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도 광업·제조업 분야의 시장구조 조사 결과 독과점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산업은 담배, 맥주, 위스키, 정유 등 총 56개로 전년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8일 광업·제조업 분야에 대한 2013년 기준 시장구조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표했다. 【주요 독과점구조 유지산업 분석】(단위: 억 원, 2013년 기준)산업 CR3 HHI 총 출하액 평균 출하액 순부가 가치비율 R&D 비율 정유 78.3% 2,328 1,291,300 80,710 13.2% 0.26% 승용차 92.4% 3,081 761,320 47,580 23.8% 3.49% 화물차 95.9% 4,116 48,040 8,010 23.9% 3.49% 담배 100.0% 5,386 29,780 7,440 55.0% 1.31% 맥주 99.9% 5,321 22,750 4,550 64.9% 0.41% 위스키 87.1% 3,166 1,870 190 35.6% 0.41% 독과점평균 (56개) 92.8% 5,395 76,760 3,440 33.4% 2.2% 전체평균 (476개) 44.5% 1,451 31,270 610 27.3% 2.4% 공정위의 조사에 따르면, 2013년
수급사업자에게 가공작업을 제조위탁하면서 선급금과 이에 따른 지연이자를 지급하지 않은 기계설비업체 ㈜케이에이치피티가 공정위로부터 시정명령과 교육이수명령을 부과받게 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8일 수급사업자에게 플랜트 설비 가공작업을 제조위탁하면서 선급금 3억1천150만원을 지급하지 않은 ㈜케이에이치피티에게 시정명령과 지연이자 2천463만원의 지급명령을 부과했다고 밝혔다. ㈜케이에이치피티는 2013년 1월 '3차 화학용품 및 암모니아 열교환기 제관제작'건을, 2013년 7월 '유지씨씨 에틸렌 저장용기 제관제작'건을 수급사업자 A사에게 제조위탁하면서 발부자로부터 선급금을 수령했음에도 불구하고 A사에게는 선급금 3억1천150만원을 법정기급기일(15일) 내에 지급하지 않았다. 또한 ㈜케이에이치피티는 2013년 2월부터 2014년 3월까지 A사에게 기성금을 지급하면서 선급금 미지급시 선급금의 일부가 기성금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함에 따라 발생한 지연이자 2천463만원을 A사에게 지급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원사업자가 발주자로부터 선급금을 수령했음에도 수급사업자에게 해당 선급금 또는 선급금 지연이자를 지급하지 않은 이러한 행위가 하도급법 위반이라고 판단, ㈜케이에이치피티에
공정위의 감면고시 개정안 시행으로 '담합가담 임직원의 심판정 출석 규정 명시', '감면신청 사실의 제3자 누설금지 강화' 등 자진신고 감면제도가 엄정하고 합리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부당한 공동행위 자진신고자 등에 대한 시정조치 등 감면제도 운영고시'(이하 감면고시)를 개정안을 확정해 15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감면고시는 부당한 담합행위를 행한 사업자가 담합에 따른 과징금, 시정명령 등의 제재를 감면받기 위해 공정위에 감면신청을 할 경우, 구체적인 감면요건 판단기준, 감면신청 절차 등을 규정하고 있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으로는 감면신청 사업자에게 소속 임직원의 심판정 출석 등 심의과정에서의 협조의무를 명시해 위원들이 감면신청 및 담합사실을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했다. 공정위는 임직원의 심판정 출석 등 여러 가지 성실협조의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감면혜택 부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제3자 누설금지 규정도 강화돼, 감면신청 사업자가 위원회 심의종료 이전에 감면신청 및 행위사실을 제3자에게 누설한 경우 성실협조의무 위반으로 간주해 감면혜택이 부여되지 않도록 했다. 다만, 법령상 공개해야 하거나 외국정부에 통보하는 경우는 제외되며,
애완견의 심장사상충 예방제 '하트가드'를 국내 독점 판매상인 ㈜에스틴을 통해 판매하면서 이에 대한 유통채널을 동물병원으로만 제한한 메리알코리아㈜가 공정위로부터 시정명령을 부과받게 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4일 메리알코리아㈜가 ㈜에스틴에게 심장사상충 예방제를 공급하면서, 2013년 8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에스틴이 판매하는 유통 채널을 동물병원으로만 제한한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을 부과했다. 심장사상충은 개의 심장, 폐동맥 주위에 기생해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는 기생충으로, 생후 6개월 이상의 개에게는 심장사상충 예방제를 매달 꾸준히 투약해야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국내 심장사상충 예방제 시장은 약 130억원의 규모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메리알코리아, 한국조에티스, 바이엘코리아 등 주요 3개사가 80%이상의 점유율을 장기간 유지하고 있다. 메리알코리아는 2005년부터 작년 8월까지 에스틴과 국내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하고 이를 유지해오면서 심장사상충 예방제 '하트가드'를 동물병원에서만 판매하도록 제한했다. 이를 위해 메리알은 매월 에스틴으로부터 보고서를 받아 하트가드가 동물병원 밖으로 유출되는지 확인·관리해왔으며, 에스틴은 동물병원별로 하트가드의 바코드
