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0/
지난 21·24일자로 단행된 국세청 국장급 전보를 비롯한 부이사관 승진, 소득파악인프라추진단, 부동산정보관리기획단 파견 인사 등은 공석 중인 자리와 신설될 2개 局에 대한 직제 개편에 따른 소폭의 '땜질 인사'로 풀이된다.
우선 국장급 전보인사는 그 동안 공석 중인 서울청 국제거래조사국장 자리에 행시 21회로 충남 논산 출신인 조성규 중부청 조사3국장이 영전(榮轉)했다.
사실 조 국장은 김재천 대전청 조사1국장과 김명수 중부청 납세자보호담당관 등 행시 21회 동기생들과 함께, 일찌감치 국조국장 감으로 세정가 관계자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거명돼 왔다.
이주성 국세청장이 김재천 국장과 김명수 중부청 납세자보호담당관 중에서 서울청 국조국장을 발탁하지 않은 것은 그들이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이들에 대한 인사를 실시할 경우 인사폭이 커져 결국 중폭의 연쇄적인 국·과장급를 인사 단행해야 하는 점이 발생해 인사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李 국세청장이 두 사람 다 부산, 경남 출신이어서 만약 이들을 발탁할 경우 세간의 시선이 곱지 않게 작용될 것을 우려(?)했다는 것이 세정가 관계자들의 설득력있는 분석이다.
◆…이로써 서울청 국장급에는 행시 21회 출신 국장급 3명이 포진하게 됐다. 이에 따라 서울청 국장급의 면면을 보면 ▶김호업 조사1국장(행시 21회, 대구) ▶권춘기 조사2국장(행시 21회, 전북) ▶강일형 조사3국장(육사, 충남) ▶박찬욱 조사4국장(일반승진, 경기) ▶조성규 국제거래조사국장(행시 21회, 충남) 등 6명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번 국장급 인사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홍성욱 납세지원국장의 중부청 조사3국장으로의 영전과 서울청 납세자보호관이던 허병익 과장의 중부청 납세지원국장으로의 직위승진을 꼽지 않을 수 없다.
이번 국장급 인사단행에 따라 향후 지방청장 인사에서 이들 서울청 국장급간에 보이지 않는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3급 부이사관 승진건은 지난 6월말이나 7월 중에 단행됐어야 했지만, 불가피한 사정으로 무려 4개월여를 지낸 상황에서 마침내 단행됐다.
또한 부이사관 승진인사도 얼마전까지만 해도 '연말 연기說'이 설득력있게 제기됐으나, 결국 단행됐다. 사실 이주성 국세청장은 연말에 단행하려 했으나 국세청 본청에 2개 국 신설에 따라 부득불 인사를 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세정가의 해석이다.
또한 이번 인사때 ▶김남문 부동산정보관리기획단 부단장(행시 22회, 경남) ▶김영근 소득파악인프라추진단 부단장(행시 23회, 전북) ▶채경수 법인세과장(행시 23회, 부산) ▶김기주 감찰담당관(육사, 강원) 등 4명이 승진을 했다.
부이사관 승진자들의 면면을 보면, 인사권자가 행시 22∼23회까지 승진을 시켰고, 출신지역을 적극 고려한 안배인사의 흔적이 엿보인다.
한편 이번 승진에서 당초 승진자로 내정된 바 있던 김정민 심사2과장이 막판에 탈락(?)하자, 세정가는 이에 대한 의구심을 보내면서도 그가 얼마 남지 않은 연말연초에 승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