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0. (화)

관세

친환경 승용차 '쾌속질주'…지난해 수출 역대 최대

전체 승용차 수출 감소세 속 19.2% 성장

수출액·비중·대수·단가 모두 증가

수입도 독일·미국 중심 증가세

 

지난해 하이브리드·플러그인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 등 ‘친환경 승용차’의 수출액이 전년보다 19.2% 증가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관세청이 발표한 2020년 연간 및 4분기 승용차 교역 현황에 따르면, 작년 한해 승용차 수출액은 전년 대비 12.1% 줄어든 347억달러, 수입액은 8.8% 증가한 120억달러다.

 

수출대수는 전년 대비 19.8% 감소한 197만대, 수입대수는 4.6% 증가한 33만대를 기록했다.

 

코로나 영향에 따라 전체 승용차 수출이 줄어든 와중에도 친환경 승용차 수출은 역대 최고 성과를 올렸다. 수출액은 전년 대비 19.2% 증가한 71억달러, 4분기 수출액도 21억2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8% 증가했다. 수출비중은 2017년 9.4%에서 지난해 20.6%로 크게 증가했다.

 

친환경 승용차는 작년 4분기 전체 수출의 19.8% 비중을 차지하며 선방했을 뿐 아니라, 전년 동기 대비 미국(47.0%)·영국(74.8%)·독일(41.2%)·이스라엘(2.7%)·프랑스(54.6%) 등의 수출이 증가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다.

 

지난해 전체 승용차의 국가별 수출액은 미국, 캐나다, 호주, 러시아, 영국 순으로 많다. 전년 대비 미국(0.1%)·캐나다(7.5%)·영국(3.8%)·프랑스(3.8%) 등으로 수출이 증가했고, 호주(△17.4%)·러시아(△33.1%)·독일(△17.3%)·사우디(△22.1%)·스페인(△22.6%) 등은 감소했다.

 

수입액은 독일, 미국, 일본, 슬로바키아, 영국 순이다. 전년대비 독일(8.3%)·미국(32.3%)·슬로바키아(115.7%)·멕시코(264.7%) 등에서 수입 증가, 일본(△28.7%)·영국(△31.9%)·오스트리아(△6.2%)·이탈리아(△15.9%)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륙별로 북미(1.1%)를 제외한 모든 대륙의 수출이 감소했으며, 일본산 승용차는 중대형 휘발유차와 친환경 차량의 수입액이 감소해 연간 수입액이 줄어든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4분기 승용차 수출액은 107억달러, 수출대수는 59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 8.4% 각각 감소했다. 수입액은 40억달러, 수입대수는 11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22.8%, 20.8%씩 늘었다.

 

 

4분기 주요 수출 대상국은 미국, 캐나다, 러시아, 호주, 독일 순으로 미국(1.3%)·캐나다(62.1%)·러시아(20.3%)·호주(10.3%)·독일(3.0%)·영국(31.7%) 등은 전년동기 대비 증가, 사우디(△15.1%)·네덜란드(△27.7%)·스웨덴(△13.4%) 등은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친환경차(비중 36.0%, 전년동기 대비 327.8%↑), 소형차(4.1%, 81.6%↑) 위주로 활발했다. 주요 수입 대상국은 독일, 미국, 일본, 슬로바키아, 영국 등이다. 독일(9.9%)·미국(8.5%)·일본(47.1%)·슬로바키아(92.0%) 등은 전년동기 대비 증가, 스웨덴(△18.0%)·이탈리아(△28.2%)·남아공(△4.5%) 등은 감소했다.

 

4분기에는 독일·미국에서 친환경차 수입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이어갔고, 일본 승용차의 수입이 증가세로 돌아섰다. 친환경차와 중형 휘발유차 수입이 증가한 영향이다.

 

4분기 수출한 승용차의 평균단가는 1만8천215달러, 수입 평균단가는 3만6천729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0.6%, 1.7% 각각 증가했다.

 

수출 평균단가는 친환경차 단가가 2만7천483달러(17.9%↑)로 12분기 연속 오르고, 대형 휘발유차량 2만4천181달러(14.1%), 중형 휘발유차량 1만4천782달러(4.2%) 올라 전체 단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수입도 친환경차 단가가 큰 상승폭(25.4%)으로 전체 단가에 영향을 미쳤다.

 

관세청은 “지난해 승용차 최대 수출 대상국은 미국으로 휘발유와 친환경 차량이 인기가 있고, 수입은 독일의 중형, 친환경 차량을 선호했다”며 “배기량별 수출은 친환경차·중형(경유)·소형차, 수입은 친환경차 위주로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