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4.11.18. (월)

경제/기업

대한상의, “對中사업방향 적극적 변화 모색할 때”

중국 실물경제에 수입, 소비, 투자, 금융부문 등 이른바 ‘4단감속 브레이크’가 걸렸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에따라 중국판 뉴노멀(New Normal)인 ‘신창타이’(新常態)시대로 접어들어 우리기업도 새로운 인식전환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4일 발표한 ‘중국경제 신창타이시대,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연구’를 통해 세계경제를 견인했던 2010년과 비교해 중국의 내년 수입증가율은 22.1%에서 14.9%로 7.2%포인트 떨어지고, 소비증가율은 9.4%→7.7%, 투자는 15.3%→4.7% 감소하는 신창타이 시대에 들어섰다고 내다봤다.

 

이를위해 ▶차이나인사이드에 대비한 최종재 수출 강화 ▶대륙의 지갑을 열 맞춤형 제품 ▶아시아 인프라시장 공략 ▶거래처 금융리스크 관리 강화 등 4대 대응전략을
내놨다.

 

지난 8월 국제통화기금(IMF)에서도 ‘중국에 브레이크가 걸렸다’고 전망한바 있어 귀주가 주목된다.

 

대한상의가 지적한 첫번째 브레이크는 ‘수입증가 스피드의 감소’로 특히, 국내기업들이 두려워 하는 것은 차이나 인사이드(China Inside)이다.

 

소재·부품산업을 육성해 중간재 수입을 중국산으로 대체해 나가겠다는 것으로 중간재가 대중국수출의 73%를 차지하는 우리에게는 큰 위협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2000년 64.4%에 이르던 중국의 중간재 수입비중은 2010년 들어 52.1%, 지난해에는 49.8%까지 떨어져 15년간 14.6%p의 수입대체가 이뤄졌다.

 

국내 섬유업계 관계자는 “중국에 진출한 우리기업들조차 초창기에는 원단, 단추 등 부분품을 국내기업으로부터 수입해 의류를 만들었지만, 최근에는 중국 현지에서 조달한다”며 “그만큼 중국산의 기술력이 고도화되면서 중국산 소재·부품의 질적 향상이 두드러진 것”이라 평가했다.

 

한국과학기술평가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간 기술격차는 2012년 1.9년에서 2014년 1.4년으로 바짝 좁혀졌다.

 

보고서는 “그간 대한민국 수출의 성장비결이던 한·중간 가공무역 공식이 깨지고 있다”며 “중간재 위주 수출구조를 소비재·자본재 등 최종재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신흥시장도 발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두번째 브레이크는 ‘소비증가율 감소’로 중국당국은 최저임금 인상, 도시화 급진전 등으로 중산층을 키워내 소비중심 성장을 꾀하고 있지만, 주요 소비재 성장률이 절반이상으로 떨어지는 등 쉽지만은 않아 보인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 4년새 자동차 판매증가율은 32.4%에서 6.8%로 25.6%p 감소했고 가전은 15.0%p(18.0%→3.0%), 의류는 13.2%p(24.8%→11.6%) 감소한 상황이다.

 

보고서는 이러한 소비부진에도 대륙의 지갑을 열게 한 코리아기업의 비결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며 ‘국내 전기밥솥업체들의 성공스토리’를 소개했다.

 

2005년에는 422만달러에 그쳤던 한국 전기밥솥의 중국수출은 10년새 4배가량(1,717만달러) 증가하는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했다.

 

한국을 방문했던 유커의 입소문과 함께 중국에는 없는 프리미엄 제품(유도가열방식 도입)을 선제적으로 내놓았다는 것. 여기에 죽을 많이 해먹는 중국인들의 식습관까지 고려한 맞춤형 밥통을 내놓은 것도 성공포인트란 지적이다.

 

대한상의 자문위원인 송의영 서강대 교수는 “중국경제 소프트랜딩(Soft Landing)의 성공은 투자에서 소비로의 부드러운 전환에 달려 있는 만큼, 우리 기업도 소비재와 서비스 산업에서 혁신제품으로 승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세번째 브레이크는 ‘투자증가율 감소’로 국내기업만 하더라도 2000년대 중반까지 저렴한 인건비를 활용하기 위해 많은 수가 중국에 진출했지만, 지난 5년간 평균임금이 35.1%가량 상승하면서 ‘중국투자 엑소더스’까지 벌어지고 있다.

 

한국의 對中 투자증가율 2010년 19%에서 2014년 마이너스 10.3%를 나타냈다.

 

보고서는 “삼성, LG 등 주요기업들이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등 ‘포스트 차이나’를 찾아 공장을 옮기고 있다는 상황”이라며 “8조 달러에 달하는 아시아 인프라 시장도 적극 공략해야 한다”고도 조언했다.

 

상의는 “인프라 사업의 경우,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정부주도의 컨소시엄 구성이나 정책금융 지원이 필요하다”며 “동북아개발은행·아시아투자개발은행(AIIB) 구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만큼 민·관 공조를 통해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에 적극 힘써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미 일본은 태국과 인도에 각각 14조, 18조에 달하는 고속철 사업을 수주했고, 중국도 태국 철도복선화 사업, 인도네시아, 인도, 파키스탄 등에 수십조원에 이르는 고속철도, 원전사업을 추진중이다.

 

마지막 브레이크는 급격히 얼어붙고 있는 ‘중국금융’이다.

 

보고서는 특히 “우리기업은 중국진출시 영업망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주로 중국 대리상을 통해 진출하는데, 결제방식의 60%정도가 외상거래”라며 “경기둔화로 중국 금융기관들이 기업금융을 더욱 조이기 시작하자 매출채권 회수에 차질을 빚으면서 중국 대리상은 물론 우리기업까지 흔들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현지의 국내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중국경제 전망이 좋지 않아 중국기업과의 거래를 아주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 중국금융의 현실”이라며 “국영기업이나 100% 담보가 보장된 기업을 제외하면 민영기업과의 신규거래는 작년 초 이후 거의 없는 상태고, 이러한 상황은 중국은행도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중국 상업은행의 불량채권 증가율도 5년 사이 43.2%p 늘었다.

 

이같은 ‘돈맥경화’로 ‘앞에서는 돈을 벌지만 뒤로는 밑지는 장사’라는 말이 공공연하다.

 

한 플라스틱 제조업체 관계자는 “중국에 플라스틱제품 8만 달러어치를 선적 후에 45일 만에 송금 받는 조건으로 수출했으나 판매가 부진하다는 이유를 들먹이며 대금지급을 거절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에 대해 상의는 “거래처의 금융리스크 관리를 한층 강화하는 동시에 압도적 품질의 제품을 내놓아야 중국의 상거래 관습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한 제과업체는 중국상인과의 모든 거래에서 외상을 받지 않고 물건을 지급함과 동시에 바로 대금을 지급받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중국상인들과 구축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 관리뿐 아니라 철저한 현지화 전략이 그 배경이란 분석이다.

 

전수봉 대한상의 본부장은 “중국은 인구보너스의 소멸, 제조업과 부동산 공급과잉 등 경제성장을 제약하는 요인들이 많지만,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 신형도시화 등 새로운 성장동력에 대한 기대도 크다”며 “중국이 만들어가는 국제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기 위해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브루킹스연구소(2014)에 따르면 지난 25년간(1988년~2013년) 9.4%를 기록했던 중국의 잠재성장률이 향후 10년간 약 7.3%로 둔화되는 등 성장동력의 감속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 바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