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국세청 탈세제보 처리율 74.2%…실제 추징률 13.7% 그쳐 박수민 의원 "국세청, 탈세제보 처리기한 규정 없어 소중한 정보 날려" 국세청 탈세제보 처리율이 최근 5년 평균 74%에 그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제보 이후 실제 세금추징까지 성공한 사례는 10건 중 1건 남짓인 것으로 집계됐다. 박수민 의원(국민의힘)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년) 국세청 탈세제보 처리율은 74.2%에 그쳤다. 최근 5년(2019~2023년) 지방청별 탈세제보 관리 현황(단위: 건, %, 백만원) 지청명 당해제보건 이월접수건 최종접수건(A) 처리건(B) 처리율(B/A) 총부과세액 서울청 30,158 12,465 42,623 30,824 72.3 2,839,444 인천청 12,542 3,896 16,438
조세연구원 재정포럼 5월호 보고서 유동수 의원 "이분법적 사고에서 이어진 오류" 유동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은 6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하 조세연)이 현대판 고려장을 연상시키는 정책제언을 했다고 주장했다. 논란의 정책제언은 조세연이 발간한 재정포럼 5월호에 실린 ‘생산가능인구 비중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재정정책 방향에 대한 제언’ 보고서로, 해당 보고서에선 생산가능인구를 늘리는 방안 가운데 하나로 ‘은퇴 이민 정책’을 언급하고 있다. 보고서에서는 ‘여러 여건의 사전적 준비가 전제조건이지만, 노령층이 상대적으로 물가가 저렴하고 기후가 온화한 국가로 이주하여 은퇴 이민 차원으로 노후를 보낼 수 있다면 생산가능인구 비중을 양적으로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이민을 통한 인구 유입 정책에서는 ‘노령층의 인구 유입은 정책 대상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생산인구 비중 감소 문제를 심화시킨다’며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을 젊은 층을 경쟁하여 영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유동수 의원은 “조세재정연구원이 제안한 노인 은퇴 이민 정책은 인구를 부양인구와 피부양 인구로 나누는 이분법적인 사고에서 이어진 오류다”며, “국책연구기관이 자국민을 보호하
차규근 의원, 소득 불평등이 고스란히 자산 불평등으로 이어져 주택취득을 위한 신규 가계부채의 71%가 고소득층에 집중된 반면, 전세자금대출을 위한 가계부채는 저소득층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층은 주택취득을 위해서 대출을 받는 반면, 저소득층은 전세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대출을 받는 셈으로, 소득 불평등이 고스란히 자산 불평등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차규근 의원(조국혁신당)이 6일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주택취득 목적의 소득분위별 연중 신규 가계부채 가운데 고소득층(4분위· 5분위)에서 7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취득 목적 소득분위별 연중 신규 가계부채 건수(단위: 가구) 년도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2004 91 152 232 229 275 2005 61 105 190 198 217
박상영 조세심판원 2상임심판관 ▷1969년 ▷충남 홍성 ▷대구 경북고 ▷서울대 경영학과 ▷서울대 행정학 석사 수료 ▷英버밍엄대 경영학 석사 ▷행시 43회 ▷기재부 일자리 경제지원과장·조세분석과장·부가가치세제과장·조세특례제도과장·소득세제과장 ▷조세심판원 2상임심판관(현) 이화진 조세심판원 8상임심판관 ▷1973년 ▷경기 의정부 ▷창문여고 ▷고려대 행정학과 ▷美럿거스대 행정학 석사 ▷연세대 행정학 박사 수료 ▷지시 5회(행시43회) ▷행안부 지역일자리경제과장 ▷자치분권위원회 자치분권기획단 파견 ▷경기도 평생교육국장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 파견 ▷행안부 지방세정책과장 ▷조세심판원 8상임심판관(현) -이상 2명(2024.10.4.자)
