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0대의 소득 대비 가계 대출 비율(LTI)이 262.2%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벌 수 있는 돈의 2.6배에 달하는 대출을 일으킨 셈이다. 특히 20·30대 등 청년층의 LTI 증가폭이 커졌다. 이에 자산 과세를 강화해 자산 가격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장혜영 의원(정의당)이 11일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0대의 LTI는 262.2%로 1년새 24%p 급증했다.
같은 시기 전체 가계의 LTI는 229.1%로 전년 대비 11.6%p 증가했다. 같은 기간 20대의 LTI는 23.8%p, 50대는 6%p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청년층의 부채 상환 부담이 빠르게 불어난 셈이다.
| 
			     | 
			
			 전 체  | 
			
			 연령대별  | 
		||||
| 
			 20대 이하  | 
			
			 30대  | 
			
			 40대  | 
			
			 50대  | 
			
			 60대 이상  | 
		||
| 
			 2017. 3월말  | 
			
			 206.6  | 
			
			 106.6  | 
			
			 213.9  | 
			
			 203.6  | 
			
			 207.8  | 
			
			 251.4  | 
		
| 
			 2017. 6월말  | 
			
			 209.3  | 
			
			 108.7  | 
			
			 217.6  | 
			
			 207.5  | 
			
			 209.9  | 
			
			 252.0  | 
		
| 
			 2017. 9월말  | 
			
			 211.7  | 
			
			 110.9  | 
			
			 223.1  | 
			
			 210.5  | 
			
			 210.4  | 
			
			 251.9  | 
		
| 
			 2017.12월말  | 
			
			 212.9  | 
			
			 111.4  | 
			
			 224.1  | 
			
			 211.7  | 
			
			 210.2  | 
			
			 255.6  | 
		
| 
			 2018. 3월말  | 
			
			 213.1  | 
			
			 112.9  | 
			
			 227.0  | 
			
			 213.0  | 
			
			 210.4  | 
			
			 251.8  | 
		
| 
			 2018. 6월말  | 
			
			 214.8  | 
			
			 115.7  | 
			
			 229.8  | 
			
			 214.2  | 
			
			 210.7  | 
			
			 254.9  | 
		
| 
			 2018. 9월말  | 
			
			 215.7  | 
			
			 115.0  | 
			
			 231.7  | 
			
			 216.5  | 
			
			 210.6  | 
			
			 254.8  | 
		
| 
			 2018.12월말  | 
			
			 217.1  | 
			
			 118.8  | 
			
			 235.2  | 
			
			 218.0  | 
			
			 211.2  | 
			
			 252.1  | 
		
| 
			 2019. 3월말  | 
			
			 216.9  | 
			
			 115.7  | 
			
			 234.7  | 
			
			 218.5  | 
			
			 209.6  | 
			
			 254.5  | 
		
| 
			 2019. 6월말  | 
			
			 218.2  | 
			
			 119.9  | 
			
			 236.5  | 
			
			 220.3  | 
			
			 211.0  | 
			
			 253.4  | 
		
| 
			 2019. 9월말  | 
			
			 214.7  | 
			
			 119.1  | 
			
			 232.0  | 
			
			 215.7  | 
			
			 206.4  | 
			
			 253.9  | 
		
| 
			 2019.12월말  | 
			
			 217.5  | 
			
			 124.0  | 
			
			 238.3  | 
			
			 219.5  | 
			
			 207.6  | 
			
			 251.6  | 
		
| 
			 2020. 3월말  | 
			
			 218.6  | 
			
			 130.3  | 
			
			 244.4  | 
			
			 221.0  | 
			
			 207.0  | 
			
			 246.3  | 
		
| 
			 2020. 6월말  | 
			
			 221.2  | 
			
			 135.4  | 
			
			 247.6  | 
			
			 223.4  | 
			
			 208.1  | 
			
			 249.5  | 
		
| 
			 2020. 9월말  | 
			
			 225.3  | 
			
			 141.5  | 
			
			 254.9  | 
			
			 228.9  | 
			
			 211.6  | 
			
			 248.8  | 
		
| 
			 2020. 12월말  | 
			
			 229.1  | 
			
			 147.8  | 
			
			 262.2  | 
			
			 232.8  | 
			
			 213.6  | 
			
			 248.4  | 
		
| 
			 주 : 1) 증빙소득 또는 신용조회회사의 소득 추정치 자료 : 한국은행(가계부채 DB)  | 
		||||||
▲ 연령대별 소득1) 대비 가계대출 비율(LTI)(단위:%).(자료=장혜영 의원실)
장 의원은 “지난해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 가격이 폭등해 청년들의 불안 심리를 자극한 탓”이라며 “이들이 무리하게 빚을 낸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장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신규취급액 총 86조원 중 30대가 대출한 금액이 전체의 35.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빚을 내 주식 투자한 신용융자거래 잔액도 20~30대 청년층이 1년새 큰 증가폭을 보였다.
실업률도 LTI를 끌어올린 원인으로 지목됐다. 장 의원은 “지난해 청년층 고용보조지표에 따르면, 청년 4명 가운데 1명이 실업 상태였다”며 “청년 실업이 소득에 악영향을 미쳐 LTI 폭등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봤다.
장 의원은 “자산 가격 폭등, 고용 불안 등으로 청년들이 버는 돈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빚을 떠안고 있다”며 “이럴 때 LTV·DTI 등 부동산 대출 규제를 완화하는 것은 청년 가계의 부실 뿐 아니라 자산 격차를 더욱 키우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시급한 것은 대출 규제 완화가 아니라 자산 과세 강화를 통해 자산 가격을 안정시키는 일”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