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4.06.24. (월)

내국세

나라 곳간 노린 해킹시도 3천400건 달해…기재부 668건, 관세청 120건

기재위 소관기관 국내외 해킹 위험 직면…예방책 마련 필요

 

우리나라의 조세·재정·통계정보를 취급하는 기획재정부와 관세청·통계청 등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관 기관에 대한 해킹시도가 국내외에서 무차별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류성걸 의원(국민의힘)이 4일 한국재정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8~2023년7월) 국회 기재위 소관기관에 대한 해킹시도가 총 3천397건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동안 해킹이 시도된 국회 기재위 소관기관은 기획재정부·관세청·조달청·통계청·한국은행·한국투자공사·한국수출입은행·한국조폐공사·한국재정정보원 등이다.

 

이들 기관에 대한 해킹시도는 2018년 531건, 2019년 1천380건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20년 560건, 2021년 278건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올해들어 7월말 현재 370건을 기록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최근 5년여간 발생한 해킹시도 3천397건 가운데 82.2%에 달하는 2천795건은 해외에서 시도됐으며, 올해 발생한 해외발 해킹시도는 88.3%인 327건을 기록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관 기관 대상 유형별 해킹시도 현황(단위:건)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7.

합계

/바이러스

274

354

57

30

30

4

749

DDoS

4

-

-

2

1

1

8

스캐닝

19

7

19

9

6

-

60

웹접근시도

106

496

206

101

103

117

1,129

유해IP주소 접속 등

128

523

278

136

138

248

1,451

합계

531

1,380

560

278

278

370

3,397

<자료-한국재정정보원> 

 

해킹시도 유형별로는 유해IP주소 접속이 1천45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웹접근 시도(1천129건), 웜/바이러스(749건), 스캐닝(60건), DDoS(8건) 등이 뒤를 이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원 소관 기관별 해킹시도 현황(단위:건)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7.

합계

기획재정부

86

183

112

64

68

155

668

관세청

29

52

22

10

2

5

120

조달청

24

138

42

13

24

13

254

통계청

9

48

46

16

13

1

133

한국은행

29

113

61

36

42

80

361

한국투자공사

142

343

54

33

38

50

660

한국수출입은행

21

61

33

18

30

42

205

한국조폐공사

188

435

122

12

6

15

778

한국재정정보원

3

7

68

76

55

9

218

합계

531

1,380

560

278

278

370

3,397

<자료-한국재정정보원>

 

해킹 시도를 가장 많이 받은 기관으로는 한국조폐공사가 778건으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기획재정부(668건), 한국투자공사(660건), 한국은행(361건), 한국재정정보원(281건), 조달청(254건), 한국수출입은행(205건), 통계청(133건), 관세청(120건) 순으로 집계됐다.

 

해킹이 시도된 국가별로는 미국(683건), 중국(677건), 네덜란드(152건), 러시아(100건), 독일(93건), 일본(46건), 기타 국가(1천44건) 등의 순으로, 특히 올해 발생한 국외 해킹 시도 327건 중 174건(53.2%)이 중국발 해킹 시도인 것으로 드러났다.

 

류성걸 의원은 “재정정보를 노린 해킹시도가 다시금 증가세로 돌아서 우려가 된다”며, “재정정보 유출은 국가의 곳간을 내어주는 격이기 때문에 인력과 예산을 추가 배치하는 등 선제적 예방책을 마련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