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7.03. (목)

경제/기업

트럼프 관세 압박에…OECD 경제단체 "하반기 경기 급랭"

OECD 국가 경제단체들이 일제히 올 하반기 비관적 경제 전망을 내놓았다. 미국의 관세정책 불확실성과 보호무역주의 확산, 여기에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및 최근 이란-이스라엘을 둘러싼 중동지역 갈등 등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더해지며,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경고음이 켜졌다.

 

전세계 GDP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는 OECD 회원국들의 경제가 급격히 얼어붙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우리나라 수출에도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한국경제인협회는 OECD 경제산업자문위원회(BIAC)이 회원국 경제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경제정책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3일 밝혔다. BIAC에는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를 포함해 총 45개국 경제단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에는 그중 36개 회원국 경제단체가 응답에 참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OECD 회원국 경제단체들은 올해 하반기 경영환경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가을 조사에서는 경영환경을 ‘좋음’으로 평가한 비율이 78%에 달했으나, 올해는 16%로 무려 62%포인트 급감하며 체감경기가 급속히 위축된 양상을 보였다.

 

전체 응답국의 97% 이상은 무역장벽이 자국 경제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답했다. 응답국 중 60%는 최근 무역정책 변화로 인해 자국 GDP의 0.5%포인트 이상 손실 발생을 예상했고, 37%는 GDP의 0.25%포인트 이상 감소를 전망했다. 이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발 관세정책, 무역협정 재검토 가능성 등 국제 통상질서의 불확실성이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의 투자심리도 위축됐다. 지난해 조사 당시 응답한 OECD 회원국 중 76%가 내년 투자전망을 ‘완만히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지만, 올해 조사에서는 이 비율이 19%로 대폭 하락했다. 반면 70%는 투자가 ‘완만히 감소할 것’이라고 답해 지난해와 대조를 보였다.

 

동시에 응답국 중 55%가 인플레이션이 지난해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해, 물가 압력이 다시 고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BIAC 역시 ”지속되는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무역장벽이 세계경제 전반에 구조적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는 “기업들의 체감경기와 투자심리를 급속히 위축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OECD 회원국 경제단체들은 기업활동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지정학적 불확실성(86%)을 가장 많이 꼽았다. 무역·투자 장벽(66%), 공급망 혼란(43%), 에너지 가격(24%), 노동시장 불균형(21%) 등이 뒤를 이었다. 노동을 비롯한 규제·행정 부담(18%), 조세부담(16%)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았다.

 

대내적 이슈 중 특히 노동력 부족과 숙련도 격차 등 노동시장 불균형 문제가 기업들이 직면한 핵심과제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국의 95%가 노동시장 불균형 문제를 중요한 대응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66%는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BIAC은 이에 대해 “OECD 국가들이 장기 저성장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고실업과 노동력 부족이 동시에 발생하는 구조적 병목 현상이 현실화되고 있다”며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OECD 회원국 경제단체들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OECD의 정책 우선순위 분야로 국제무역(93%), 디지털 정책(58%), 기후·에너지 정책 공조(53%) 등을 꼽았다(복수응답). 이 중 ‘국제무역’ 응답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각국이 글로벌 통상질서 회복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IAC은 이번 조사에 대해 “글로벌 기업들은 무역장벽 확대와 지정학 갈등 속에서 더 이상 자국 정책만으로는 대응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OECD가 무역질서 회복과 디지털 규범 조율을 이끌어가는 다자협력의 핵심 축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내수 회복세도 제한적인 가운데, 지금이 대외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면밀한 대응을 위해 민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