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그룹 소속 상장기업 사외이사가 국세청 등 소위 3대 권력기관 출신에 집중돼 있어 독립성 확보에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신경제연구소는 23일 발간한 ‘2020년 주주총회 TREND - 임원 선임의건’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국내 30대 그룹 소속 상장기업 중 올해 정기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를 선임(신규와 재선임)한 상장기업 117개 사의 사외이사 전직 경력을 살펴 보면, 3대 권력기관 출신의 사외이사 비중이 2016년 31.8%에서 2019년 30.2%, 올해 27.9%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3대 권력기관은 감독기관(국세청, 금융감독원, 공정거래위원회, 감사원, 금융위원회), 사법기관(검찰, 법원), 장·차관·청와대를 말한다.
특히 경영권 분쟁 등 지배구조 이슈와 지배주주의 사법 절차가 진행 중인 그룹일수록 사외이사 후보자의 전직 경력이 3대 권력기관 출신에 집중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전문성 확보 이유도 있으나, 그룹이 처해 있는 이슈 사안에 대한 대관업무 차원에서의 사외이사 선임 의도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경영권 승계와 관련된 지배구조 이슈가 있는 현대차 그룹의 경우는 올해 정기주주총회에서 3대 주요 기관 출신의 사외이사 선임 비중이 45%로 30대 그룹 평균(27.9%) 대비 월등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경영권 승계 관련한 이슈가 있었던 롯데그룹과 한진그룹도 2020년 정기주주총회에서 3대 주요 기관 출신의 사외이사 선임 비중이 각각 56.5%, 36.8%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사외이사 후보자의 현직 경력도 법무, 회계, 교수 등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30대 그룹 소속 상장기업 111개사의 올해 정기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 후보자의 현직 경력 중 법무와 회계 경력 비중은 27.2%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3대 기관(사법, 감독, 장·차관) 출신 사외이사 후보자 비중인 27.9%와 비슷한 수준이다.
사외이사의 현직 경력 중 교수 비중은 42.2%로 가장 높았다. 기업인 비중은 11.6%에 그쳤다.
보고서는 이같은 3대 주요 기관 전·현직 경력을 가진 사외이사 선임이 집중되는 것은 이사회의 다양성 및 독립성 확보 측면에서 부정적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현직 경력 역시 법무, 세무, 교수에 집중돼 기업가치의 중장기 측면에서 부정적이라고 밝혔다.