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2024년 기준시가 고시…오피스텔 4.77%·상업용건물 0.96%↓
1㎡당 최고가-더 리버스 청담(오피스텔), 동대문종합상가 디동(상가)
건물 신축가격기준액, ㎡당 83만원…전년비 1만원 ↑
29일부터 국세청 홈택스·모바일 홈택스에서 열람 가능
내년 1월2일부터 31일까지 재산정 신청 접수
매년 오름세를 보여왔던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에 대한 기준시가가 내년 일제히 하락했다.
국세청이 29일 정기 고시한 2024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에 따르면, 오피스텔은 고시 이래 최초로 전년 대비 4.77% 하락했으며, 상업용 건물 또한 지난 2015년 이후 9년만에 0.96% 하락했다.
□연도별 기준시가 변동률(단위:%)
시행일 |
구 분 |
전국 |
서울 |
경기 |
인천 |
대전 |
광주 |
대구 |
부산 |
울산 |
세종 |
'24.1.1. |
오피스텔 |
-4.77 |
-2.66 |
-7.27 |
-4.44 |
-4.40 |
-5.58 |
-7.90 |
-1.93 |
-3.89 |
-1.78 |
상업용 건물 |
-0.96 |
-0.47 |
-1.05 |
-1.54 |
-2.21 |
-2.09 |
-2.25 |
-0.92 |
-3.19 |
-3.27 |
|
'23.1.1. |
오피스텔 |
6.06 |
7.31 |
6.71 |
3.98 |
5.08 |
0.67 |
-1.56 |
2.90 |
0.38 |
-1.33 |
상업용 건물 |
6.32 |
9.64 |
5.10 |
2.39 |
2.07 |
1.27 |
2.21 |
3.89 |
0.61 |
-3.51 |
|
'22.1.1. |
오피스텔 |
8.05 |
7.03 |
11.91 |
5.84 |
6.92 |
2.41 |
3.34 |
5.00 |
-1.27 |
1.22 |
상업용 건물 |
5.34 |
6.74 |
5.05 |
3.26 |
1.72 |
3.31 |
2.83 |
5.18 |
1.44 |
-1.08 |
|
'21.1.1. |
오피스텔 |
4.00 |
5.86 |
3.20 |
1.73 |
3.62 |
1.01 |
0.73 |
1.40 |
-2.92 |
-1.18 |
상업용 건물 |
2.89 |
3.77 |
2.39 |
2.99 |
1.75 |
1.67 |
2.82 |
1.29 |
0.87 |
-0.52 |
|
'20.1.1. |
오피스텔 |
1.36 |
3.36 |
0.36 |
-2.30 |
1.91 |
0.15 |
-2.41 |
-1.33 |
-2.22 |
-4.14 |
상업용 건물 |
2.39 |
2.98 |
2.64 |
1.21 |
1.67 |
2.33 |
4.25 |
-0.17 |
-0.35 |
-4.06 |
|
'19.1.1. |
오피스텔 |
7.52 |
9.36 |
9.25 |
2.56 |
0.10 |
5.22 |
2.83 |
1.26 |
-0.21 |
- |
상업용 건물 |
7.56 |
8.51 |
7.62 |
6.98 |
4.76 |
5.44 |
8.40 |
4.51 |
1.69 |
- |
|
'18.1.1. |
오피스텔 |
3.69 |
5.02 |
2.29 |
2.49 |
-0.50 |
2.41 |
1.51 |
3.46 |
0.37 |
- |
상업용 건물 |
2.87 |
3.67 |
2.17 |
2.78 |
1.21 |
2.89 |
4.03 |
2.86 |
1.37 |
- |
|
'17.1.1. |
오피스텔 |
3.84 |
4.70 |
2.24 |
1.57 |
0.76 |
3.38 |
1.42 |
6.53 |
0.00 |
- |
상업용 건물 |
2.57 |
2.47 |
2.12 |
2.12 |
2.27 |
4.19 |
4.14 |
5.76 |
-1.43 |
- |
|
'16.1.1. |