다음달부터는 이케아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한 후 배송·조립 서비스를 이용할 때 서비스가 완료되기 전까지 배송·조립 서비스의 취소 및 환불이 가능해지게 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케아코리아(유)의 배송·조립서비스 이용약관을 심사해 서비스 신청 후 취소 및 환불 금지 조항에 대한 시정을 권고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케아코리아(유)는 배송·조립 서비스 완료 이전까지 사업자가 서비스 요금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한 뒤 서비스 취소와 환불이 가능하도록 해당 조항을 시정했다. 현재 이케아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별도의 비용을 지급하고 이케아코리아(유)와 배송 서비스 또는 조립 서비스 계약을 체결할 수 있으며, 이케아코리아(유)는 별도의 업체를 이용해 소비자에게 제품 배송과 조립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공정위의 심사 결과 소비자의 배송·조립 취소를 제한하고 취소 시 요금을 환불하지 않는 조항에 대해 소비자의 계약 해지를 제한하고 요금 전액을 위약금으로 부담시켜 소비자에게 부당하게 불리하다고 판단, 이케아코리아(유)에게 시정을 권고했다. 이에 이케아코리아(유)는 배송·조립 완료 이전까지 소비자의 배송·조립 신청을 취소할 수 있게 하고, 서비스 요금 중 취소로
앞으로는 의료사업을 하는 소비자 생활 협동조합의 설립요건이 조합원 500명, 총 출자 금액 1억원으로 강화되고, 6촌 이내 친인척 관계의 임원선임이 제한 될 전망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1일 이 같은 내용의 '소비자 생활 협동 조합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안을 마련해 입법예고했다. 보건·의료사업을 하는 소비자 생활 협동 조합이란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 관리, 질병 예방 활동, 방문 진료 등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설립됐다. 이 같은 의료생협은 조합원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돼야 하지만, 느슨한 설립 기준·규제로 인해 이사장 등 특정 개인의 사익 추구 수단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발생해 이를 차단할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이에 공정위는 의료생협의 설립요건 강화 및 탈법적 행위 억제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과 의료생협 감독의 실효성 제고 등을 내용으로 하는 생협법 개정을 통해, 향후 의료생협이 지역주민들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시행령 개정안의 주요 내용으로는 ▷의료생협 설립 요건 신설 및 강화 ▷의료생협 차입금 최고한도 규정 ▷친인척 관계의 의료생협 임원 선임 제한 ▷의료기관 추가 개설 인가 요건 규정 ▷의료생협
양천세무서(서장 김상훈)의 '식물사랑' 동호회가 최근 옥상의 텃밭을 관리하며 식목 주간을 맞아 이뤄진 활동으로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사진1] 지난 겨울동안은 식물 동호회 특성상 활동하기 어려운 기간이었지만, 날이 풀리고 낮 동안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다시 활동을 시작해, 봄을 맞아 새롭게 텃밭을 가꿔오고 있는 중이다. 지난해 3월 결성돼 꾸준한 모임을 이어나가고 있는 '식물사랑' 동호회(회장 김기숙 팀장)는 청사 옥상에 인공 텃밭을 마련해 관리하고 있으며, 화사한 분위기를 위한 코스모스 등의 관상용 꽃들과 상추, 치커리 등의 채소를 재배할 계획이다. [사진2] 동호회 한 회원은 "새로 텃밭을 정리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제 새싹이 막 올라오고 있는 중이다"면서 "손이 많이 가는 일이지만 텃밭을 가꾸는 동안은 업무에 지친 마음을 달랠 수 있고 노력한 만큼 보람을 느낄 수 있는 활동이다"라고 전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실시한 서면실태조사 중 대금 미지급 혐의가 높은 원사업자를 대상으로 11일부터 약 두 달간 직권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들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제기하고 있는 하도급 대금 미지급 관련 불공정 행위 근절을 위해, 대금 미지급, 지연이자 및 어음할인료 미지급 등의 불공정 행위에 초점을 맞춰 실시된다. 지난해 실시한 서면실태조사 결과 법 위반 혐의가 높게 나타난 제조업체 30곳을 대상으로 하도급 대금 미지급 관련 위반행위 위주로 조사하되, 필요시 단가인하, 부당감액 등과 관련된 위반행위 여부도 병행해 조사할 계획이다. 