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총세입에서 총세출과 이월을 차감한 세계잉여금은 2조원으로 확정됐다.
기획재정부는 10일 한국재정정보원에서 김윤상 기획재정부 제2차관과 이미현 감사원 감사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4회계연도의 총세입부와 총세출부를 마감하고, 세입·세출 실적을 확정했다.
마감 결과, 총세입은 535조9천억원, 총세출은 529조5천억원으로, 총세출과 총세입의 차액인 결산상 잉여금 6조5천억원에서 이월액 4조5천억원을 차감한 세계잉여금은 2조원으로 확정됐다.
총세입은 535조9천억원으로 예산(550조원) 대비 14조1천억원 감소했다. 총세입 중 국세수입은 336조5천억원으로, 예산(367조3천억원) 대비 30조8천억원 줄어들었다. 세외수입은 199조4천억원으로 예산(182조7천억원) 대비 16조7천억원 증가했다. 총세출은 예산현액 554조원 중 529조5천억원을 집행했다.
세계잉여금은 2조원으로 일반회계에서 4천억원, 특별회계에서 1조6천억원이 발생했다.
예산현액 554조원에서 총세출 529조5천억원과 이월액 4조5천억원을 단순 차감한 결산상 불용액은 20조1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국세수입과 연동된 지방교부세(금) 6조5천억원과 회계·기금간 중복 계상되는 내부거래 4조3천억원을 제외하면 사실상 불용은 9조3천억원 수준이다. 특히 집중호우‧태풍 등 재난·재해 발생 감소로 인한 예비비 불용(2조5천억원)을 제외하면 사업비 불용은 6조8천억원으로 전년(7조5천억원)보다 낮은 수준이다.
정부는 이번 마감실적을 기초로 기금 결산 결과를 반영한 국가결산보고서를 작성해 4월 국무회의에 상정할 예정이다. 이후 정부는 감사원 결산검사를 거쳐 국가결산보고서를 5월말까지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