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4. (토)

뉴스

행자부, 내년 전자정부 예산 4조원…'지능형 정부 추진'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정부의 내년도 전자정부 사업에 총 4조466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전망이다.
 
행정자치부는 중앙부처 및 지자체의 내년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을 분석한 결과 전자정부에 투입되는 예산이 4조46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특히 전자정부에 투입되는 4조원의 예산 중 행정자치부가 올해 발표한 '전자정부 2020기본계획' 관련 예산은 3조75억원으로 전체 74%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부처와 지자체가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들을 체계적으로 재편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ICT 환경에 적합한 지능형 정부로의 진화를 꾀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정부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의 지능정보기술을 행정에 적용하는 사업들을 통해 '지능형 정부'를 본격적으로 구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자정부 사이버침해대응체계에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적응형 보안시스템 적용(행자부·9억), 물환경관리 의사결정지원시스템(환경부·16억), 뉴스 빅데이터 분석시스템(문체부·15억), 건강보험 빅데이터 플랫폼(복지부·55억) 등 부처·지자체의 지능형 정부 구현 사업에 총 8,998억 원이 투입된다.
 
또한 대국민서비스를 개인맞춤형으로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하는 '정부서비스 리디자인(Re-design)' 사업에 총 6,094억 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신뢰기반 미래형 인프라'에 대한 투자도 강화(총 1조2,499억)되며, 공공데이터 개방 및 이용활성화(행자부· 200억), 전자정부 해외진출 지원(행자부·10억) 등 '산업과 상생하는 전자정부 新생태계(총 2,328억)'와 '글로벌 전자정부 질서 주도(총 155억)' 전략 달성을 위해서도 다양한 사업이 추진된다.
 
아울러, 미래형 도시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해 총 3,230억원을 투자해, 서울특별시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사업(75억), 경기도 첨단교통 관리시스템 구축사업(67억), 화성시 U-City 공공정보서비스(38억) 등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성렬 행정자치부차관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해 기존에 불가능했던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함께 행정도 더욱 빠르고 똑똑하게 발전해 나갈 것"이라며 "전자정부가 이끄는 지능형 정부 혁신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행자부는 내년부터 전자정부서비스의 전체적 수준향상을 위한 범정부 통합적 성과관리를 수행하고, 범국가 차원의 데이터 관리체계를 정립해 정부와 민간의 데이터 활용성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