상위 10% 1인당 수입 3억2천만원…하위 10% 1인당 4천만원 김영진 의원 "신종업종 사업자등록·세금신고 미비 많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SNS 마켓에서 상위 10%와 하위 10%간의 매출 격차가 약 7배에 달하는 등 SNS 시장에서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30%가 차지하는 수입금액이 전체 SNS 마켓시장의 절반에 육박하는 가운데, 신종업종에서 사업자등록과 세금신고가 미비한 경우가 많아 과세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김영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6일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귀속 종합소득을 신고한 SNS마켓 사업자는 총 1천51명으로 전년도 705명에 비해 49.1% 증가했다. 이들의 2022년 귀속 총수입금액(매출)은 944억 1천400만원으로 전년도 551억 5천900만원 대비 71.2% 증가했다. 1인당 평균 수입 또한 같은 기간 7천824만원에서 8천983만원으로 14.8% 늘었다. 이와관련, SNS마켓 사업자는 블로그, 카페, 인스타그램 등 각종 SNS 채널로 물품 판매, 구매 알선·중개 등을 통해 수익을 얻는 사업자를 말한다. 상
관세청, 수출입안전관리우수업체 공인 및 운영고시 입안예고 'AA' 등급 획득시 총괄책임자까지 출입국 우대 혜택 확대 수출입안전관리우수업체(AEO)가 관세법 등 수출입 관련 법령 위반으로 검찰에 고발·송치되거나 통고처분을 받은 경우 수출입검사 생략 등의 혜택이 정지된다. 또한 AEO 공인 갱신 과정에서 재무건전성 등의 기준 미충족으로 공인이 유보되더라도 예외적으로 AEO혜택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관세청은 4일 이같은 내용의 수출입안전관리우수업체 공인 및 운영에 관한 고시 입안계획서를 공고한데 이어, 17일까지 관련의견을 접수받아 심의 후 시행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고시는 관세행정 투명성 및 민원 편의 제고를 위해 AEO 관련 고시를 하나로 통·폐합하고, AEO업체에 대한 혜택 정지 및 공인유보시 예외적으로 혜택을 부여하는 것을 담고 있다. 고시 입안 내용에 따르면, AEO 공인을 신청하는 날을 기준으로 직전 8분기 법규 준수도가 측정되지 않은 경우 신청을 각하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법인 분할 등으로 신설된 법인의 법규준수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 법인과 신설 법인의 동일성이 인정되며 기존 법인의 법규준수도를 사용할 수 있다. AEO 공인업체의
조광선 관세청 외환조사과장 ▷1985년 ▷송원고 ▷서울대 소비자아동/가족아동학과 ▷행시 54회 ▷서울세관 수출입기업지원센터장 ▷관세청 조사총괄과 ▷관세청 특수통관과 ▷관세청 통관물류정책과 ▷관세청 국제협력총괄과 ▷관세평가분류원 품목분류1과장 ▷관세청 규제혁신팀장 ▷관세청 외환조사과장(현) 지성근 관세인재개발원 교육지원과장 ▷1970년 ▷경안고 ▷세무대학 11기 ▷방통대 법학과 ▷8급 경채 ▷평택세관 수입과장 ▷관세청 국제조사팀 ▷인천세관 세관운영과 ▷인천공항세관 수출입물류과장 ▷부산세관 수출입기업지원센터장 ▷서울세관 수출입물류과장 ▷성남세관장 ▷관세인재개발원 교육지원과장(현) 전성배 관세청 ▷1968년 ▷전북 익산 ▷원광고 ▷세무대학 6기 ▷방통대 법학과 ▷8급 경채 ▷관세청 기획심사팀 ▷서울세관 심사관 ▷서울세관 외환조사관 ▷서울세관 외환조사과장·외환조사총괄과장 ▷조달청 국유재산관리과장 ▷관세청 공정무역심사팀장 ▷관세청 외환조사과장 ▷관세청(현) -이상 3명(2024.10.6.자) 윤남희 관세청 미래구조혁신팀장 ▷1984년 ▷명덕외고 ▷연세대 중어중문학과 ▷행시 56회 ▷관세청 대변인실 ▷관세청 전자상거래통관과 ▷인천공항세관 세관운영과 ▷관세청 운영지원과
정성호 의원, 유휴 국유건물 3년만에 1.6배 증가…대부료 미납액도 2.5배↑ 국유재산 건물의 공실이 크게 늘어난 데다, 기존 임차중인 건물의 대부료 미납 사례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국유재산 관리가 소홀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정성호 의원(더불어민주당) 4일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유재산 관리실태’ 자료에 따르면, 국유재산 대부료 미납액은 지난 2020년에 63억원에 그쳤으나 지난해 에는 156억원이 미납되는 등 2.5배 증가했다. 최근 6년간 국유재산 대부료 부과 징수 통계(단위: 건, 억원) 2020년에는 국유재산 대부료 부과금액 1천305억원 중 4.8%만 납부되지 않았으나 2023년에는 부과한 1천531억원 중 10.2%가 미납된 셈이다. 국유재산 대부료 미납액이 늘어난 배경으로는 장기간 내수경기 침체에 따른 대부료 지불 능력이 저하 된 것이 주요인으로 추정된다. 