조사 기간은 11일부터 약 두 달간 진행되며, 조사 대상으로는 전기·전자, 자동차업종이 대부분이지만, 기계·금속·화학·의류 업종도 포함돼 다양한 업종을 대상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조사 과정에서 위반행위를 적발할 경우, 하도급 업체가 대금을 신속히 받을 수 있도록 최대한 원사업자의 자진시정을 유도하겠다”면서 “자진시정을 하지 않을 경우 법과 원칙에 따라 엄중하게 제재할 것”이라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건설업종에 이은 올해 두 번째 직권조사로, 공정위는 지난해 1만9,503개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은 8일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식품업종 주소 하도급 업체 대표 9명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중소식품업체들의 애로·건의사항 등을 직접 청취하고, 이를 공정거래 및 하도급 정책 등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 위원장은 간담회에서 "우리 경제가 난관을 극복하고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경제의 근간인 중소 하도급 업체가 기업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엄정한 법 집행을 통한 불공정 관행 근절과 기업 간의 자율적인 상생 협력문화 조성에 주안점을 두고 추진해 오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날 참석한 중소 식품업체 대표들은 원사업자의 대금 미지급 문제에 대한 공정위의 지속적인 관심과 현재 활용되고 있는 표준 하도급 계약서의 보완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정 위원장은 "4월부터는 전기·전자·자동차업종 등을 중심으로 법 위반 혐의가 높은 업체에 대한 직권조사를, 6월부터는 식품업종에 대해 대금 미지급 여부 확인을 위한 직권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며 "대금 미지금 문제를 위해서는 '자진시정 면책제도' 운영으로, 원사업자의 신속하고 자발적인 대금 지급을 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
공정위가 하도급 업체들에게 가장 큰 문제가 되고있는 '하도급 대급 미지급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나섰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7개 광역지자체 및 20개 공공기관과 합동으로 '하도급 대금 직불제' 추진 방안을 마련해 올 한 해 동안 공공발주 공사에 대해 대금 직불제를 시행한다고 8일 밝혔다. 하도급 대금 직불제는 공사·장비·임금·자재 대금이 원사업자를 거치지 않고 공공 발주자로부터 하도급 업체에게 직접 지급하는 제도이다. 이번 추진방안에 따르면, 올 한 해 동안 17개 광역지자체와 20개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15조9천469억원의 공사에 대해 하도급 대금 직불제를 시행하고, 이는 공공부문 전체 발주 규모인 34조2천485억원의 47%에 해당하는 것이다. 광역지자체의 경우 올해 예상 발주 규모 총 6조7천546억원 중 5조3천315억원(79%), 공공기관의 경우 총 27조4천939억원 중 10조 6천154억원(39%) 규모의 공사에 대해 직불제가 시행된다. 하도급 대금 직불 유형으로는 ▷대금 직불 시스템을 활용한 직불 ▷직불 조건부 발주를 통한 직불 ▷발주자·원·수급 사업자 간의 사전 합의를 통한 직불 등으로 나뉜다. 지자체의 경우 대금 직불 시스템을 활
서울시가 세무조사로 인한 기업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21년만에 '서울특별시 세무조사 운영규칙'을 전면 개정, 세무조사와 관련해 경제민주화를 적극 실현하게 된다. 전국 최초로 '세무조사 이력관리시스템'을 개발해 중복 세무조사 관행을 없애고, 세무조사 대상 법인을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세무조사대상자 선정단'에서 선정하도록 시스템화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규칙 개정을 총괄하고 있는 김윤규 서울시 세무과장은 "21년만에 전면 개정한 서울시 세무조사 운영규칙은 세무조사로 인한 기업의 과도한 부담을 줄이고자 경제민주화 차원에서 이뤄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윤규 세무과장으로부터 이번 규칙 개정안에 대해 들었다. <편집자 주> ▷ 전국 최초로 개발했다는 '세무조사 이력관리시스템'은 어떤 것인가. "이번에 개발된 '세무조사 이력관리시스템'은 법인들에 대한 세무조사 이력을 조회할 때 시와 25개 자치구에서 진행한 세무조사 이력들을 통합해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조사 담당자가 대상 법인을 선정할 때 모든 세무이력을 한번에 통합조회 후 선정할 수 있어 불필요한 중복조사가 이뤄지지 않도록 했다." ▷ 기업에 대한 불필요한 중복조사 방지란 말이 있는데
