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을 뛰어넘는 임금 인상률이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저해하고 신규고용 창출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경련은 최근 발간한 '주요기업 임금-생산성 조사결과'보고서에서 국내외 경쟁기업을 비교분석한 결과 우리 기업의 임금수준이 생산성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따라서 전경련은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생산성과 연계된 임금결정 방식을 정착시키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임금수준을 상회하는 생산성 증가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제조업 해외이전은 막을 수 없는 대세라는 설명이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전경련은 노조가 스스로 임금을 동결한 도요타의 사례처럼, 先성과 後분배 원칙에 입각한 임금체계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자동차 6개사 중 현대차와 기아차의 생산성이 최하위를 기록했다.
예를 들어 지난 2006년 현재 포드, GM 혼다, 도요타 등의 조립생산성(HPV : 대당 조립시간)은 21.1~23.2로 현대차 31.1, 기아차 37.5 등과 생산성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요타와 비교해 2006년 기준 현대차의 1인당 생산대수는 도요타의 43%, 1인당 매출액은 40.8%, 1인당 영업이익은 22.2%에 불과했다.
이러한 현대차의 생산성은 해마다 더욱 악화돼 현대차의 1인당 영업이익이나 1인당 생산대수가 2003년 이후 꾸준히 하향곡선을 그려 급격한 임금 상승과 대조를 이루었다.
전경련은 생산성을 초과하는 과도한 인건비 상승으로 기업들이 국내 투자를 꺼리게 돼 이에 대한 근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생산성을 초과하는 임금수준 문제가 시정돼야 정규-비정규직간 임금차별 문제도 해결이 가능하다고 전제, 정부 노동정책의 초점을 고용보호 중심에서 ‘생산성과 연계된 적정임금 수준 유지’로 전환할 것을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