이와함께 코로나 종료로 2020년 대비 2023년 대부료 감면 규모가 25억원 가량 감소한 것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5년간 유휴 국유 건물도 2020년 709개 동에서 꾸준히 증가해 올해 7월 1천116개 동으로 1.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최근 7년간 법률위반 103건에 범칙금만 5천200억 달해 박성훈 의원 "제도 악용 만연…전면적 실태조사 필요" 높은 법규준수도와 안전한 물류관리가 인정돼 관세청으로부터 수출입안전관리우수업체(AEO)로 공인받은 기업들이 오히려 밀수와 관세포탈 등에 나서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AEO 공인기업의 최근 7년간(2018~2024년8월) 법규 위반 사례는 103건, 범칙금액만 무려 5천226억원에 달하는 등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겼다는 지적마저 제기된다. 박성훈 의원(국민의힘)이 4일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AEO 업체의 유형별 법규위반 현황은 허위신고가 45건 70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밀수 11건(596억원), 외국환거래법 위반 7건(1천557억원), 부정수출입 6건(263억원), 가격조작 5건(829억원), 대외무역법 위반 5건(75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AEO 인증 업체 관세법 등 위반 현황(단위: 건수, 억원) 연도별 위반 현황에 따르면, 2018년 27건, 2019년 20건, 2020년 17건, 2021년 19건, 2022년 10건, 2023년 8건에 이어 올해는 8월까지 2건으로 집계됐다. 관세청에 적발된 AEO 공인기업인 A업체의
안도걸 의원, 기재부 통보에도 부처 적발수준 미미…국민세금 부정사용 막아야 국민세금이 투입되는 국고보조사업에 가족간 거래 등을 통한 부정수급 적발액이 최근 5년간 889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적발 액수도 기획재정부가 부정징후사업으로 지정해 각 부처에 통보한 1조4천872억원 가운데 단 4.6%만 자체 적발한 수치다. 안도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3일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국고보조사업 부정징후 의심사업 통보현황’에 따르면, 기재부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실시한 모니터링에 따라 부정징후 사업 2만 7천352건(1조 4천872억원)을 각 부처에 통보했으나 부처는 단 4.6% 수준에 해당하는 1천270건(889억원)만을 자체 적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국고보조금 부정수급 현황(단위: 건, 억원, %) 구분 부정징후 사업 수 부정수급 적발건수 건수(A) 금액 건수(B) 금액 징후대비 적발률(B/A) ’19년 7,175* 2,
지방소득세 10억 안낸 미국인 체납자 등 고액체납자 218명 한병도 의원, 명단공개·출국금지 실효성 의문…외국인 특화조사 필요 국내 거주 중인 외국인이 체납한 지방세만 400억원을 넘어선 가운데, 1천만원 이상 고액체납액도 90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고액·상습체납자를 대상으로 명단공개와 출국금지 등의 행정제재를 기하고 있으나, 지방세 체납액이 갈수록 늘고 있어 실효적인 제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병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지방세 체납액 누적 규모는 △2021년 373억원 △2022년 409억원 △2023년 434억원 등 최근 3년간 체납액은 60억 2천900만원이 증가했다. 최근 3년간 외국인 지방세 세목별 체납 현황(단위: 명, 백만원) 구분 2021 2022 2023 건 체납액 건 체납액 건 체납액 합계 877,400 37,393 90
