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1.08. (수)

고차원·지능화된 국세행정 기대

박근혜 정부 첫 국세청장으로 내정된 김덕중호(號)의 국세행정 방향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새 정부 출범이후 국세청의 역할론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본연의 임무를 수행할지 관심사다. 

 

이처럼 새 정부의 공약재원 마련이라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국세청으로서는 그 어느 때보다 부담감이 높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최근 불거진 국세청 조사국 직원의 뇌물수수 사건은 국세행정 쇄신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남기게 됐다.

 

새 정부는 공약재원 마련을 위해 지하경제를 양성화시키겠다는 복안이지만, 이 역시 국세청이 발로 뛰어야만 가시적 성과를 얻어낼 수 있는 사안이다.

 

국세청의 세수 확보실적이 정부의 공약 실현과 직결돼 있다는 점에서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지만, 과유불급(過猶不及)은 오히려 조세저항을 불러올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국세청이 지방국세청 조사인력을 확대하면서 지하경제 양성화에 팔을 걷어붙였지만, 업계에서는 세무조사가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불법석유·주류유통 차단 등 지하경제 양성화를 통한 세수 확보라는 대원칙이 전제가 되겠지만, 실적이 미진할 경우 결국 기업에 대한 세무조사로 방향이 틀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국세청이 요구하고 있는 FIU 정보공개 확대건의 경우 부처간 이견을 보이고 있어 정보접근 확대를 통한 세수확보라는 구상도 실현가능성 여부를 지켜봐야 한다.

 

다행히 정부 부처의 업무보고에서 각 부처의 칸막이를 없애야 한다는 정부의 국정철학이 강조됐지만, 정보공개 확대가 어느 수위까지 이뤄질지는 지켜볼 일이다.

 

이처럼 세수 확보라는 특명이 내려진 국세청으로서는 대외여건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김덕중 국세청장 후보자는 내정 직후 ‘지하경제 양성화를 통한 국세수입 확보’를 언급하면서, 이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이나 서민층에 지나친 부담을 줘서는 안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국세행정 방향이 공약재원 충당을 위한 ‘쥐어짜기 식’의 손쉬운 행정이 아닌, 탈루세금을 적발·징수하는 지능화된 행정으로 도약하기를 기대해 본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