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4.05.07. (화)

경제/기업

새해 산업기상도…제약·바이오 '맑음', 철강·이차전지 '흐림'

대한상의, 10개 업종별 전망

반도체‧자동차‧조선‧기계‧디스플레이 '구름조금'
건설 '비'…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

 

내년 주요 산업 전반에 수출 회복세가 예상되는 가운데 기업들은 새해 가장 잘 나갈 업종으로 제약·바이오를 꼽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0개 주요 업종별 협‧단체 등과 함께 실시한 ‘2024년 산업기상도 전망 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제약·바이오 업종은 ‘맑음’, 반도체‧자동차‧조선‧기계‧디스플레이 업종은 ‘구름조금’, 철강‧석유화학‧이차전지 분야는 ‘흐림’, 건설업종은 ‘비’로 예보됐다.

 


제약바이오업종은 ‘맑음’으로 예보됐다. 신약을 도출해 내는 후보물질인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의 빠른 증가세가 영향을 미쳤다. 현재 국내에서 1천800여개 이상의 신약 후보물질이 개발 중이며, 기업들의 공격적 R&D투자와 함께 내년 신약 후보물질 증가세가 예상된다. 

 

이와 함께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출범, K-바이오 백신 펀드 결성, 한국형 ARPA-H 추진 등 정부의 산업육성 기조가 강화됨에 따라 제약바이오업종은 더욱 활기를 띌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 자동차, 조선, 기계, 디스플레이업종은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모두 ‘구름 조금’으로 예보됐다.

 

반도체산업은 업황 개선이 뚜렷할 전망이다. 반도체산업 전문기관들은 새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모바일‧서버 등 IT 전방 수요 회복으로 올해 대비 13.9%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반도체 공급기업들의 감산‧수급조절 노력에 따른 메모리 단가 상승에 힘입어 내년 수출이 올해 대비 15% 내외 성장할 것으로 기대됐다.

 

자동차업종은 수출은 소폭 증가한 반면, 국내 시장 판매는 소폭 위축될 것으로 전망됐다. 수출은 미국, 유럽 등 주요시장의 수요 정상화와 하반기 금리 인하로 인한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올해 대비 1.9%(275만대 수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내수시장은 전년도 반도체 공급 개선에 따른 역기저효과와 경기부진으로 인한 가계 가처분소득 감소,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올해 대비 1.7% 감소할 전망이다.

 

조선업은 글로벌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LNG선 등 친환경선박의 추가 발주가 호재 요인으로 꼽혔다. 올해 11월 기준 전세계 친환경선박 발주량 중 45.3%가 한국 수주이며, 최근 2년새 LNG선 발주량이 3배 이상 증가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친환경선박의 경쟁력이 인정받고 있다. 다만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해운시황의 더딘 개선 등이 하방리스크다.

 

일반기계업종도 내년 수출이 올해 대비 1.1% 증가하는 등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주요국과 신흥국이 경기부양책 일환으로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늘려 국내 산업용 기계류 수요 증가라는 호재를 맞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지난해 기준 한국의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의 경기회복 둔화, 자국산업 보호 정책은 불안요소다. 

 

디스플레이산업 역시 자동차·IT제품에 적용되는 OLED 수요가 확대되면서 해당 분야 경쟁사 대비 높은 기술력을 가진 국내 업체들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새해 IT분야 글로벌 OLED 시장은 올해 대비 148.8%, 자동차분야의 경우 72.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반면 철강산업과 석유화학업종, 이차전지 분야는 '흐림'으로 전망됐다. 

 

철강산업은 건설산업 부진으로 수요가 정체한 가운데 중국산 철강의 국내 유입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여기에 높은 수요성장이 예상되는 인도, 아세안시장에서의 경쟁 심화가 우려됐다.

 

석유화학업종은 중국 중심의 공급과잉으로 글로벌 에틸렌 공급과잉 규모가 최근 10년간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이 악재다. 국제유가 상승 및 국내 생산시설 가동 정상화는 긍정 요인이지만, 공급과잉과 경제성장률 둔화로 인해 극적인 업황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이차전지 분야는 전기차 수요 둔화가 발목을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포드, GM, 폭스바겐 등 완성차 업체들은 최근 전기차 투자계획을 철회·연기하고 있다. 다만  메탈가격 하락으로 인한 배터리 가격 하락은 단기적으로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겠지만, 전기차 가격 하락으로 이어져 수요 증가를 견인하는 등 긍정적 효과를 낼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건설산업은 ‘비’로 예보됐다. 부동산 가격하락에 따른 건설경기 부진이 지속되고 있고, 특히 민간 건축을 중심으로 수주실적 감소가 예상된다. 다만 내년도 주요 SOC 예산 증가에 따라 공공부문 공사 수주가 확대되면 숨통이 트일 수 있다는 기대감도 드러났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주요산업 전반에 수출회복 흐름이 예상되긴 하나, 중국의 생산능력 향상과 주요국의 자국산업 보호 노력에 따라 글로벌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의 R&D·혁신 노력과 더불어 민간부문의 회복 모멘텀 강화를 위한 규제 완화·투자보조금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