유동수 의원,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위해 상법 개정안 발의 국내 주식시장의 코리아 디스카운트 원인으로 지목된 미흡한 주주 보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사에게 총 주주의 이익을 보호할 의무를 부여하는 상법 개정이 추진된다. 유동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일 주주에 대한 보호의무를 명시적으로 부여하고, 이사에게 주주 이익 뿐만 아니라 환경과 사회를 고려해 건전한 기업경영을 하도록 책임을 부여한 ‘상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법안은 지난달 24일 시행된 민주당 정책위원회 토론회에서 주식시장 밸류업을 위해 당론 추진 법안으로 발표되기도 했다. 현행법에서는 이사가 회사에 대해서만 충실의무를 부담하고 있을 뿐 주주에 대해서는 충실의무를 부과하지 않고 있어, 이사가 주주의 이익에 반하는 행위를 하더라도 상법상 금지되지 않고 책임도 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실권주 재배정·불공정 합병·지배주주간 프리미엄부 주식 매매·물적분할 후 상장 등에 있어 지배주주와 일반주주 사이에 이해 상충 문제가 발생할 때 소액주주·일반주주의 이익이 침해되었음에도 현행 상법이 무력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학계에서도 회사에 대한 이사의 충실의무에 주주의 이익
한은에서 올해 일시차입액 153조원, 이자비용만 1천900억 넘어 임광현 의원, 미·유럽 중앙은행 대정부 일시대출 원칙적 금지 "일시차입으로 공무원 월급 조달하고 있는 것 아닌지 의문" 기재부 "일시차입, 세입·세출 집행간 시차 불일치 보완 위한 것" 정부가 세수부족 사태로 인해 공무원 월급마저 한국은행으로부터 일시차입해 지급한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올해 9월말까지 한국은행으로부터 총 75회에 걸쳐 152조6천억원을 일시 차입했으며, 이는 지난해 전체 일시차입금 수준을 넘어선 액수다. 임광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1일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가 한국은행에 일시차입한 건수 및 금액은 9월 중순까지 총 75회에 걸쳐 152조6천억원을 차입했고 142조1천억원을 상환했다. 이자비용으로만 1천936억원을 지출할 예정이다. 대정부 일시대출금 연도별 내역(2015~2024년9월)(단위: 억원, 회, %) 연도 대출액1) 회수액1) 이자액2) 이자율3) 횟수 1분기 2분기
박성훈 의원, 관세법 개정안 대표발의 명의대여 1년이하·도용 2년이하 징역…벌금 1~2천만원 타인 명의를 이용해 탁송품이나 우편물을 수입한 자에 대해서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도록 하는 관세법 개정안이 발의됐다. 특히, 불법적인 목적으로 자신의 명의를 타인에게 사용토록 하는 등 명의대여 납세신고를 허락한 경우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도 부과할 수 있게 된다. 관세를 회피할 목적으로 해외직구 물품의 가격을 과세범위보다 낮게 신고하거나 개인통관고유부호를 부정 사용하다 적발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국회에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관세법 개정안이 발의됐다. 박성훈 의원(국민의힘)은 2일, 비과세 해외직구 물품 등 납세신고가 생략되는 물품의 수입과 관련된 부정행위를 막고, 처벌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관세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1천502건에 그쳤던 개인통관고유부호 도용 신고 건수는 작년 한 해에만 1만6천355건으로 10배 이상 폭증했다. 올해들어서는 8월까지 1만4천192건의 신고가 접수돼 지난해 개인통관고유부호
관세청, 9월 수출입현황 발표…무역수지 67억달러로 16개월 연속 흑자 우리나라 수출실적이 12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유지한 가운데, 무역수지 또한 16개월 연속 흑자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관세청이 2일 발표한 ‘2024년 8월 수출입현황(잠정치)’에 따르면, 수출은 588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7.5% 증가했으며, 수입은 521억달러로 같은기간 2.2% 늘었다. 무역수지는 67억달러 흑자로 마감하는 등 16개월 연속 흑자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2024년 수출입 실적(통관기준 잠정치) (단위:백만 달러,%) 구분 2023년 2024년 9월 1~9월 8월 9월p 1~9월p 수 출 54,651 (△4.4) 464,102 (△11.5) 57,834 (11.2) 58,775 (7.5) 508,815 (9.6) 수 입 50,973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