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사가 개업하면 관세사법에 의해 1천만원 이상의 손해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다. 관세사의 잘못으로 수출입화주가 손해를 입은 경우 관세사가 배상능력이 없어 손해배상을 못하면 보험으로 처리하기 위한 제도다.
그러나 관세사의 배상능력을 보완하기 위한 이 제도가 실제로는 관세사는 보험료만 내고 손해 발생시 보험금을 지급받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다.
보통 관세사가 업무처리 중 고의 또는 과실로 화주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화주가 관세사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면 관세사는 먼저 화주에게 손해를 배상하고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하게 된다.
예컨대 화주가 세관으로부터 추징을 당한 경우 관세는 화주가 부담하지만 가산세 부분에 대하여는 관세사의 과실을 문제삼아 관세사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경우가 많아 관세사들은 관세사손해보험에 기대를 걸고 있으나 현실은 그렇치 않다.
왜냐하면 관세사가 화주에게 손해를 배상하고 보험회사에 보험금을 청구하면 보험사는 관세사 자기부담금을 공제하고 또 가산세부분 중 기간이자 성격의 가산세는 화주가 기간이익을 받았으므로 제외시키고 차기 계약시 할증율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렇게 계산을 하면 보험금을 청구하는 것보다 본인이 모든 손해를 직접 부담하는 편이 더 낳은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가산세는 신고불성실가산세와 납부불성실 가산세로 구분되는데, 신고불성실가산세만 보험사는 책임지고 납부불성실 가산세는 기간이익을 화주가 취했으므로 보험사는 이를 제외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수입신고후 450일 후에 5천만원의 관세를 추징당한 경우 부과되는가산세는 불성실신고가산세( 10%) 500만원과 신고시점에서 추징시점까지를 일별로 계산한 납부불성실가산세 약 300만원을 합해 800만원이 부과된다.
따라서 보험사의 계산대로라면 자기부담금 300만원에 3천만원 보상한도에 가입한 관세사가 800만원의 가산세를 화주에게 납부하고 보험사에 청구하면 보험사는 자기부담금 300만원을 공제하고 납부불성실 가산세 300만원을 또공제하고 다음해 할증율 25% 내지 55%를 적용하면 관세사의 입장에서는 보험금을 한 푼도 청구할 수 없게 된다.
관세사가 보험에 가입한 것은 업무처리 중 고의 과실로 인해 입은 손해에 대해 보험으로 커버하기 위한 것이므로 관세사가 가산세 부분을 화주에게 손해배상한 경우에는 보험사는 일단 관세사가 부담한 모든 손해배상액에 대해 관세사에게 보험금을 선지급하고 사후에 화주를 상대로 구상권을 행사해야 함에도 청구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피보험자에게 지급할 보험금에서 공제하고 있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보험료 할증에 대하여도 관세법인의 경우 지사에서 신고한 건에 대하여는 아무런 책임이 없는 타 지사와 본사까지도 같은 할증율을 동시에 적용헤 보험료를 더 내야 하는 모순이 있으나 이는 지사별 할증율을 적용토록 하고 사고가 없는 사무실에 대하여는 할증율을 면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관세업무에는 신고 오류가 많은 통관업무가 있는가 하면 사고날 위험이 거의 없는 상담, 자문, 컨설팅 업무가 있다.
그러나 현행 보험체계는 수출입신고를 하는 통관담당 관세사나 수출입신고를 전혀 하지 않고 컨설팅만을 담당하는 관세사나 같은 요율의 보험료를 내야 하도록 돼 있어 보험료율 산정에 문제가 있다.
현재의 관세사손해보험 체제는 관세사를 많이 고용한 관세사에게 불리하고 대형 관세법인에게 더욱 불리한 제도이다.
관세사 손해보험제도를 재검토해 가산세 부분에 대해 먼저 관세사에게 전액 보험금을 지급하고 사후에 화주에게 구상권을 행사토록 계약 내용을 변경해야 하고 관세사를 많이 고용한 대형 사무소가 불리하지 않도록 보험료율 체계를 개선해야 하며 신고관세사와 상담 관세사의 보험료율 차등 실현 및 기타 제도 운영상 나타나는 제 문제점들을 종합해 보험계약 내용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보험사의 횡포를 막기 위하여는 관세사법상 규정돼 있는 보증보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활용방법을 구체화해야 할 것이며, 관세사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관세사공제제도를 활용하는 방안 등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면의 외부기고는 本紙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