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4.29. (화)

내국세

기재부 등 9개 기관 노린 해킹시도 3년새 8배 급증

지난 3년간 기재부 등 9개 기관에 대한 해킹 시도가 1천800여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김정우 의원(더불어민주당, 사진)이 한국재정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 기획재정부 등 9개 기관을 대상으로 이뤄진 해킹시도는 총 1,802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월부터 8월까지 집계된 해킹시도만 798건으로, 이미 작년 해킹시도 건수인 531건을 훌쩍 넘어섰다.

 

9개 기관은 기획재정부, 한국재정정보원, 조달청, 통계청, 관세청, 한국은행, 수출입은행, 투자공사, 조폐공사 등이며, 정보원 사이버보안센터가 해킹 대응을 위해 24시간 보안관제를 수행하고 있다.

 

기관별 해킹시도 건수는 한국조폐공사 486건(27%), 한국투자공사 446건(25%), 기획재정부 345건(19%), 한국수출입은행 156건(9%), 한국은행 136건(7%), 조달청 100건(6%), 관세청 78건(4%), 통계청 45건(2%), 한국재정정보원 10건(1%) 순이다.

 

분야별 위협탐지 건수를 살펴보면, '웹접근시도'가 603건(33%)으로 가장 높았으며, '웜/바이러스' 570건(32%), '유해IP주소' 569건(32%), '스캐닝' 33건(2%), '기타' 27건(1%) 순으로 해킹 시도가 발생했다.

 

김정우 의원은 "기획재정부 등 9개 기관의 자료는 주로 국가 기밀에 해당하는 만큼 안보 측면에서 반드시 비밀이 유지돼야 한다"며 "사이버 해킹 시도는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어 보안관제에 대한 투자 확대와 동시에 역량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6년 7월~2019년 8월 기관별 해킹시도 건수(자료 : 한국재정정보원(2019.9.)

 

기관명

 

2016

 

(7~)

 

2017

 

2018

 

2019

 

(~8)

 

합계

 

비고

 

기획재정부

 

36

 

118

 

86

 

105

 

345

 

피해없음

 

한국재정정보원

 

-

 

3

 

3

 

4

 

10

 

피해없음

 

관세청

 

-

 

7

 

29

 

42

 

78

 

피해없음

 

조달청

 

5

 

14

 

24

 

57

 

100

 

피해없음

 

통계청

 

9

 

7

 

9

 

20

 

45

 

피해없음

 

한국은행

 

2

 

18

 

29

 

87

 

136

 

피해없음

 

한국수출입은행

 

10

 

79

 

21

 

46

 

156

 

피해없음

 

한국조폐공사

 

12

 

73

 

188

 

213

 

486

 

피해없음

 

한국투자공사

 

23

 

57

 

142

 

224

 

446

 

피해없음

 

합계

 

97

 

376

 

531

 

798

 

1,802

 

-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