

 

정부 관계자는 “오는 2030년까지 점진적으로 시행될 지적재조사사업은 토지소유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히 요구되는 만큼 토지소유자들의 합의를 통해 이 사업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그는 이어 “경계분쟁에 따른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국민에게 더 나은 토지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며 측량 기술의 혁신과 관련 산업발전으로 이어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