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19. (월)

기타

떠오르는 '제약바이오'…회계처리는 어떻게?

삼일회계법인, ‘제약바이오 산업의 IFRS 적용 이슈와 해결방안’ 해설서 발간
연구개발 지출의 자본화 여부 지침·사례 제시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R&D 투자나 M&A, L/O 등의 사업 전략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회계처리 지침을 제공하는 해설서가 나왔다.

 

10일 삼일회계법인(대표이사·윤훈수)은 최근 발간한 ‘제약바이오 산업의 IFRS 적용 이슈와 해결방안’ 해설서를 통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주요 회계처리 이슈를 점검,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제약바이오 산업은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 R&D 투자가 필요하며, 최종 신약 출시까지 불확실성을 안고 간다는 특성이 있다. 해설서에서는 이같은 연구개발 지출의 자본화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사례를 제시했다.

 

우선 기업들은 기술적 실현 가능성을 입증할 경우 각 프로젝트별 상황과 유사시장의 시판 사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하에서 감독당국의 지침과 안내자료를 검토해 회계정책에 접목할 필요가 있다.

 

자본화 대상 지출에는 내부 전담 부서 급여 등 체계적으로 집계 가능한 지출이 포함된다. 이때 마케팅 비용은 자본화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상각 기간 및 개시 시점을 정할 때는 특허 또는 라이센스 기간과 동종 업계의 경쟁 현황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시판 승인 시점에 상각을 개시하며, 이후 경쟁 의약품의 개발과 약물 효능 장애, 소송 등 손상징후에 대해서도 꾸준히 검토해야 한다.

 

이밖에 해설서는 연구개발과 무형자산, 제조와 공급과정, R&D를 위한 자금조달, 사업결합& 자산취득, 수익-IFRS 15, 표시 및 공시사항 등 총 6개 분야에 걸쳐 주요 회계이슈를 검토했다.

 

특히 제약바이오 기업의 통상적인 수익 모델인 라이센싱 아웃 거래의 수익인식과 관련, 기업들이 살펴야 할 회계이슈를 나열하며 관련 처리에 대한 해답을 제시했다.

 

서용범 삼일회계법인 파트너는 “최근 수년간 지속된 집중 투자로 인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위상이 매우 높아졌다”며 “코로나19를 겪으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신속한 대응을 통해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코로나19 관련 진단, 처방 및 백신 개발, 중기적으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 개발 등 제약바이오 산업은 새로운 성장 국면을 맞이할 것”이라며 “해설서가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회계 이슈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데 도움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