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18. (일)

기타

[재정경제부]2002년 국세세입예산(안)


주요내용

□ 2002년 총국세 세입예산(안)은 2001년 세수전망(96조 9,163억원)보다 7.5% 증가한 104조 1,801억원으로 계상

  ㅇ 일반회계 : 2001년 전망(87조 4,220억원) 대비
                      6조 8,976억원(7.9%) 증가한 94조 3,196억원

  ㅇ 특별회계 : 2001년 전망(9조 4,943원) 대비
                      3,662억원(3.9%) 증가한 9조 8,605억원

□ 지방세를 포함한 조세부담률21.9%로서 금년전망 22.0%보다 0.1%p 낮은 수준

 

 

2002년 국세세입예산(안)

1. 2001년 국세수입전망

□ 2001년 세수는 7월까지의 세수를 기초로 세수진도비·신고상황·하반기 경제상황 등을 반영하여

 ㅇ 전년도 실적 92.9조원 대비 4.3%, 예산 95.9조원 대비 1.1% 증가한 96.9조원으로 전망

  · 일반회계 : 예산대비 1.6조원(1.9%) 증가한 87.4조원
  · 특별회계 : 예산대비 △0.6조원(△6.2%) 감소한 9.5조원

* 2001.7월까지의 세수 : 60.2조(진도비 62.7%, 5년중 3년 평균 60.8%)

□ 신용카드 사용증대에 따른 과세표준의 양성화 등으로 소득세(+1.1조원), 부가가치세(+3.7조원) 등이 증가하는 반면

 ㅇ 기업실적 및 증권거래 부진 등으로 법인세(△2.7조원), 증권거래세(△0.7조원)가 감소할 전망

주요 세목별 세수증감

(단위 : 조원)

구 분

예산(A)

전망(B)

증감액(B-A)

·부 가 가 치 세

23.8

27.5

3.7

·소 득 세

17.1

18.2

1.1

·법 인 세

18.9

16.2

△2.7

·증 권 거 래 세

2.5

1.8

△0.7

 

2. 2002년 세입예산(안)

 

□ 2002년 예산은 2001년 예산(95.9조원) 대비 8.6%, 2001년 전망(96.9조원)대비 7.5% 증가한 104.2조원 수준

* 예산편성지표

구 분

2002 예산

경상성장율(%)

8내외

수출(억불)

1,830

수입(억불)

1,760

□ 신용카드 사용 증가에 의한 과표양성화와 수입규모 증대 등에 따라 소득세(2.0조원), 부가가치세(4.5조원) 등은 증가하고

  ㅇ 기업실적의 부진으로 법인세(+0.1조원)는 금년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

□ 2002년 세입예산 증가율은 경상성장률보다 낮은 수준이므로 조세부담률은 금년보다 낮은 21.9%수준이 될 전망

□ 2002년 국세세입예산(안) : 104.2조원

(단위 : 조원)

구 분

2001년

2002년

예산대비

전망대비

예산(A)

전망(B)

예산(C)

(C-A)

%

(C-B)

%

총 국 세

95.9

96.9

104.2

8.3

8.6

7.3

7.5

일반회계

85.8

87.4

94.3

8.5

10.0

6.9

7.9

특별회계

10.1

9.5

9.9

△0.2

△2.5

0.4

3.9

 

3. 일반회계 국세세입(안)과 특별회계 국세세입(안)

 

□ 일반회계 국세세입(안)

  ㅇ 2002년 일반회계 국세세입(안)은 94조 3,196억원으로 2001년 전망(87조 4,220억원)보다 6조 8,976억원(7.9%) 증가

  ㅇ 내국세는 경제성장· 신용카드 양성화 효과에 따라

   - 2001년 전망(70조 4,063억원)보다 7조9,700억원(11.3%) 증가한 78조 3,763억원으로 계상

  ㅇ 교통세는 특별회계로 양여되는 비율이 확대되어

   - 2001년 전망(10조 5,882억원)보다 △18,979억원(△17.9%) 감소한 8조 6,903억원으로 계상

    * 특별회계재원인 전화세를 부가가치세에 통합('01.9)함에 따라 교통세 중 지방양여금관리특별회계로 이전되는 규모를 확대('01년, 2.4% → '02년, 14.2%)하여 보전

  ㅇ 관세는 수입규모 증가 등을 감안하여

   - 2001년 전망(6조 4,275억원)보다 8,255억원(12.8%) 증가한 7조 2,530억원으로 계상

< 일반회계 국세세입(안) >

(단위 : 억원, %)

