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4.06.26. (수)

지방세

면적이 규정 넘으면 가격과 상관없이 고급주택 해당

행자부 "면적과 가격 따로 규정한 지방세법시행령 오류없다"

가격이 낮더라도 법이 정한 고급주택의 범위를 넘은 아파트는 고급주택에 해당돼 중과세율을 적용할 수 있다는 심사결정이 나왔다.

 

행자부는 최근 A씨가 지방세법시행령이 가액의 기준 없이 면적만을 기준으로 고급주택을 판단하도록 한 규정이 지방세법의 위임 범위를 벗어났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잘못이 없다며 청구인의 심사청구를 기각했다.

 

A씨는 2007년 3월 전용면적 250.69㎡의 아파트를 취득하자 해당 처분청은 그 주택을 고급주택으로 판단, 취득세 중과세규정을 적용해 취득세 등 4천6백20만원을 부과했다.

 

그러자 A씨는 처분청의 처분에 대해 "지방세법시행령 제84조3제3항제4호에서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1가구의 연면적이 245㎡ 를 초과하는 공동주택과 그 부속토지라고 규정해 가액의 기준없이 면적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며 "이는 상위법인 지방세법의 위임법위를 벗어난 중대한 오류를 범하고 있고 또 면적만을 기준으로 할 경우 면적만 넓고 가액이 적은 아파트의 경우 상대적으로 불리하게 돼 조세 평등의 원칙을 저해한다"고 주장, 행자부에 심사청구했다.

 

이에 대해 행자부는 "시행령이 세부기준을 위임함에 있어 반드시 면적과 가액을 동시에 적용해야 한다고 직접 규정하지 않았고,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은 그 성격상 사용가치나 교환 가치가 동일할 수 없으므로 고급 주택의 유형에 따라 그 판단 기준을 면적과 가액 두 가지로 규정하거나 각각 별도로 규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고급 주택의 기준을 미리 법률로 상세하게 정하기는 입법기술상 어렵다"며 따라서 "시행령에서 주택의 유형에 따라 면적이나 가액을 기준으로 고급 주택을 판단한 규정이 지방세법의 위임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했다.

 

아울러 "고급주택에 대해 취득세를 중과세한 취지는 고급주택의 건축과 취득을 억제해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는 것이므로 법률로 고급주택에 대해 동일하게 과세하는 것이 조세 형평에 어긋난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행자부는 이에 따라 처분청이 중과세율을 적용해 산출한 취득세 등을 신고납부한 것에는 잘못이 없다고 판단 기각결정을 내린 것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