오피스텔 |
1.56 |
1.53 |
1.93 |
1.15 |
0.91 |
3.23 |
3.39 |
0.97 |
0.77 |
- |
상업용 건물 |
0.83 |
-0.57 |
1.28 |
1.08 |
0.23 |
1.63 |
5.97 |
2.18 |
-0.39 |
- |
|
'15.1.1. |
오피스텔 |
0.62 |
0.68 |
1.14 |
0.19 |
1.19 |
0.28 |
2.53 |
-0.89 |
1.08 |
- |
상업용 건물 |
-0.14 |
-1.25 |
0.27 |
0.18 |
0.91 |
1.24 |
2.52 |
-0.03 |
0.82 |
- |
|
'14.1.1. |
오피스텔 |
0.91 |
2.12 |
0.26 |
-0.92 |
-0.15 |
0.70 |
3.48 |
-0.67 |
-0.10 |
- |
상업용 건물 |
-0.38 |
-0.80 |
-0.49 |
-0.02 |
-0.72 |
0.14 |
3.23 |
-0.19 |
0.99 |
- |
|
'13.1.1. |
오피스텔 |
3.17 |
3.55 |
3.51 |
0.83 |
-0.06 |
1.61 |
2.09 |
2.89 |
7.93 |
- |
상업용 건물 |
-0.16 |
-0.15 |
-0.50 |
-0.16 |
-0.20 |
0.14 |
1.52 |
0.66 |
0.97 |
- |
|
'12.1.1. |
오피스텔 |
7.45 |
7.64 |
8.25 |
0.90 |
5.37 |
0.52 |
-0.48 |
10.76 |
6.02 |
- |
상업용 건물 |
0.58 |
1.73 |
-1.02 |
0.06 |
-1.74 |
-0.21 |
3.70 |
4.20 |
2.74 |
- |
|
'11.1.1. |
오피스텔 |
2.03 |
2.81 |
1.60 |
0.06 |
-0.11 |
-0.57 |
-0.72 |
2.26 |
-0.67 |
- |
상업용 건물 |
-1.14 |
-0.60 |
-2.24 |
-0.90 |
-1.13 |
-0.74 |
0.17 |
1.45 |
-2.94 |
- |
|
'10.1.1. |
오피스텔 |
3.12 |
5.55 |
1.35 |
1.48 |
0.00 |
-3.56 |
-1.75 |
-0.02 |
-0.14 |
- |
상업용 건물 |
-0.26 |
0.26 |
-1.17 |
1.69 |
-0.13 |
-0.95 |
-2.06 |
0.76 |
-1.41 |
- |
|
'09.1.1. |
오피스텔 |
2.96 |
3.41 |
3.93 |
1.64 |
-1.00 |
-2.39 |
-0.59 |
-0.12 |
0.40 |
- |
상업용 건물 |
-0.04 |
1.26 |
-1.12 |
1.11 |
-1.80 |
-2.69 |
-0.76 |
-0.13 |
-1.78 |
- |
|
'08.1.1. |
오피스텔 |
8.28 |
9.33 |
7.71 |
7.97 |
8.16 |
6.96 |
6.75 |
5.20 |
7.79 |
- |
상업용 건물 |
7.95 |
10.44 |
5.46 |
10.46 |
5.99 |
7.48 |
7.06 |
7.45 |
6.57 |
- |
|
'07.1.1. |
오피스텔 |
6.45 |
7.46 |
5.69 |
6.43 |
7.14 |
-2.72 |
6.17 |
5.14 |
4.45 |
- |
상업용 건물 |
7.33 |
9.98 |
5.79 |
8.45 |
6.00 |
-7.89 |
6.35 |
6.54 |
4.63 |
- |
|
'06.1.1. |
오피스텔 |
14.97 |
14.83 |
16.25 |
16.47 |
6.48 |
13.74 |
7.08 |
13.08 |
16.22 |
- |
상업용 건물 |
16.79 |
18.90 |
16.59 |
14.80 |
11.31 |
7.26 |
16.43 |
15.09 |
16.03 |
- |
<자료-국세청>
올해 고시 물량은 오피스텔 122만호, 상업용 건물 107만호 등 총 229만호로, 전년 대비 5.9% 증가했다.
