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구 관세청 차장, 동해세관서 4차 마약밀수 특별대책 추진단 회의 주재
해상화물 통한 대형 마약 밀수 저지 위해 부산·인천·평택세관에 특별검사팀
후방 산란방식 기능 추가된 신형 컨테이너 검색기 부산항부터 순차 도입


해상을 통한 마약밀수 건당 중량이 최대 톤 단위에 달할 만큼 대규모인 점을 반영해, 마약 우범국을 출발하거나 경유한 이력이 있는 선박에 대해서는 세관의 검사선별과 집중검사가 강화된다.
검사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선 선박 하부를 원격으로 검색할 수 있는 수중비디오촬영장치(ROV)와 마약에 부착된 GPS신호를 탐지할 수 있는 GPS탐지기 등 첨단 검색장비를 도입하고, 주요 항만세관에 마약탐지견을 추가 배치하는 등 마약단속 인프라가 확충된다.
이명구 관세청 차장은 7일 동해세관에서 전국 항만세관의 선박·해상화물 감시·검사 담당과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4차 마약밀수 특별대책 추진단 회의를 열고, 선박·해상화물을 이용한 마약밀수 대응 방안을 중점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2일 미국 국토안보수사국(HSI)과 연방수사국(FBI) 첩보로 관세청이 해양경찰청과 함께 강릉 옥계항에 입항한 선박에서 코카인 2톤을 적발한데 따른 후속 조치다.
관세청은 이날 회의에서 선박에 대한 검사선별과 집중검사를 위하 마약단속 인프라 확충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해상화물에 은닉된 마약을 적발하기 위해 부산·인천·평택 등 주요 항만세관에 해상화물 마약특별검사팀을 편성하고 우범국발 화물에 대한 집중검사에 나서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마약은닉 여부 판단에 효과적인 후방 산란방식 기능을 추가한 신형 컨테이어 검색기도 부산항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동남아·중남미의 주요 마약출발국 세관 등 국내외 마약단속 기관과 공조를 더욱 공고히 해 우범정보 입수를 확대·강화할 방침이다.
이명구 관세청 차장은 이날 회의를 주재한 후 강릉 옥계항과 속초항 등 강원지역 항만의 마약단속 현장을 직접 점검하고 현장 직원들을 격려했으며, “대규모 마약이 국내에 반입되며 우리 사회와 국민에게 심각한 폐해를 일으키는 만큼 해상을 통한 마약 밀반입 단속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관세청이 적발한 선박 및 해상화물을 이용한 마약밀수는 지난달 2일 적발된 코카인 2톤을 포함해 최근 5년간 총 20건, 3톤에 달한다.
같은 기간 관세청이 적발한 전체 마약밀수 중 건수 비중은 0.5%로 높지 않지만, 중량 비중은 53.6%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관세청에 적발된 대표적인 해상 마약 밀수입 사례로는 △2021년 부산항에 반입된 멕시코발 해상화물에서 메트암페타민 402.8kg, 페루발 해상화물에서 코카인 400kg △2024년 울산 온산항에 입항한 캐나다발 선박 하부에서 코카인 28.4kg, 부산항에 입항한 미국발 해상화물에서 코카인 33.2kg △2025년 강릉 옥계항에 입항한 멕시코발 선박 내부에서 코카인 2톤 등이 적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