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소득 상위 1% 가수·스포츠선수 전체소득 절반 차지
가수와 스포츠 선수들 사이에도 소득 양극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김두관 의원 (더불어민주당, 사진)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가수업종으로 소득을 신고한 2천758명 중 수입상위 1%에 해당하는 28명이 벌어들인 연간 총소득은 1천365억원으로, 전체 가수 소득의 48.7%에 해당됐다. 1인당 평균 48억7천500만원의 연간 소득을 올린 셈이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가수업종의 총 사업수입은 1조821억원, 총 사업소득은 7천 963억원이며, 이 중 상위 1%의 사업소득은 약 절반에 해당하는 3천874억원으로 소위 잘나가는 소수의 가수가 전체 가수 사업소득의 대부분을 벌어들이고 있는 실정이다.
가수 뿐만 아니라, 축구나 야구 등 스포츠선수의 경우는 양극화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스포츠선수의 사업매출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총 5만9천800여명의 선수가 총 2조8천839억원의 사업수입을 벌어들였으며, 1조2천614억원의 사업소득을 신고한 바 있다.
2017년의 경우 2만2천660여명의 선수가 4천712억원의 사업소득을 신고했으나 이 중 55%가 넘는 2천605억원을 상위 1%, 소수의 선수가 번 것으로 확인됐다.
국세청에 따르면 사업수입 금액이란 근로, 배당, 이자, 금융수입 등을 제외한 가수와 운동선수들의 매출액 기준이며, 사업소득 금액은 매출액에서 사무실 임차료와 운전기사, 사무실 운영비용, 코디네이터 등 필요경비를 제외한 금액이다.
또한 가수와 스포츠 선수들은 연예기획사나 구단에서 고용한 직원이 아닌 계약관계를 체결한 개인이나 아이돌 그룹 등이다.
김두관 의원은 “국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류 연예계 스타 및 스포츠 스타는 전 세계에 우리나라를 알리며 국위선양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공을 인정받아 마땅하다”며 “그러나 그들의 전체 소득구조를 살펴보면 극소수의 상위 소득자가 전체 종사자 수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소득양극화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해당 상위 소득자들은 어마어마한 금액의 연소득을 올리고 있는 만큼, 탈세 혐의 등으로 국민에게 실망을 주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며“국세청은 국내·외를 거쳐 특정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업자들의 성실납세를 위해 촘촘한 납세제도 관리 및 안내에 앞장 서야한다”고 당부했다.
○3년간 가수 업종 사업소득 현황(개, 억원)
귀속
구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3년합계
| |
신고사업장 수
|
2,117
|
2,328
|
2,758
|
7,203
| |
사업수입
금액
|
전 체
|
3,137
|
3,952
|
3,732
|
10,821
|
상위 1%
|
1,032 (32.9%)
|
1,658 (42%)
|
1,461 (39.1%)
|
4,151 (38.4%)
| |
사업소득
금액
|
전체
|
2,162
|
2,998
|
2,803
|
7,963
|
상위 1%
|
945 (43.7%)
|
1,564 (52.2%)
|
1,365 (48.7%)
|
3,874 (48.7%)
|
○3년간 직업운동가(스포츠선수) 업종 사업소득 현황 (개, 억원)
귀속
구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3년합계
| |
신고사업장 수
|
17,118
|
20,023
|
22,660
|
59,801
| |
사업수입
금액
|
전체
|
8,494
|
9,578
|
10,767
|
28,839
|
상위 0.1%
|
670 (7.9%)
|
806 (8.4%)
|
1,065 (9.9%)
|
2,541 (8.8%)
| |
상위 1%
|
2,258 (26.6%)
|
2,788 (29.1%)
|
3,461 (32.1%)
|
8,507 (29.5%)
| |
사업소득
금액
|
전체
|
3,522
|
4,380
|
4,712
|
12,614
|
상위 0.1%
|
557 (15.8%)
|
705 (16.1%)
|
921 (19.5%)
|
2,183 (17.3%)
| |
상위 1%
|
1,611 (45.7%)
|
2,087 (47.6%)
|
2,605 (55.3%)
|
6,303 (50%)
|
※사업수익 금액 : 근로, 배당, 이자, 금융수입 등을 제외한 가수와 운동선수들의 매출액 기준
※사업소득 금액 : 매출액에서 사무실임차료, 운전기사, 사무실 운영비용 등 필요경비를 제외한 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