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식료품 물가상승률 41.9%
전체 물가상승률 21.2% 대비 2배
최근 10년간 식료품 등 먹거리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저소득층일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최근 10년간(2014~2024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일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감물가’는 소비자들의 매년 소비패턴(품목별 지출 비중을 반영)해 산정한 물가를 의미한다.
소득계층을 5개로 나눠 살펴보면, 소득 하위 20%인 소득 1분위 가구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23.2%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다른 소득분위 가구는 △2분위 22.4% △3분위 21.7% △4분위 20.9% △5분위 20.6%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일수록 물가상승을 더 많이 체감했다는 의미다.
특히 소득 1분위는 △식료품·비주류음료(20.9%) △주택·수도·광열(20.0%) 등 필수생계비 비중이 높아 더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식료품 물가는 41.9% 상승해 같은 기간 전체 물가상승률 21.2%의 약 2배에 달했다. 식료품 지출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일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높은 이유다.
반면 소득 5분위는 △교통(13.0%) △교육(10.5%) △오락·문화(9.0%) 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최근 10년간 소득 5분위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의 물가상승률은 각각 5.3%, 10.6%, 9.2%로 전체 물가상승률(21.2%)을 크게 밑돌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10년간 먹거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유통규제를 개선하는 한편,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