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1.05. (일)

경제/기업

대기업 10곳 중 9곳 "하반기 투자, 상반기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확대"

상반기 대비 비슷 74.2%, 확대 16.7%, 감소 9.1% 
대기업 43.9%, AI 관련 투자계획 수립·검토 중
투자 촉진과제 ①규제 완화②세제지원③물가안정

 

대기업 10곳 중 9곳이 올해 하반기 상반기 수준의 투자를 유지하거나 확대할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43.9%는 AI 관련 투자 계획을 수립했거나 검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국내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로 기업 규제 완화와 법인세 감세·투자 공제 등 세제지원 강화 등을 지목했다.

 

8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하반기 주요 대기업 국내 투자계획’(132개사 응답)을 조사한 결과, 올해 상반기와 비슷한 규모로 투자하겠다는 응답이 74.2%로 가장 많았다. 상반기 대비 투자 규모를 확대하겠다는 응답은 16.7%,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9.1%로 조사됐다.

 

하반기 투자를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노후화된 기존 설비 교체·개선(31.8%)과 업황 개선 기대감(31.8%)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불황기 적극적인 투자로 경쟁력을 확보(13.7%)하겠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반면 투자를 축소하겠다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고금리 등 글로벌 통화긴축 지속 전망(33.4%), 원가 상승에 따른 리스크 확대(16.7%) 등을 지적했다.

 

한경협은 기업들이 고금리 등 통화 긴축 지속을 우려하고 있지만 글로벌 수요 증가 등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 전체적으로 상반기 대비 투자를 유지하거나 늘리는 기업이 많았다고 풀이했다.

 

기업 10곳 중 4곳(43.9%)은 AI 투자를 계획(10.6%)했거나 검토(33.3%)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AI 관련 투자 이유는 생산공정 및 물류시스템 효율화(46.6%)를 가장 많이 꼽았다. 뒤이어 신제품 개발 및 서비스 품질 향상(29.3%), 데이터 분석 및 전략 수립(13.8%) 순으로 응답했다.

 

기업들은 하반기 투자활동을 저해하는 가장 큰 리스크로 글로벌 긴축에 따른 고금리 지속(28.0%)을 지목했다. 뒤이어 고환율 지속(21.2%)과 경기둔화 등 경제전망 불확실(16.7%)을 주요 투자위험으로 꼽았다.

 

투자활동이 본격화되는 시기에 대하여, 응답기업 10곳 중 4곳(37.1%)은 내년 상반기로 전망했으며, ‘이미 활성화’ 되었다는 응답은 24.2%, 올해 하반기는 15.2%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올해 하반기는 글로벌 긴축 여파로 성장 둔화가 예상되는 반면, 내년에는 세계경제 회복과 함께 금리·물가 등 주요 지표 안정이 기대됨에 따라 기업들이 투자 활성화 시점을 내년으로 꼽고 있다고 관측했다

 

기업들은 국내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로 투자 관련 규제 등 기업 규제 완화(25.0%)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법인세 감세·투자 공제 등 세제지원 강화(22.7%), 물가 안정(12.9%) 등으로 응답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들은 고금리, 고환율 장기화로 자금사정이 악화되는 등 경영환경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기업들이 투자 여력을 확충할 수 있도록 세제지원 확대, 규제 완화를 추진하는 한편, R&D 인센티브를 통해 미래산업에 대한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