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1년을 갓 넘은 임향순 한국세무사회장이 이끄는 세무사호가 안팎으로 적잖은 시련을 겪고 있어 이의 개선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그 시련의 일단은 내부의 불협화음(不協和音)을 두고 하는 말로,원로세무사들은 대승적 견지에서 7천여 회원들의 단합된 응집력으로 본회 집행부를 적극 지원해 줘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특히 성실납세제라는 외부의 거센 압력은 어느 정도 가라앉은 분위기이지만, 이 역시 언제 터질지 모르는 화약고와도 같다. 왜냐하면 이달 임시국회에서 정부가 어떤 입장을 견지하고 나올지 모르기 때문이다.
더욱이 국회 재경위 세법소위 과정에서 세무사회의 입장을 최대한 이해해 준, 이른바 절대적 우군역할을 해준 바 있던 K某 의원이 의원직을 상실하게 돼 본회 집행부의 처지가 그리 녹록치만은 않은 것 같다.
본회 집행부가 재경부에 회칙 개정을 의뢰, 10명의 이사진을 확대 보강하면 대외적인 역량 강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7천여 회원을 두고 있는 거대조직인 세무사회의 안살림을 도맡아 할 상근부회장 내정이 여간 쉽지 않다는 것도 적잖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다수 세무사 회원들은 이같은 상황이 일부 회원들 사이에서 실적회비 인상과 본회 집행부의 업무추진비 인상 등의 건을 놓고 팩스로 격문을 보내는 등 집행부와 일부 회원들간의 불협화음이 노정된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실적회비 인상건과 관련, 세무사회 집행부는 지난달 25일(목) 긴급이사회를 열어 '실적회비 인상안을 백지화'했다. 그러나 세무사계의 대동단결과 회원들의 중지를 모아 당면현안 업무를 추진해도 외부의 거센 파도 때문에 어려운 입장에 처해있는 세무사회 집행부는 여간 이러한 불협화음에 곤혹(?)스러워 하지 않는 분위기다.
아무튼 숙고 끝에 용단을 내려, 실적회비 인상안을 철회한 세무사회 집행부가 이 건을 해결하고 난 뒤, 또 어떤 공격을 당할지 걱정이 앞선다고 우려하는 회원들이 적지 않다.
사실 지난해 4월 현 집행부가 출범한 이후, 정부가 간편납세제(성실납세제)를 입법화하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경주하자, 이를 합리적으로 저지하기 위해 세무사회 집행부가 피땀 어린 노력을 경주한 결과 입법보류 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전국 세무사협의회장을 위시로 한 7천여 전 회원의 동참이 없었다면, 오늘의 결과를 기대할 수 없었던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서울시내의 한 원로 세무사는 "적은 항상 내부에 있다. 그리고 집안 분위기가 소란스러우면 잘될 일도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옛 말을 우리 회원들 모두가 곱씹어봐야 한다"고 지적, "언제쯤 관용과 포용정신에 입각한 분위기가 형성될지 그저 답답하기만 한데, 우선 나 자신부터 양보하는 그런 자세가 절실 한 때가 바로 지금"이라고 힘줘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