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2025년 국민 소비지출계획 조사
축소 53%>확대 47%…소비 양극화 전망
국민 절반 이상이 내년 소비지출을 축소할 계획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물가가 지속되고 경기침체에 따른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소비심리가 악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국민들은 소비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로 ▷물가·환율 안정(42.1%)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완화(20.1%) ▷ 금리 조절(11.3%) 등을 지적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025년 국민 소비지출계획’ 조사 결과, 응답자 과반(53.0%)은 내년 소비지출을 올해 대비 축소할 계획이라고 답했다고 19일 밝혔다.
내년 소비 전망은 고물가에 더 민감한 저소득층일수록 지갑을 닫으면서 소득별 소비 양극화가 심화될 전망이다.
소득 상위 40%(4~5분위)는 내년 소비를 올해에 비해 늘릴 것이라고 답했지만, 하위 60%(소득 1~3분위)는 줄일 것으로 전망해 대조를 이뤘다.
특히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내년 소비 전망 감소폭이 컸다. 소득 하위 20%(1분위)는 마이너스 폭이 6.3%에 달했으며, 2분위 4.0%, 3분위 0.1%로 마이너스 폭이 줄었다. 반면 소득 상위구간인 4분위는 1.1%, 5분위 1.2% 소폭 증가했다.
소득이 낮을수록 고물가와 경기침체에 따른 영향에 민감하기 때문에 소득수준에 반비례해 소비지출 감소폭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국민들은 내년 소비 지출을 축소하려는 이유로 △고물가 지속(44.0%)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다음으로 △소득 감소‧실직 우려(15.5%)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증가(8.5%)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 감소 예상품목으로는 여행·외식·숙박(17.6%)이 가장 많았고 여가·문화생활(15.2%), 의류‧신발(14.9%) 순으로 나타나 야외 활동과 관련된 분야를 중심으로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음식료품(23.1%), 주거비(전‧월세, 전기‧가스‧수도 등 18.0%), 생필품(화장지‧세제 등 11.5%) 등 생활에 꼭 필요한 필수 소비재 품목을 중심으로 소비지출 증가가 예상됐다.
국민들은 내년 소비 활동 리스크 요인으로 △고환율·고물가 지속(43.2%)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증가(16.4%) △자산시장(부동산 등) 위축(12.7%) 등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소비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로 △물가·환율 안정(42.1%)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완화(20.1%) △금리 조절(11.3%) 등을 지목했다.
국민 대다수(75.7%)는 소비가 다시 활성화되는 시점을 2026년 이후가 될 것이라 응답했다. 소비 활성화 시점으로 ▷기약없음 35.1% ▷2026년 24.6%(상반기 14.8%, 하반기 9.8%) ▷2027년 이후 16.0% 등 최소 2026년 이후를 예상하는 응답이 75.7%를 차지했다. ▷이미 활성화(2.5%) 혹은 ▷2025년(상반기 5.8%, 하반기 16.0%)이라는 응답은 24.3%에 불과했다.
국민 10명 중 4명은 가계 형편이 어려워질 것으로 응답해 내년 소비심리가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가계 형편이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42.2%(악화 33.0%, 매우 악화 9.2%)였다.
형편이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12.2%(개선 10.7%, 매우 개선 1.5%)로 부정적 응답의 3분의 1에도 못 미쳤다.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45.6%였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지난 11월13일~20일간 실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