한국납세자연합회에 따르면 국회의원 후보자의 재산과 납세실적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산이 많은 후보자가 더 높은 세금을 납부했으며, 특히 범법행위가 많았던 후보자일수록 납부한 세금의 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납세자연합회는 7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2016년 제1차 납세자포럼을 개최해 '국회의원 후보자의 납세실적 공개 현황 분석과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국회의원 후보자의 특성, 재산 및 납세실적의 연관 분석에 대한 발표가 이뤄졌다. 국회의원 후보자의 재산과 납세액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그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분석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재산이 많은 후보자가 더욱 조세부담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자료에 따르면 후보자의 재산과 납세액의 상관계수는 0.6643, 재산과 재산세액의 상관계수는 0.5877로 나타났다. 이는 탄력성의 개념으로 후보자의 재산이 10원 늘어날 때 납세액이 6.64원, 재산세가 5.88원 늘어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후보자의 가족 전체 재산과 가족 전체 납세액의 상관계수가 0.7470이고 전체 재산과 전체 재산세액의 상관계수는 0.7089로 가족의 경우 재산이 10원 늘어날 때
구로세무서(서장 이신희)는 지난 5일 조용근(전 대전지방국세청장) 재단법인 석성장학회 이사장을 초청해 '공정과세와 감동을 주는 국세공무원' 주제로 명사특강을 진행했다. [사진1] 조용근 이사장은 강연에 참석한 직원들에게 평생 세금쟁이로 살아온 자신의 38년간 공직생활의 실제 경험담과 지속적으로 실천해온 나눔과 섬김의 이야기를 통해 남들과는 조금 다른 '독특한 인생 후반전을 열심히 사는 이야기'를 전달했다. 조 이사장은 근자열(近者悅)이란 주제로 "'근자열(近者悅)하면 원자래(遠者來)한다'란 가까이 있는 사람을 기쁘게 하면 멀리 있는 사람들이 다가온다는 뜻이다"라며 "국세행정도 '법대로 한다'는 상투적인 말보다는 납세자의 입장에 서서 납세자의 작은 말에도 귀 기울이는 자세가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 이어 "납세자와의 소통에서 그렇~'군요', 그렇~'구나' 자세로 이야기를 경청하고 따뜻한 말 한마디로 납세자에게 기쁨과 감동을 전해주는 국세 행정을 실천하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조 이사장은 직원들에게 호스피스 병동 봉사활동을 하면서 체득한 '참을걸', '즐길걸', '베풀걸'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며 즐거운 인생을 위한 조언을 전했다. 이날 조 이사장은 한
국세청 고객만족센터를 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 인사나 예산 등에서 대폭적인 자율성을 가지도록 하는 '국세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개정안이 지난 2월 입법예고를 마치고 3월부터 시행됐다. 책임운영기관은 정부가 수행하는 업무 중 공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경쟁원리에 따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성과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기관에 대해, 행정 및 재정상의 자율성을 부여하고 성과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는 제도로 1999년 법제화를 거쳐 도입됐다. 지난 3월부터 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된 고객만족센터의 바뀐 점은 무엇일까. 개정안에 따르면, 이번 책임운영기관 전환으로 앞으로 고객만족센터장은 공개채용과정을 거쳐 계약직으로 임명되며, 예산이나 인사관리에서 최대한의 재량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터장은 성과에 따라 임기 기간을 최대 8년까지 연장할 수 있게 되고, 정원의 50%범위 내에서 임기제 직원의 임용이 가능해진다. 전화응답률, 세법상담 품질 등 민원인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업무전문성 강화 방안으로 임기제 직원의 임용을 실시하는 것이다. 아울러, 매년 종합평가 및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 등 '성과중심'으로 운영하게 되고 센터장이 그 성과에
공정거래위원회는 6일 이스타항공과 에어부산의 위탁 수하물의 파손, 분실 등에 대한 보상 약관을 시정해 국내 5개 저가 항공사의 수하물 파손등과 관련한 면책 약관 시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공정위가 작년 3월 제주항공의 위탁 수하물 파손 등에 대한 면책 약관 조항을 시정해 언론에 공개한 이후, 진에어와 티웨이항공 2곳이 해당 면책 약관 조항을 자진 삭제했다. 그러나 이스타항공과 에어부산은 여전히 면책 약관 조항을 사용하고 있어 공정위는 지난 2월부터 직권조사를 실시했고, 해당 항공사는 조사 중 면책 조항을 자진 삭제하고 현재 시정된 수하물 배상 약관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책 약관 시정 이전에는 고객으로부터 위탁받은 수하물과 관련해 손잡이 바퀴, 잠금 장치, 액세서리 등의 파손이나 분실 등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면책 규정에 따라 보상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공정위의 면책 약관 시정 조치로 앞으로는 수하물 고유의 결함 및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미한 긁힘이나 얼룩 등을 제외하고는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공정위 관계자는 "고객이 수하물을 항공사에게 위탁하는 시점부터 수령하는 시점까지는 수하물은 항공사의 지배·관리 하에 놓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