고시가격은 부동산 경기 침체와 금리상승 기조가 이어지면서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 모두 전년대비 하락했다.
오피스텔 기준시가는 전국 평균 4.77% 하락한 가운데, 충남이 13.03%로 가장 많이 하락했으며, 전북이 8.3%, 대구가 7.9% 각각 하락했다.
상가의 경우 세종과 울산이 각각 3.27% 및 3.19% 하락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유동인구 부족으로 상권침체 및 공실 장기화가 상가 기준시가 하락세의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다.
□지역별 기준시가 변동률(단위:%)
구 분 |
오피스텔 |
상업용 건물 |
구 분 |
오피스텔 |
상업용 건물 |
전국 |
-4.77 |
-0.96 |
세종 |
-1.78 |
-3.27 |
서울 |
-2.66 |
-0.47 |
강원 |
-4.73 |
해당없음 |
경기 |
-7.27 |
-1.05 |
충북 |
-5.22 |
|
인천 |
-4.44 |
-1.54 |
충남 |
-13.03 |
|
대전 |
-4.40 |
-2.21 |
경북 |
-6.90 |
|
대구 |
-7.90 |
-2.25 |
경남 |
-4.43 |
|
광주 |
-5.58 |
-2.09 |
전북 |
-8.30 |
|
부산 |
-1.93 |
-0.92 |
전남 |
-6.92 |
|
울산 |
-3.89 |
-3.19 |
제주 |
-7.26 |
<자료-국세청>
반면 서울·경기 및 부산 등의 일부 지역에서는 소폭의 상승세 또는 보합세를 보이는 지역도 있었는데, 해당 지역의 경우 유동인구가 증가하고 재개발·재건축 등으로 인한 투자수요 증가가 주된 요인으로 꼽혔다.
1㎡당 기준시가가 가장 높은 오피스텔은 강남구에 소재한 더 리버스 청담으로 1천285만5천원이며, 상가의 경우 종로구에 소재한 동대문종합상가 디동으로 2천642만5천원으로 나타났다.
건물 신축가격기준액도 조정돼 전년도 82만원에서 1만원이 상향된 ㎡ 당 83만원이 적용된다.
2024년 건물 기준시가 주요 조정사항

한편 국세청이 고시하는 기준시가는 2024년1월1일 이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에 대한 상속·증여세 및 양도소득세 과세시 활용되는데 시가를 알 수 없는 경우에 한해 기준시가로 과세한다.
또한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알 수 없는 재산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가액에서 차감하는 취득가액 계산시 기준시가를 활용한다.
다만 오피스텔·상업용 건물에 대한 취득세·재산세 및 종합부동산세와 건강보험료 등 사회보험료 부과시에는 행안부의 시가표준액이 적용되는 등 국세청이 고시하는 기준시가는 활용되지 않는다.
이번에 고시된 기준시가는 29일 오전 9시부터 국세청 홈택스와 모바일 홈택스에서 열람할 수 있으며, 기준시가에 이의가 있는 소유자나 그 밖의 이해관계자는 기준시가 재산정을 신청할 수 있다.
재산청 신청 방법은 국세청 누리집 또는 국세청 홈택스 기준시가 조회 화면 하단의 ‘2024년 오피스텔·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열람 및 재산정 신청’ 배너에 접속한 후 신청하거나, 재산정 신청서 서식을 내려받아 작성 후 관할세무서에 우편 또는 방문 제출하면 된다.
재산정 신청기간은 내년 1월2일부터 31일까지 가능하며, 접수된 물건에 대해서는 기준시가를 재조사해 2월29일까지 통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