 

2001년

2002년 예산(안)

예 산

전 망

 

예산대비

전망대비

일반회계

857,824

874,220

943,196

10.0

7.9

-내국세계

682,886

704,063

783,763

14.8

11.3

-교 통 세

107,618

105,882

86,903

△19.2

△17.9

-관 세

67,320

64,275

72,530

7.7

12.8

□ 특별회계 국세세입(안)

  ㅇ 지방양여금관리특별회계에 귀속되는 지방양여금 관련세(주세 전액, 교통세의 14.2%)는 2001년 전망(4조 2,783억원)보다 1,004억원(2.3%) 증가한 4조 3,787억원으로 계상

  ㅇ 지방교육양여금관리특별회계에 귀속되는 교육세는 본세인 특별소비세·주세 등이 증가하였으나 교통세가 감소함에 따라

   - 2001년 전망(3조 7,048억원) 수준인 3조 7,183억원으로 계상

  ㅇ 농어촌특별세관리특별회계에 귀속되는 농어촌특별세는 특별소비세 등 본세의 증가세를 반영하여

   - 2001년 전망(1조 5,112억원)보다 2,523억원(16.7%) 증가한 1조 7,635억원으로 계상

< 특별회계 국세세입(안) >

(단위 : 억원, %)

 

2001년

2002년 예산(안)

예 산

전 망

 

예산대비

전망대비

특별회계

101,167

94,943

98,605

△2.5

3.9

-지방양여금관련세

40,728

42,783

43,787

7.5

2.3

-교 육 세

36,244

37,048

37,183

2.6

0.4

-농 어 촌 특 별 세

24,195

15,112

17,635

△27.1

16.7

□ 2002년 세목별 국세수입 전망

(단위 : 억원)

구 분

2001년

2002년
예산(B)

 

예산

전망(A)

B-A

%

총 국 세

958,991

969,163

1,041,801

72,638

7.5

일반회계

857,824

874,220

943,196

68,976

7.9

◇내국세

682,886

704,063

783,763

79,700

11.3

ㅇ소득세

171,215

181,961

202,439

20,478

11.3

ㅇ법인세

188,776

161,990

162,875

885

0.5

ㅇ상속증여세

11,284

8,968

9,329

361

4.0

ㅇ재평가세

1,140

1,586

-

△1,586

-

ㅇ부가가치세

238,434

275,170

320,232

45,062

16.4

ㅇ특별소비세

30,381

35,674

43,282

7,608

21.3

ㅇ증권거래세

25,008

17,675

23,115

5,440

30.8

ㅇ인지세

3,744

4,430

4,584

154

3.5

ㅇ과년도수입

12,904

16,609

17,907

1,298

7.8

◇교통세

107,618

105,882

86,903

△18,979

△17.9

◇관 세

67,320

64,275

72,530

8,255

12.8

특별회계

101,167

94,943

98,605

3,662

3.9

ㅇ주 세

25,095

27,063

29,404

2,341

8.7

ㅇ전화세

13,027

13,116

-

△13,116

△100.0

ㅇ교통세

2,606

2,604

14,383

11,779

452.4

ㅇ교육세

36,244

37,048

37,183

135

0.4

ㅇ농특세

24,195

15,112

17,635

2,523

16.7

 

4. 조세규모 및 조세부담률

 

(단위 : 조원, %)

구 분

'00

'01예산

'01전망

'02예산안

ㅇ 조 세(조원)

113.5

119.3

121.1

130.4

(국 세)

(92.9)

(95.9)

(96.9)

(104.2)

ㅇ조세부담률(%)

22.0

21.3

22.0

21.9

(국세부담률)

(18.0)

(17.1)

(17.6)

(17.5)

    * 조세부담률 OECD 평균 : 27.6%('98년)

< 참고 > '1인당 조세부담액'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 1인당 조세부담액은 총조세규모를 단순히 인구수로 나눈 것으로서

  ㅇ 세수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법인부담분이 개인부담분으로 계산되는 문제가 있고, 계층간의 세부담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 국민부담을 나타내는 대표성 있는 수치라고 볼 수 없음

     * 우리나라 근로자의 약 46%는 면세점 이하

  ㅇ 이러한 이유로 OECD 국가에서도 '1인당 조세부담액'을 사용하지 않고 조세부담률만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있음

 

 

 재정경제부 조세정책과(503-9208)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