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정관계 인사들은 물론 일반인조차 찾지 않는 국세청 전산실(국장. 이철행)이 연일 때 아닌 이목(耳目)의 '상한가'를 올리고 있다.
이는 지난 5일(목) 한나라당 의원들의 항의방문을 받았는가 하면, 9일(월)에는 검찰청 조사관의 '조사'를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이 곳 전산실 직원들은 이들(정치인, 검찰)의 방문을 그리 달갑게 생각하지 않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그 이유는 전산실은 철통보안을 생명으로 하고 있는데다, 특히 외부인의 출입이 철저히 통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5일 한나라당 의원들의 항의방문은 이명박 대선예비후보의 처남 김재정 씨의 부동산 관련 자료 유출 건에 대해 국세청이 유출했다며 전산실을 항의방문 하기에 이른 것.
이 날 일단의 한나라당 의원들은 전산실로 입성하지 못하고 청사입구(경비실) 바닥에 앉아 항의구호를 외치는 등 적잖은 시간동안 항의 농성을 벌인 바 있다.
그런가 하면 9일에는 검찰청 조사요원들이 극비리에 국세청 전산실 某처로 방문, 일단의 확인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한나라당 의원들의 항의 농성에 대해 전산실의 한 관계자는 “한나라당 의원들이 청사 입구 바닥에 앉아 구호를 외치며, 항의 농성을 하고 갔다”면서도 “9일 검찰 관계자가 방문하지 않았느냐는 사실(기자의 질문)에 대해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하는 등 모든 사안에 대해 노코멘트로 일관했다.
특히 이철행 전산정보관리관(최초 민간인 개방형 국장)도 “그 사안에 대해 답변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전제, “답변이나 인터뷰 등 모든 사안은 창구를 ‘국세청 공보관실로 일원화’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9일 한상률 국세청 차장은 한나라당 의원들의 항의 방문에 대해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세의 부과 징수 등 과세목적 이외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부동산거래내역 등 납세자 개인관련 전산자료에의 직원 접근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세청 전산실 출입하려면 어떻게 하나?]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에 자리 잡고 있는 국세청 전산실 출입은 들어가기도 나오기도 결코 쉽지 않다.
전산실을 들어가려면 우선 방문목적이 명확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경비실에서 부터 차단된다.
또 한 번 만나고자 한 그 사람만을 만나고 나와야지 또 다른 관계직원을 만나서는 안 된다.
더욱이 누구든 외부인이 전산실 관계자를 만나고 가면 ‘만난 사람과 만나서 나눈 얘기 등’이 취합돼 본청에 보고되도록 철저한 보안시스템이 가동되고 있다.
국세청 전산실의 이같은 철통보안 시스템 가동은 국세통합시스템(TIS)이 본격 가동되기 시작한 지난 99년부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